목차
머리말 = ⅲ
Chapter 1 HCI란 어떤 학문인가?
1.1 HCI의 정의: SIGCHI 정의를 바탕으로 = 5
1.2 HCI는 '인간 중심'의 '상호 작용'을 알기 위한 과학이다 = 9
1.3 HCI는 융합 과학의 꽃이다 = 13
1.4 HCI는 새로운 목적을 가진 새로운 컴퓨터 과학이다 = 20
1.5 이책의 구성에 대하여 = 24
참고 문헌 = 30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31
Chapter 2 HCI의 역사
2.1 1960년대: 인간 지능의 고도화를 꿈꾸는 시대 = 34
2.2 1970~80년대: GUI의 현실화와 인적 요소 연구의 시대 = 38
2.3 1990년대: 사회적 측면이 강조된 시대 = 40
2.4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 = 42
참고 문헌 = 45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46
Chapter 3 개발 패러다임의 진화
3.1 기계 중심 개발: 프로그래밍 = 48
3.2 개발자 중심 개발: 소프트웨어 공학 = 50
3.3 사용자 중심 개발: HCI = 54
참고 문헌 = 60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60
Chapter 4 기술과 인간
4.1 기술에 대한 인간의 태도 = 65
4.2 기술과 사회의 관계 = 72
참고 문헌 = 77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78
Chapter 5 디지털 인간
5.1 인지적 인간 = 80
5.2 사회적 인간 = 98
5.3 감성적 인간 = 109
참고 문헌 = 115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l17
Chapter 6 컴퓨터
6.1 컴퓨터는 계산을 한다 = 120
6.2 컴퓨터는 생각한다 = 125
6.3 컴퓨터는 인터페이스이다 = 132
6.4 컴퓨터는 가상의 공간이다 = 134
참고 문헌 = 140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142
Chapter 7 상호 작용
7.1 인간 컴퓨터 상호 작용 = 144
7.2 사회적 상호 작용 = 164
참고 문헌 = 175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176
Chapter 8 사용성
8.1 인지적 사용성 = 181
8.2 경험적 사용성(사용자 경험) = 184
8.3 사회적 사용성 = 186
참고 문헌 = 191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191
Chapter 9 사용자 중심 디자인
9.1 위노그란드가 말하는 시스템 디자인이란? = 195
9.2 UCD의 공학적 이해 = 197
9.3 UCD의 심리학적 이해 = 200
참고 문헌 = 212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213
Chapter 10 참여 디자인
10.1 참여 디자인의 출발 = 216
10.2 참여 디자인이란? = 217
10.3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 참여 디자인 = 221
10.4 이상과 현실 = 222
참고 문헌 = 224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225
Chapter 11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11.1 왜 SBD인가? = 228
11.2 로슨과 캐롤의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 231
11.3 요구 분석 = 235
11.4 시스템 디자인 = 247
11.5 작업 분석 = 258
참고 문헌 = 260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261
Chapter 12 사용자 연구 방법의 두 흐름
12.1 연구 방법을 선택한다는 것 = 265
12.2 실험 심리학과 사용성 테스트 = 266
12.3 민족지학과 필드 연구 = 272
참고 문헌 = 277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278
Chapter 13 데이터 수집 방법
13.1 관찰 기술 = 280
13.2 질의 방법 = 286
참고 문헌 = 291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292
Chapter 14 휴리스틱 평가
14.1 휴리스틱 평가 방법의 특징 = 294
14.2 닐슨의 휴리스틱 = 296
14.3 휴리스틱 평가 단계 = 303
참고 문헌 = 307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308
Chapter 15 사회적 주제들
15.1 창문으로서의 공저 작업 = 310
15.2 협력 방식 = 315
15.3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 320
15.4 인식 = 322
15.5 외형 표상의 공유 = 324
15.6 문화 = 328
참고 문헌 = 328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332
Chapter 16 인식
16.1 인식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334
16.2 인식 모델링 = 343
16.3 알림의 방법 = 349
참고 문헌 = 351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353
Chapter 17 HCI 안에 있는 두 문화
17.1 시스템 개발 vs 인간 이해 = 356
17.2 객관성 vs 주관성 = 358
17.3 예술성 vs 실용성 = 360
17.4 과학 철학의 중요성 = 361
참고 문헌 = 364
정리하며 생각하는 문제 = 364
Chapter 18 맺는 말
18.1 HCI는 두 문화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 366
18.2 HCI의 미래: 인터페이스 학문 = 367
Appendix(부록) : 인컴학 소개
가. HCI라는 학문 명칭의 문제 = 372
나. 인컴학이란? = 377
다. 인컴학은 HCI의 확장 = 378
라. 맺는 말 = 382
찾아보기 =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