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303642 | |
005 | 20170306112708 | |
007 | ta | |
008 | 060918s2006 ulka 001c kor | |
020 | ▼a 8976829646 ▼g 03900 | |
035 | ▼a (KERIS)BIB000010659763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21.9 ▼2 22 |
085 | ▼a 321.9 ▼2 DDCK | |
090 | ▼a 321.9 ▼b 2006 | |
245 | 0 0 | ▼a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 ▼b 대중독재와 박정희 체제 / ▼d 장문석, ▼e 이상록 엮음 |
260 | ▼a 서울 : ▼b 그린비, ▼c 2006 | |
300 | ▼a 446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기획: 비교역사문화연구소 | |
700 | 1 | ▼a 장문석, ▼e 편 ▼0 AUTH(211009)16818 |
700 | 1 | ▼a 이상록, ▼e 편 ▼0 AUTH(211009)116020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113793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113793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1176805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211332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211332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512174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512174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113793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113793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1176805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211332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211332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512174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9 2006 | Accession No. 1512174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독재에 침묵적으로 순응하거나 적극적으로 공모하는 대중의 모습을 발견하면서 주목받고 있는 대중독재론. 이를 한국의 박정희 체제에 본격적으로 적용시킨 연구들을 담았다. 2006년 4월 개최되었던 '2006 춘계 대중독재 학술토론회'에서 나온 성과물을 모은 책. '억압적인 소수자'와 '저항하는 다수'라는 기존의 이분법적인 독재 분석에서 탈피해 박정희 체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임지현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장을 비롯한 기존 대중독재론 그룹 외에도 최갑수, 고병권, 정희진, 조희연 등의 외부 연구자들과, 윤해동, 김준, 김원 등 박정희 체제에 전문성을 가진 필자들이 참여하여 시각의 폭을 보다 확대하고 있다. 또한 2004년 대중독재 개념이 처음 등장한 이래로 나왔던 생산적인 비판과 제안들을 수용한 논의를 전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독일 나치를 비롯한 서양의 근대와 대중독재 간의 관계를 논의하는 1부에 이어, 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박정희 체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박정희의 미출간 저작인 <한국민주주의>를 발굴해 이 책에서 드러나는 박정희 독재의 '주권독재적 성격을 분석한 논문, 일상사와 미시사의 관점에서 노동자와 도시하층민, 청년문화와 사회정화 담론 등을 분석한 연구 등이 실려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임지현(지은이)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겸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소장. 유럽 지성사·폴란드 근현대사·지구사 연구자. 전 세계의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 연구자들과 함께 초국가적 역사의 관점에서 일국사 패러다임을 비판하는 작업을 주도해왔다. 현재는 역사에서 기억으로 관심을 이동하여 인문한국 프로젝트인 ‘지구적 기억의 연대와 소통: 식민주의, 전쟁, 제노사이드’를 주도하며 기억의 연대를 통한 동아시아의 역사 화해를 모색하고 있다. 100편이 넘는 논문을 국내와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폴란드, 프랑스 등지의 저명 저널과 출판사에서 출간했다. 최근작으로는 《기억 전쟁》(휴머니스트, 2019)과 Mnemonic Solidarity: Global Interventions(편저, Palgrave Macmillan, 2021)가 있으며, 2022년 미국의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에서 Global Easts: Remembering-Imagining-Mobilizing을 출간할 예정이다. 독일의 Moving the Social, 미국의 Global-e를 비롯해 여러 국제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있으며, 팔그레이브 출판사의 기억 총서 ‘Entangled Memories in the Global South’의 책임편집을 맡고 있다. 2015년 ‘글로벌 히스토리 국제네트워크(NOGWHISTO)’의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세계역사학대회(CISH)’, ‘토인비재단(Toynbee Prize Foundation)’, ‘기억연구학회(Memory Studies Association)’ 등 국제학회의 이사 및 자문위원으로 있다. 최근에는 기억활동가를 자처하며 홀로코스트 집시 희생자 사진전 〈이웃하지 않은 이웃〉(2019)을 기획·전시하고 ‘메모리 액티비즘’에 대한 기획 강연 등 기억 연구와 풀뿌리 역사의 실천적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조희연(지은이)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고병권(지은이)
