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68camccc200349 k 4500 | |
001 | 000045306877 | |
005 | 20100805030206 | |
007 | ta | |
008 | 061017s2006 ulka b 000c kor | |
020 | ▼a 8984996491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0696560 | |
040 | ▼d 21104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59.2 ▼2 22 |
090 | ▼a 659.2 ▼b 2006g ▼c 2 | |
100 | 1 | ▼a Grunig, James E. ▼0 AUTH(211009)57215 |
245 | 1 0 | ▼a PR의 원칙과 책임 : ▼b 무엇을 지켜야 하는가? / ▼d 제임스 그루닉, ▼e 토드 헌트 지음 ; ▼e 박기순, ▼e 박정순, ▼e 최윤희 옮김. |
246 | 1 9 | ▼a Managing public relations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6. | |
300 | ▼a xii, 233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PR의 정석 ; ▼v 5 |
500 | ▼a 이 책은 2004년에 번역 출간된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에서 2부만을 묶어 출간된 책임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Public relations. |
650 | 0 | ▼a Public relations ▼x Management. |
700 | 1 | ▼a Hunt, Todd , ▼d 1938-. ▼0 AUTH(211009)70372 |
700 | 1 | ▼a 박기순 ▼g 朴琪淳 , ▼d 1939- , ▼e 역 ▼0 AUTH(211009)8928 |
700 | 1 | ▼a 박정순 ▼g 朴貞淳 , ▼d 1947- , ▼e 역 ▼0 AUTH(211009)77328 |
700 | 1 | ▼a 최윤희 ▼g 崔潤熙 , ▼d 1946- , ▼e 역 ▼0 AUTH(211009)123054 |
740 | ▼a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2 2006g 2 | Accession No. 1113839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2 2006g 2 | Accession No. 1113839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제임스 그루닉(지은이)
위스콘신대학 대학원을 졸업(박사)하고, 2006년 현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PR연구소 PR 연구 우수상(페스타인 상), 미국PR협회(PRSA) 탁월한 PR 교육자 상, 미국PR협회재단 행동과학연구상(잭슨, 잭슨 앤 와그너 상) 등의 수상 경력이 있다. 지은 책으로 <PR과 PR 테크닉의 관리>(공저), <우수 PR과 PR 관리의 경영자 가이드>(공저), <조직 문화의 두 가지 차원과 그 차원의 PR에 대한 관계의 관찰 및 측정>(공저) 등이 있다.
박기순(옮긴이)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하고 미주리대학교(콜럼비아) 저널리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시건주립대학교(이스트랜싱)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학위와 오하이오대학교(애신스)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 사회과학대학장과 학부장을 역임했다. 한국PR학회와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의 회장에 각각 선출되어 학회 발전에 기여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저서로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저, 2001) 등이 있고, 역서로는 「세계 문화 이해: 김치에서 오페라까지, 상징과 비유로 읽는 세계 문화」(공역, 2002),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역, 2007) 등이 있다.
최윤희(옮긴이)
