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5
1.1. 연구의 목적 = 15
1.2. 억양의 특성 = 19
1.3. 억양표기의 문제점 = 20
1.4. 연구의 구성 = 22
제2장 전통적 억양표기 체계 = 25
2.1. 억양에 대한 기본 입장 = 25
2.2. 미국식 억양분석 = 26
2.2.1. 단계식 억양표기 = 28
2.2.2. 미국식 억양표기의 문제점 = 31
2.3. 영국식 억양분석 = 34
2.3.1. 그림에 의한 억양표기 = 36
2.3.2. 영국식 억양표기의 문제점 = 38
제3장 영어 억양교육의 실재 = 43
3.1. 영어 교과서에 포함된 억양기술의 특성과 문제점 = 43
3.1.1. 교과서의 억양표기 문제점 = 55
3.2. 영어 억양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 = 55
3.2.1 기존연구의 특징 및 문제점 = 56
제4장 억양음운론 = 61
4.1. 자립분절 율격이론 = 62
4.1.1. 율격구조에 근거한 억양분석 = 62
4.1.2. 두 단계의 피치 기술 = 64
4.1.2.1. 두 단계 분석의 필요성 = 65
4.1.2.2. 일정한 높이의 목표 값 = 68
4.1.3. 선형적(Linear) 구조 = 71
4.1.4. 억양곡선의 음성적 실현 = 72
4.1.4.1. 기저성조 = 72
4.1.4.2. 기울기 = 73
4.1.5. 강세와 악센트의 관계 = 75
4.1.5.1. 피치곡선에서의 강세 = 75
4.1.5.2. AM이론의 관점 = 76
4.1.6. 정렬 = 78
4.2. 영어 억양음운론 = 81
4.2.1. Pierrehumbert(1980)의 억양모델 = 82
4.2.1.1. 영어의 적격음조 = 82
4.2.1.2. 억양음운론의 기본 문법 = 83
4.2.1.3. 억양의 구성요소 = 88
4.2.1.3.1. 피치악센트 = 88
4.2.1.3.1.1. 단일성조 = 88
4.2.1.3.1.2. 이중성조 = 91
4.2.1.3.2. 가장자리 성조 = 100
4.2.1.3.2.1. 구 악센트(H-, L-) = 100
4.2.1.3.2.2. 경계성조(H%, L%) = 107
4.2.1.4 단계하강과 단계상승 = 110
4.2.1.5. 중간구와 억양구 = 115
4.2.2. 억양음운론에 대한 수정안 = 122
4.2.2.1. Beckman & Pierrehumbert(1986) = 122
4.2.2.2. ToBI(Tones & Break Indices) = 124
제5장 영어 억양과 의미와의 관계 = 133
5.1. 억양의미에 관한 기존 억양이론의 관점 = 133
5.1.1. 미국학파의 억양의미 분석 = 133
5.1.2. 영국학파의 억양의미 분석 = 136
5.2. 억양음운론의 의미분석 = 144
5.2.1. 언어와 준언어의 구분 = 145
5.2.2. 억양음조의 해석 = 147
5.2.3. 억양음조 구성요소들의 의미 = 149
5.2.3.1. 피치악센트의 의미 = 149
5.2.3.1.1. 단일성조( H* ㆍ L* )의 의미 = 150
5.2.3.1.2. 이중성조(L+HㆍH+L)의 의미 = 155
5.2.3.2. 구성조(HㆍL)의 의미 = 163
5.2.3.3. 경계성조(H%ㆍL%)의 의미 = 166
5.2.4. 의미에 대한 복합적 접근 = 168
5.2.5. 악센트 위치에 따른 의미변화 = 172
제6장 억양의미에 관한 실험연구 = 177
6.1. 의미 차이에 의한 경계성조의 실현 = 177
6.1.1. 실험 = 178
6.1.1.1. 피험자 = 178
6.1.1.2. 실험 자료 = 179
6.1.1.3. 실험절차 = 180
6.1.2. 실험결과 = 181
6.1.2.1. 모국어 화자 = 181
6.1.2.2. 한국인 화자 = 186
6.1.3. 논의 = 194
6.2. 영어의 호격과 동격의 억양실현 = 195
6.2.1. 실험연구의 배경 = 195
6.2.1.1. Pierrehumbert(1980)의 관점 = 195
6.2.1.2. Pierrehumbert & Beckman(1986)의 관점 = 197
6.2.2. 실험 = 200
6.2.2.1. 실험절차 = 200
6.2.3. 실험결과 = 201
6.2.3.1. 첫 번째 실험: Pierrehumbert & Beckman(1986)의 검증 = 201
6.2.3.1.1. 실험 자료 = 201
6.2.3.1.2. 실험결과 및 논의 = 202
6.2.3.2. 두 번째 실험: 평서문에서의 호격과 동격의 실현 = 204
6.2.3.2.1. 실험 자료 = 204
6.2.3.2.2. 실험결과 = 205
6.2.3.2.2.1. 모국어 화자 = 205
6.2.3.2.2.2. 한국인 화자 = 209
6.2.3.2.3. 논의 = 215
6.2.3.3. 세 번째 실험: 의문문에서의 호격과 동격의 실현 = 216
6.2.3.3.1. 실험 자료 = 217
6.2.3.3.2. 실험결과 = 218
6.2.3.3.2.1. 모국어 화자 = 218
6.2.3.3.2.2. 한국인 화자 = 223
6.2.3.3.3. 논의 = 227
6.3. 결론 = 230
제7장 결론 = 233
7.1. 영어교육에의 제언 = 236
7.2. 앞으로의 연구 방향 = 238
참고 문헌 =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