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4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307667 | |
005 | 20100805031839 | |
007 | ta | |
008 | 061020s2006 ulk b 000c kor | |
020 | ▼a 8984995975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0677869 | |
040 | ▼a 225007 ▼c 225007 ▼d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2 22 |
090 | ▼a 302.23 ▼b 2006L | |
100 | 1 | ▼a 박춘서 ▼0 AUTH(211009)128498 |
245 | 1 0 | ▼a 대항공론과 대안언론 / ▼d 박춘서 지음.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6. | |
300 | ▼a ix, 201 p. ; ▼c 23 cm. | |
440 | 0 0 | ▼a 방송문화진흥총서 ; ▼v 74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2006L | Accession No. 1113845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2006L | Accession No. 1113845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박춘서(지은이)
고려대학교 독어독문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경남대학교 정치언론학부 언론홍보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연구 분야는 인터넷의 대안언론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시민단체들의 인터넷 운용을 대안 언론적 시각에서 분석하기 위한 분석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저서로 <Die nordkoreanische Pressepoltik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Dschutsche-Ideologie und der Massenführung>, 논문으로 “부르주아 공론영역의 몰락과 그 대안으로서 프롤레타리아 공론영역의 제시”,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행위의 합리성과 공론영역 전개의 장으로서 생활세계 고찰”, “시민운동과 대안언론”, “대항공론영역으로서 인터넷에서의 대안언론 요소의 구현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Ⅴ 1장. 시민사회와 공론영역 = 1 1.1. 서론 = 1 1.2. 하버마스의 부르주아 공론영역의 성립과 그 발전 = 6 1.3. 공론영역의 기능 변화 = 13 1.4. 시민사회와 정치적 공론영역 = 16 1.5. 결론 = 27 2장. 대항공론영역과 대안언론 = 32 2.1. 대항공론영역 개념 = 32 2.2. 대항공론영역의 이론적 접근 = 35 2.3. 대항공론영역 시각의 대안언론이론 = 45 3장. 신사회운동과 대항공론영역 = 57 3.1. 신사회운동 = 57 3.2. 학생운동과 대항공론영역 = 64 3.3. 대안운동 = 73 3.4. 주민발의 = 83 4장. 대안언론론: 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 97 4.1. 개념에 대한 제한적 정의 = 97 4.2. 대안언론의 대두 = 99 4.3. 대안언론의 발전 = 103 4.4. 대안언론과 대항공론영역 = 110 4.5. 대안언론의 틀 = 111 4.6. 대안신문의 유형 = 120 4.7. 종합적 고찰 = 128 5장. 대안방송론 = 131 5.1. 서론 = 131 5.2. 대안방송으로서 열린채널 = 133 5.3. 소출력 라디오 방송 = 153 5.4. 결론 = 164 6장. 대안언론 매체로서 인터넷 = 168 6.1. 서론 = 168 6.2. 대안언론과 대안언론 매체로서 인터넷 = 171 6.3. 현실에서의 구현 문제 = 178 6.4. 결론 = 189 참고 문헌 =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