전 수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공과대학(Texas Tech)과 오하이오대학교에서 각각 매스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해 PR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25권의 저서와 역서를 펴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ⅵ 옮긴이의 글 = xii 01 PR 관리의 기본요소 1. PR의 역할 = 3 1) PRSA 스키마는 실제로 작용을 하는가? = 5 2. 관리의 체계 개념 = 6 1) 폐쇄체계 접근법 = 7 2) 개방체계 접근법 = 7 3) 체계 관리의 가정 = 8 4) 체계 관리의 개념 = 10 3. 체계의 구조와 기능 = 14 1) 조직체 환경의 차이점 = 15 2) 종적 구조 = 18 3) 종적 구조와 환경 = 20 4) 수평구조 = 23 4. 처리과정과 피드백 = 25 1) 관리과정의 몇몇 모형들 = 26 2) 행동적 분자 = 28 5. 응용 사회과학으로서의 PR = 38 02 목표 및 목적의 규정과 선택 1) 득실(bottom line)은 무엇인가? = 46 2) 효과 차원에서 생각하라 = 46 1. PR 목표와 목적의 특성 = 48 1) 누가 어떤 결정을 내리는가? = 49 2. PR 목표와 조직체의 효과 = 50 1) '효과'의 정의 = 51 2) 통제 혹은 적응 = 53 3) 누가 목표를 정하는가? = 54 4) 쌍방적 균형적 목표 수립 = 55 3. PR 목적의 설정 = 57 1) MBO의 효과적인 운용 = 57 4.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초기 이론 = 59 1) 사람들은 정말 '설득'당할 수 있는가? = 60 2) 사람들은 무슨 정보를 추구하는가? = 61 3) PR 효과의 도미노 이론 = 63 4) 효과의 체계 = 64 5.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최근 이론 = 65 1) '금 달걀' 우화 = 66 2) 미디어의 복합적 효과 = 67 3) 공동지향 이론 = 68 4) 태도와 행동 사이의 관계 = 72 5) '에워싸기와 쐐기로 고정하기' = 76 6. PR 목적의 분류법 = 79 03 조직과 공중 사이의 유대 확인 1) 딜레마 해결의 열쇠 = 89 1. 유대 개념 = 90 1) 유대 찾기 = 92 2) 네 가지 중요한 유대들 = 93 3) 유대 개념의 사용방법 = 96 2. 공중(Publics) = 97 1) 공중의 유형 = 102 2) 공중에 관한 PR의 공통적 실수 = 103 3) 공중의 주의 끌기 = 104 4) 크기와 상황의 효과 = 105 3. 공중을 확인하기 위한 상황 이론 = 106 1) 그루닉 이론의 변인들 = 107 2) 공중을 정의하기 위해 독립변인들을 사용하기 = 114 3) 여덟 가지 유형의 공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효과의 확률 = 118 4) 그루닉 이론의 확인 = 121 5) 확률의 함의 = 123 6) 그루닉 이론에 토대를 둔 커뮤니케이션 전략 = 124 7) 연구에 의해 발견된 공중의 공통된 유형 = 126 4. 각 공중을 위한 목적 결정하기 = 128 04 예산 편성과 의사 결정 1. 예산 : 비용 설정 = 134 1) 행정 예산과 프로그램 예산 = 134 2) PR 예산 속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 136 3) 행동적 분자 모형의 확인 및 행동 단계 예산 = 138 2. 네트워크 분석 : 시간의 규정 = 138 1) 갠트 차트 = 140 2) 프로그램 평가 및 재검토 기술 = 141 3) 크리티컬 패스 방법 = 146 3. 의사 결정 : 대안책의 선정 = 148 1) 비용ㆍ이익 분석 = 149 2) 기대값 분석(expected value analysis) = 150 3) 프로그래밍 단순화 = 154 4.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활동 = 159 05 평가 연구 1. PR 경영에 이젠 필수적인 평가 = 163 1) 신중한 주의를 기울이기 = 164 2) 표준국의 평가 = 106 2. 평가 단계 = 167 3. 평가와 경영 과정 = 169 4. 평가 결과를 결정에 적용하기 = 170 5. 과정 평가 = 171 6. 누가 평가를 해야 하는가? = 171 7. 평가 방법 = 172 1) 조사 = 173 2) 실험 = 175 3) 이차적 자료 = 179 4) 질적 분석 = 180 5)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한 이해 = 183 6) 시간 예산 = 183 8. 사회과학 연구의 측정 방법 = 185 1) 사실적 질문 = 185 2) 평가적 질문 = 185 3) 정보에 관한 질문 = 187 4) 자아지각 질문 = 188 9. PR 목적의 측정 = 189 1) 커뮤니케이션 = 189 2) 메시지의 기억 = 192 3) 인지의 수용 = 196 4) 이해의 공동지향적 측정 = 199 5) 태도(평가/행동적 의도) = 200 6) 명백한 행동 = 201 7) 방법들의 결합 = 202 10. 마지막 조언 = 202 06 법적 제약 1. 커뮤니케이션 권리 = 209 1) 기업의 정치적 견해 = 209 2) 방송매체에의 접근권 = 210 3) 정보 접근권 = 211 2. 커뮤니케이트권에 대한 제한 = 212 3. 명예훼손과 비방 = 213 1) '보상금'에 의한 손상 = 214 4. 저작권 = 215 1) 언제나 허락을 받을 것 = 216 5. 사생활권 = 218 1) '뉴스'인가 아니면 '판촉물'인가? = 219 6. 재정 보고서의 구비조건 = 220 1) '전망의 발표'를 피하라 = 221 2) '연례보고서'의 구비조건 = 222 3) '시의적 공표' = 223 7. 광고 규제 = 224 8. 소비자 보호 = 225 9. 노동자의 권리 = 226 10. 로비스트와 외국의 기업주재원들 = 227 1) 외국정부를 대변하는 일 = 228 11. 법과의 공존 =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