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고령화사회
1. 노인인구의 증가 = 15
1) 노인인구의 증가 = 15
2) 예견되는 노인의 제 특성 변화 = 18
2. 고령화사회의 과제와 전망 = 22
1) 사회적 변화의 전망 = 22
2) 정책수행을 위한 기반 마련 = 23
3) 개별 노인보건복지 정책방안 = 25
4) 결론적 시사점 = 27
3. 치매노인의 실태와 전망 = 30
1) 치매의 유병률과 역학적 특성 = 30
2) 치매의 위험요인 = 33
3) 국가적 정책과 과제 = 35
4) 치매노인을 위한 지원시스템 = 38
제2장 치매의 과학적 근거와 연구
1. 노년기 정신장애의 특징과 분류 = 45
1) 뇌의 퇴행성 변화 = 45
2) 신체상태와 환경의 영향 = 46
3) 노년기 정신장애의 분류 = 46
2. 치매의 정의 = 47
1) 치매의 일반적 정의 = 47
2) 알츠하이머병 = 49
3) 혈관성 치매 = 50
4) 루이체 치매 = 52
5) 전두측두엽 치매 = 54
6) 기타 = 56
3. 치매의 진단과 평가기준 = 57
1) 진단기준과 문진 = 57
2) 검사실 검사 = 62
3) 신경정신과적 검사 = 64
4) 인지기능검사 = 64
4. 치매의 원인과 증상 = 66
1) 치매의 원인 = 66
2) 단계별 증상과 징후 = 68
3) 질환별 증상과 징후 = 71
5. 치매의 치료 = 72
1) 치료방법의 이해 = 72
2) 알츠하이머병의 예방과 치료 = 74
3) 혈관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 = 74
4) 행동장애의 치료 및 합병증의 예방 = 77
6. 치매의 조기발견과 예방 = 78
1) 1차요인의 예방 = 79
2) 2차요인의 예방 = 79
제3장 일반적 케어
1. 지원의 목적 = 107
1) 상태의 정확한 파악 = 107
2) 남아 있는 정신활동기능의 고양 = 109
3) 신체상태의 최대 복귀 = 110
4) 의미 있는 환경의 조성 = 111
5) 가족의 지지 = 114
6) 케어의 원칙과 기술 = 115
2. 시설에서의 케어 = 121
1) 치매노인시설과 케어 = 121
2) 노인시설의 전체적 케어접근법 = 123
3) 개인적 케어접근법 = 128
4) 건강관리와 종말기 케어 = 131
제4장 일상생활의 관리
1. 생활환경의 정비 = 153
2. 식사 = 153
1) 일반적인 고려사항 = 153
2) 문제 시 고려사항 = 155
3. 배설 = 156
1) 일반적 실금관리 = 157
2) 배뇨관리 = 159
3) 배변관리 = 159
4. 개인위생 = 160
1) 구강의 청결 = 161
2) 눈, 귀, 코의 청결 = 162
3) 두발의 청결 = 162
4) 음부의 청결 = 163
5. 수면 = 163
6. 운동과 이동 = 164
제5장 재활프로그램
1. 재활의 의미 = 179
2. 회상요법 = 180
3. 회고요법 = 182
4. 인지요법 = 184
5. 현실요법 = 185
6. 행동요법 = 188
7. 작업요법 = 189
8. 원예요법 = 190
1) 지적인 효과 = 193
2) 사회적인 효과 = 194
3) 정서적인 효과 = 194
4) 신체적인 효과 = 195
5) 환경적인 효과 = 195
9. 미술요법 = 197
10. 운동요법 = 204
1) 경증환자의 운동요법 = 205
11. 음악요법 = 209
제6장 제 외국의 치매관리와 대책
1. 일본의 치매정책과 관리 = 271
1) 노인인구의 증가와 치매노인의 실태 = 271
2) 노인보건의료복지정책과 치매정책 = 272
3) 지역의 치매성 노인에 대한 종합적 시책 = 273
2. 호주의 치매관리 = 278
1) 노인인구의 실태 = 278
2) 치매노인의 실태 = 279
3) 노인케어제도 = 280
4) 치매보호관리 = 283
참고문헌 = 285
찾아보기 =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