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增補)敎育課程探究 增補17版

(增補)敎育課程探究 增補17版 (3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홍우 李烘雨 , 1939-
서명 / 저자사항
(增補)敎育課程探究 / 李烘雨.
판사항
增補17版.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6.  
형태사항
551 p. ; 23 cm.
ISBN
8971894903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545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309045
005 20100805034815
007 ta
008 061123s2006 ulk b 001a kor
020 ▼a 897189490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90 ▼a 375 ▼b 2006c
100 1 ▼a 이홍우 ▼g 李烘雨 , ▼d 1939- ▼0 AUTH(211009)28281
245 2 0 ▼a (增補)敎育課程探究 / ▼d 李烘雨.
250 ▼a 增補17版.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6.
300 ▼a 551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6c 등록번호 1113892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6c 등록번호 1113892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과정에 관한 제과제를 목표모형과 내용모형이라는 교육과제의 두 기본모형을 틀로 하여 이론적으로 정리 . 체계화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홍우(지은이)

李烘雨(1939~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미국 콜럼비아대학(교육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주요 저서 및 역서 인지학습의 이론, 1973, 박종덕(편), 2015. 증보 교육과정 탐구, 1977, 1992, 2010. 증보 지식의 구조와 교과, 1979, 1997, 2006. 교육의 목적과 난점, 1984, 1998, 2016. Living, Knowing and Education, 1985. 주석 증보 교육의 개념, 1991, 2009. 증보 성리학의 교육이론, 2000, 2014. 교육과정 이론(공저), 2003. 대승기신론 통석, 2006. 신수 교육과정 이론, 2017. 미국 교육학의 정체, 2018. J. S. Bruner, 교육의 과정, 1973. R. S. Peters, 윤리학과 교육, 1980, 수정판(공역), 2003. J. Dewey, 민주주의와 교육, 1987, 개정 증보, 2008. D. W. Hamlyn, 경험과 이해의 성장, 1990, 교육인식론(증보), 2010. W. Boyd, 서양교육사(공역), 1994, 개정 증보, 2008. J. R. Manheimer,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공역), 2003. 馬鳴, 大乘起信論, 1991. F. Schiller, 인간의 심성교육, 2019. H. I. Marrou, 서양 고대교육사(공역), 2019.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增補版 序文 = 1
序文 = 13
1. 問題意識 = 19
 Ⅰ. 脫知識敎育 = 21
 Ⅱ. 敎科의 重要性 = 26
 Ⅲ. 知性과 實際性 = 33
2. 基本模型(Ⅰ) : 目標模型 = 42
 Ⅰ. 綜合的 敎育課程 理論 = 43
 Ⅱ. 敎育目標 分類學 = 53
 Ⅲ. 敎育目標의 行動的 陳述 = 60
3. 基本模型(Ⅱ) : 內容模型 = 70
 Ⅰ. 知識의 構造 = 72
 Ⅱ. 探究와 發見 = 82
 Ⅲ. 두 模型의 根本的 差異 = 93
4. 敎育事態와 生活事態 = 97
 Ⅰ. 形式陶冶 理論 = 98
 Ⅱ. 形式陶冶 理論에 대한 批判 = 103
 Ⅲ. 生活適應을 위한 敎育 = 109
5. 學問과 敎科 = 123
 Ⅰ. 敎育의 恒久的 論爭 = 125
 Ⅱ. 學問에의 復歸 = 137
 Ⅲ. 學問中心 敎育課程 = 149
6. 敎科의 價値 = 153
 Ⅰ. 敎科의 正當化 槪念으로서의 '必要' = 156
 Ⅱ. 敎科의 內在的 正當化 = 169
 Ⅲ. 必須 敎育課程 = 180
7. 知的 人間과 道德的 社會 = 183
 Ⅰ. 知識과 合理性 = 186
 Ⅱ. 知的 活動의 道德的 意味 = 191
 Ⅲ. 敎育과 社會의 딜레마 = 199
8. 敎育內容으로서의 知識 = 205
 Ⅰ. 「敎育目標 分類學」에서 본 敎育內容 = 207
 Ⅱ. 學習 位階 理論 = 219
 Ⅲ. 敎育內容으로서의 知識 = 223
 Ⅳ. 螺旋形 敎育課程 = 230
9. 學習者 中心 敎育 = 233
 Ⅰ. 說得을 위한 敎育 = 236
 Ⅱ. 理解를 위한 敎育 = 244
 Ⅲ. 學習者 尊重 = 256
10. 敎授模型 = 265
 Ⅰ. 技術工學的 槪念 = 268
 Ⅱ. 認知過程과 敎授模型 = 276
 Ⅲ. 敎授 行動의 記述 = 285
11. 敎育課程의 運營 = 289
 Ⅰ. 敎育의 逆鍊金術 = 291
 Ⅱ. 「敎育課程」에서 「學習指導案」까지 = 296
 Ⅲ. 理解하는 것이라야 가르칠 수 있다 = 303
12. 潛在的 敎育課程 = 311
 Ⅰ. 學校의 '非公式的' 文化 = 313
 Ⅱ. 學校의 生態 = 318
 Ⅲ. 學校敎育의 結果와 敎育課程 = 327
讀者를 위한 探究課題 = 335
主要 參考文獻 = 345
增補資料
 1. 形式陶冶理論의 魅力과 陷穽 = 357
 2. 知識中心 敎育課程의 再照明 = 381
 3. 敎育의 正當化 槪念으로서의 動機와 理由 = 411
 4. 原理는 가르칠 수 있는가 : 發見學習의 論理 = 429
 5. 敎育評價의 妥當度 : 再解釋 = 453
 6. 韓國敎育學의 定立을 위한 敎授行爲 硏究 = 474
 7. 知識ㆍ情報의 膨脹과 敎育內容의 選定 = 494
 8. 敎育內容의 現代化 = 507
 9. 파이데라스테이아와 胎敎 : 敎育의 原初的 勢力을 찾아서 = 525
索引(人名ㆍ主題) = 54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