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15
제1절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 16
제2절 거시경제학의 태동 = 18
1. 대공황 = 18
2. 최근의 거시경제 동향 = 20
제3절 거시경제학의 관심사 = 22
1. 인플레이션 = 23
2. 총산출과 경기순환 = 24
3. 실업 = 24
제4절 거시경제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 = 25
1. 재정정책 = 25
2. 통화정책 = 26
3. 소득정책 = 26
4. 공급측면의 정책 = 27
5절 거시경제의 구성 = 28
1. 소득의 순환 흐름도-소득순환모형 = 28
2. 세 가지 유형의 시장 분석 = 30
제6절 거시경제학 방법론 = 32
1. 미시경제학과 연계 = 32
2. 총수요와 총공급 = 33
제7절 20세기 한국 경제: 추세와 순환 = 35
제2장 국민소득계정 = 39
제1절 국내총생산(GDP) = 40
1. 중간재와 부가가치 = 40
2. 중고품과 증권거래의 배제 = 42
3. GDP와 GNP = 42
제2절 GDP의 계산방법 = 44
1. 지출접근방법 = 44
2. 소득접근방법 = 49
제3절 소득의 기타 측정방법 = 52
제4절 명목 GDP와 실질 GDP = 54
제5절 GDP 개념의 한계 = 57
1. GDP와 사회복지 = 57
2. 지하경제 = 59
제3장 거시경제학의 과제 = 63
제1절 경기후퇴와 실업 = 64
1. 실업의 정의와 측정방법 = 64
2. 실업률의 구성요소 = 67
3. 실업의 비용 = 70
4. 경기후퇴의 편익 = 74
제2절 인플레이션 = 75
1. 인플레이션의 정의 = 76
2. 물가지수 = 77
3. 인플레이션의 비용 = 84
제4장 균형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87
제1절 총산출과 국민소득 = 88
제2절 균형국민소득 결정을 위한 제조건 = 89
1. 소득(Y), 소비(C)와 저축(S) = 89
2. 투자(I) = 93
3. 총수요 또는 총지출(AE) = 96
제2절 균형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 97
1. 총산출ㆍ총지출(총공급ㆍ총수요)의 균형 = 97
2. 저축ㆍ투자의 균형 = 102
3. 균형으로의 조정과정 = 104
4. 균형 소득수준의 변화: 승수효과 = 105
5.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 107
6.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 = 109
제5장 정부와 재정정책 = 113
제1절 정부부문의 도입 = 114
1. 정부구매(G), 조세(T), 가처분소득(Yd) = 114
2. 정부부문이 도입된 총수요 또는 총지출(AE) = 116
3. 균형 총산출(국민소득)수준의 결정: Y=C+I+G = 118
제2절 재정정책: 승수효과 = 123
1. 정부지출승수 = 123
2. 조세승수 = 126
3. 균형예산승수 = 128
제6장 화폐공급과 통화정책 = 131
제1절 화폐의 정의와 측정 = 131
1. 화폐의 기능과 의의 = 132
2. 상품화폐와 불환지폐 = 134
3. 통화량의 측정 = 136
제2절 예금은행의 신용창조 = 139
1. 은행의 기원: 골드스미스(Goldsmiths) = 139
2. 은행의 대차대조표 = 141
3. 은행의 통화창출과정 = 142
4. 통화창출과정의 확장 = 146
제3절 중앙은행의 본원통화 공급 = 147
1. 중앙은행의 기능 = 148
2. 본원동화의 공급 = 149
제4절 통화공급함수 = 152
제5절 통화금융정책수단 = 154
1. 법정지불준비율 정책 = 154
2. 재할인율 정책 = 155
3. 공개시장조작 정책 = 166
제7장 화폐에 대한 수요 = 159
제1절 고전학파의 화폐수요이론; 화폐수량설 = 160
1. 교환방정식 = 160
2. 현금잔고방정식 = 162
제2절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 유동성선호설 = 165
1. 케인즈의 화폐수요함수 = 165
2. 이자율의 결정 = 172
제3절 통화주의자의 화폐수요이론; 신화폐수량설 = 177
1. 접근방법 = 178
2. 신화폐수량설의 내용 = 180
제8장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 = 183
