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인간과 사회 = 9
1. 학문 = 9
2. 인간과사회 = 10
3. 사회현상 = 13
제2장 현대사회와 정치학 = 17
1. 현대사회의 위기 = 17
2. 정치 = 20
3. 정치학 = 23
제3장 정치학의 과학적 접근 = 31
1. 정치학의 발전 = 31
2. 과학적 연구의 토대 = 34
3. 과학적 연구방법의 적용 = 40
4. 과학적 연구의 한계 = 48
제4장 정치권력 = 54
1. 개념 = 54
2. 정치권력의 이론 = 57
3. 정치권력의 특성과 안정화 방법 = 58
4. 통치수단과 권력변동 = 60
제5장 정치과정(Ⅰ) = 62
1. 정당 = 62
2. 이익집단 = 81
제6장 정치과정(Ⅱ) = 89
1. 대중운동과 정치선전 = 89
2.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 92
3. 정치적 무관심 = 96
제7장 선거와 여론 = 98
1. 선거 = 98
2. 대표제와 선거과정의 문제 = 100
3. 여론과 매스컴 = 108
제8장 정치적 리더십 = 118
1. 리더십의 개념 = 118
2. 리더십과 권력(power) = 120
3. 리더십 이론 = 122
4. 정치적 리더십(political leadership) = 135
제9장 정치 이데올로기 = 139
1. 민주주의 = 139
2. 파시즘(FASCISM) = 157
3. 페미니즘(FEMINISM) = 170
4. 환경주의 = 184
5. 포스트모더니즘 = 197
제10장 지방자치와 의회 = 200
1. 지방자치의 개념 = 200
2. 지방자치의 구성요소와 가치 = 202
3.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 204
4. 지방의회 = 208
제11장 국제관계 = 215
1. 국제체계의 발전과 개념 = 215
2. 국제분야의 연구대상 = 218
3. 국제관계의 이론 = 223
제12장 전쟁과 평화 = 226
1. 전쟁관의 변천 = 226
2. 안전보장과 군축 = 229
3. 군축 = 233
제13장 한국정치 = 235
1. 한국정치의 특징 = 235
2. 한국정치 연구의 토대 = 237
3. 한국정치사 연구의 과제 = 241
제14장 북한사회 = 246
1. 북한지수와 시각 = 246
2. 한반도분단의 형성 = 248
3. 미ㆍ소의 분할 점령 = 253
4. 김일성집권 = 258
5. 한국전쟁과 유일체제 확립 = 261
6. 후계자 문제 = 265
참고문헌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