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01 교수 - 학습의 기초
1. 발달과 학습의 이론적 기초 = 13
1) 고전적 이론 = 13
2) 사회문화 이론 = 16
3) 다중지능 이론 = 23
2. 목표의 설정 = 27
1) 발달과 학습 이론에 따른 목표 영역 = 27
2) 유치원 교육과정의 목표 = 30
3. 학습내용의 선정 = 34
1) 사실 축적 접근방법 = 34
2) 기능 축적 접근방법 = 36
3) 교과목 영역 선정방법 = 38
4) 주제 중심 선정방법 = 39
5) 학문 중심 선정방법 = 41
6) 총체적 접근방법 = 43
4. 학습 유형 = 46
1) 구상적 학습 유형 = 48
2) 분석적 학습 유형 = 49
3) 상식적 학습 유형 = 49
4) 역동적 학습 유형 = 50
연구문제 = 51
참고문헌 = 52
CHAPTER 02 교사의 역할과 교수-학습방법
1. 교수-학습원리 = 57
1) 놀이 중심의 원리 = 57
2) 개별화의 원리 = 59
3) 자율학습의 원리 = 61
4) 생활 중심의 원리 = 62
5) 통합의 원리 = 62
2. 교사의 자질과 역할 = 63
1) 교사의 자질 = 64
2) 교사의 역할 = 70
3) 학습에 있어서의 교사의 역할 = 76
3. 상호작용 = 76
1) 유아교육에서의 질문 = 77
2) 질문 사용법 = 80
3) 상호작용의 유형 = 93
4. 교수-학습방법 및 접근 = 99
1) 문제해결 교수-학습 = 100
2) 구성주의 교수-학습 = 102
3) 협동학습 = 106
4) 프로젝트 접근법 = 112
5) Reggio Emilia 접근법 = 119
6) Waldorf 접근법 = 126
CHAPTER 03 학습환경
1.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 137
1) 학습환경의 의의 = 137
2) 물리적 학습환경의 중요성 = 140
3) 유아교육기관 환경의 종류 = 144
2. 유아교육기관의 환경구성 = 150
1) 환경구성의 원리 = 150
2) 유아교육 프로그램 접근방법과 활동실의 공간 배치 = 153
3) 유아교육기관 환경의 평가 = 155
4) 유아교육기관 환경의 안전 = 160
3. 유아교육기관의 실내환경 구성 = 162
1) 실내환경 구성 및 관리의 원리 = 162
2) 활동(학습) 영역별 환경 구성 = 166
3) 기본 환경구성 = 202
4) 전시 = 205
4. 유아교육기관의 실외환경 구성 = 207
1) 실외환경 구성의 원리 = 207
2) 실외공간의 특성 = 210
3) 실외공간의 구성 = 215
4) 실외놀이 시설과 설비 = 218
연구문제 = 224
참고문헌 = 225
CHAPTER 04 학습활동의 계획과 운영
1. 교육과정의 계획과 조직 = 229
1) 교육과정 계획 = 229
2) 교육과정 조직 = 230
2. 통합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 = 230
1)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 원리 = 230
2) 주제 선정 = 231
3) 주제통합 계획 = 233
3. 학습활동의 계획 = 236
1) 연(월)간 계획안 = 237
2) 주제 계획안 = 237
3) 주간 교육계획안 = 246
4) 일일 교육계획안 = 252
4. 학습활동의 운영 = 252
1) 일과 계획 = 253
2) 일과 운영 = 259
5. 학습활동의 평가 = 294
1) 일과 계획 및 운영의 평가 = 294
연구문제 = 296
참고문헌 = 297
CHAPTER 05 교수-학습활동
1. 건강과 안전생활 교육 = 301
1) 건강한 안전생활 교육의 중요성 = 301
2) 건강과 안전생활 교육의 목적 = 302
3) 건강과 안전생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302
4) 건강과 안전생활 교육 활동의 예 = 308
2. 언어생활 교육 = 309
1) 언어생활 교육의 중요성 = 309
2) 언어생활 교육의 방향 = 310
3) 언어생활 교육의 목적 = 311
4) 언어생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311
5) 언어생활 교육 활동의 예 = 314
3. 사회생활 교육 = 315
1) 사회생활 교육의 중요선 = 315
2) 사회생활 교육의 목적 = 315
3) 사회생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318
4) 사회생활 교육 활동의 예 = 320
4. 탐구생활 교육(Ⅰ) - 수학교육 = 321
1) 수학교육의 필요성 = 321
2) 수학교육의 목적 = 323
3)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 = 323
4) 수학교육의 내용 = 324
5) 수학교육 활동의 예 = 329
5. 탐구생활 교육(Ⅱ) - 과학교육 = 331
1) 과학교육의 필요성 = 331
2) 과학교육의 기본 방향 = 332
3) 과학교육의 내용 = 334
4) 과학교육 활동의 예 = 335
6. 표현생활 교육 = 338
1) 표현생활교육 영역 = 339
2) 표현생활 영역의 학습내용 = 347
3) 표현생활 교육 활동의 예 = 348
7. 컴퓨터 교육 = 349
1)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 = 349
2) 컴퓨터 교육의 기본 방향 = 350
3) 컴퓨터 교육의 효과 = 351
4) 컴퓨터 교육 활동의 예 = 353
연구문제 = 360
참고문헌 = 361
CHAPTER 06 평가
1. 평가의 정의 = 365
2. 평가의 목적과 역할 = 367
3. 평가의 방법 = 369
1) 평가 유형의 역사적 조망 = 369
2) 참 평가 = 372
3) 표준화 검사 = 394
4. 평가의 영역 = 395
1) 유아평가 = 398
2) 프로그램 평가 = 402
5. 평가결과의 활용 = 403
1) 기록방법 = 403
2) 기록의 활용 = 404
3) 보고 = 405
연구문제 = 408
참고문헌 = 409
부록
부록 Ⅰ 유아의 발달 상황 보고 = 415
부록 Ⅱ 교육실습지침 = 418
부록 Ⅲ 유아 교육환경 평가척도 = 434
부록 Ⅳ 영유아 교육환경 평가척도 = 436
부록 Ⅴ 실외환경 평가척도 = 439
부록 Ⅵ 실외환경 시설 보수ㆍ유지 체크리스트 = 442
부록 Ⅶ 유치원 교육환경 평가척도 = 444
찾아보기 = 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