제1절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 = 184
1. IS곡선의 정의 및 도출 = 184
2. IS곡선의 기울기 결정요인 = 187
3. IS곡선의 이동 = 190
4.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불균형 = 194
제2절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195
1. LM곡선의 정의와 LM곡선의 도출 = 195
2. LM곡선의 기울기 = 199
3. LM곡선의 이동 = 204
4. 화폐시장의 균형과 불균형 = 207
제3절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수요측 균형) = 209
제4절 IS-LM 분석의 한계 = 212
제9장 IS-LM 모형에서의 정책효과 = 215
제1절 균형이자율과 국민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16
1. 화폐의 영향: LM곡선의 이동 = 216
2. 실물의 영향: IS곡선의 이등 = 217
제2절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222
1. 재정정정책의 유효성 = 223
2. 통화정책의 유효성 = 232
제3절 종합 = 239
제10장 총수요ㆍ총공급과 거시경제정책 = 241
제1절 총수요곡선(Aggregate Demand Curve) = 242
1. 총수요곡선의 도출 = 242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244
제2절 노동시장과 총공급곡선 = 247
1. 총생산함수 = 247
2. 노동시장의 균형 = 249
3. 총공급곡선의 도출 = 256
제3절 거시경제 전체균형 = 271
제4절 총수요관리정책과 거시경제균형의 이동 = 275
1. 총수요관리정책과 총공급관리정책 = 275
2. 총수요관리정책 = 278
3. 고전학파와 극단적인 케인즈학파의 비교 = 285
제11장 인플레이션, 실업 및 필립스곡선 = 293
제1절 인플레이션의 발생원인 = 293
1.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 pull inflation) = 295
2. 비용인상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 = 299
3. 혼합형 인플레이션 = 303
제2절 필립스곡선 = 304
1. 필립스 곡선의 정식화 = 304
2. 필립스 곡선의 안정성 = 307
3. 기대가 포함된 필립스 곡선과 자연실업률 가설 = 312
제12장 소비이론과 투자이론 = 321
제1절 소비이론 = 322
1. 케인즈의 소비함수: 절대소득가설 = 322
2. 소비함수 논쟁 = 325
3. 상대소득가설 = 329
4. 항상소득가설 = 332
5. 라이프 사이클 가설 = 336
제2절 투자결정의 이론 = 343
1. 투자의 의의 = 343
2. 기대수익에 의한 투자결정이론 = 344
3. 가속도원리 = 351
3. 신축적 가속도원리 = 352
4. 토빈의 'q' 투자이론 = 354
제13장 경기변동이론 = 357
제1절 경기변동의 의의와 종류 = 358
1. 경기변동의 의의 = 358
2. 경기변동의 국면 = 359
3. 경기지표 = 362
4. 경기변동의 유형 = 364
제2절 경기변동이론 = 366
1. 전통적 경기변동이론 = 367
2. 케인지안의 경기변동이론 = 369
3. 균형경기변동이론 = 375
4.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383
제14장 경제성장이론 = 389
제1절 경제성장의 의의 = 390
1. 경제성장과 경제발전 = 390
2. 경제성장의 요인 = 390
3. 경제성장의 정형화된 사실 = 394
제2절 해로드ㆍ도마의 성장이론 = 395
1. 투자의 이중성 = 396
2. 자본의 완전가동조건: 적정성장률 = 398
3. 노동의 완전고용조건: 자연성장률 = 401
4. 해로드-도마모형의 시사점 = 402
제3절 신고전학파의 성장이론 = 405
1. 솔로우 모형의 기본방정식 = 405
2. 솔로우 모형의 동태적 균형 = 408
제4절 내생적 성장이론 = 412
1. AK 모형 = 413
2. 외부효과를 갖는 성장모형 = 415
색인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