작가, 노들장애학궁리소 회원. ‘읽기’에 대한 열정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 ‘읽기의집’에서 일명 ‘고집사’로 살림하며 지내고 있다. 주로 국가, 자본, 인간의 한계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했고, 대학원에 들어가서는 사회학을 공부했다. 1991년 마르크스의 《자본》을 처음 읽었고, 그 후 여러 번 다시 읽었으며, 다양한 공부 모임에서 《자본》 읽기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 2016년 어느 공부 모임에서 열두 번에 걸쳐 이뤄진 《자본》 강의가 이 책의 뿌리가 되었다. 니체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이해를 담은 《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언더그라운드 니체》, 《다이너마이트 니체》, 현장에서 사람들을 만나며 삶과 철학의 관계를 고민한 《고추장, 책으로 세상을 말하다》, 《“살아가겠다”》, 《철학자와 하녀》, 《묵묵》, 대의제와 민주주의, 정치참여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점거, 새로운 거번먼트》 등 다양한 책을 썼다.
김학이(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보훔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아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나치즘과 동성애―독일의 동성애 담론과 문화》(2013)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윌리엄 레디의 《감정의 항해―감정 이론, 감정사, 프랑스혁명》(2016), 마르틴 브로샤트의 《히틀러국가―나치 정치혁명의 이념과 현실》(2011) 등이 있다.
정희진(지은이)
여성학 박사, 이화여대 초빙교수로, 오디오 매거진 ‘정희진의 공부’ 편집장이다. 지은 책으로 《페미니즘의 도전》 《정희진처럼 읽기》 《아주 친밀한 폭력》 등이 있다.
최갑수(지은이)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전공 분야는 서양근대사이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교수로 36년간 서양사상사와 프랑스혁명사를 가르쳤다. 한국서양사학회와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 <프랑스혁명사>(역서, 2018), <혁명과 민주주의>(공저, 2018), <역사용어사전>(편찬책임, 2015), <파리의 풍경>(전 6권, 공역, 2014), <프랑스의 열정: 공화국과 공화주의>(공저, 2011) 등이 있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으로 일했고, 2020년 현재 세계역사학대회 프랑스혁명사 국제위원회 위원이자 ‘시민과 함께하는 연구자의 집’ 운영위원장이다.
윤해동(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현재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교수, 한국사와 동아시아사를 대상으로 한 저작으로 『식민지의 회색지대』(역사비평사, 2003), 『지배와 자치』(역사비평사, 2006), 『근대역사학의 황혼』(책과함께, 2010), 『植民地がつくった近代』(三元社, 2017),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책과함께, 2018) 등이 있음. 주요 관심 분야는 평화와 생태를 중심으로 한 융합인문학 연구임. geobookz@gmail.com
임승휘(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졸업(학사) 프랑스 파리 4대학 소르본 졸업(석사) 프랑스 파리 4대학 소르본 졸업(박사) 현 선문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저서 : 『절대왕정의 탄생』, 『유럽의 절대 군주는 어떻게 살았을까?』 등 역서 : 『국가론』, 『유럽 문명의 역사』 등
김원(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 서강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구술사학회 편집위원, 『실천문학』 편집위원 등을 맡았으며, 주요 저서로는 『여공 1970, 그녀들의 반역사』(2006),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2011), 『잊혀진 것들에 대한 기억』(1999), 『87년 6월 항쟁』(2009) 등이 있다. 최근 관심 분야는 냉전 동아시아에서 서발턴의 기억에 관한 것이다.
장문석(엮은이)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남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유럽 현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민족주의 길들이기』, 『피아트와 파시즘』, 『파시즘』, 『민족주의』, 『근대정신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국부의 조건』(2인 공저), 『자본주의 길들이기』 등이 있고, 역서로 『만들어진 전통』(2인 공역), 『제국의 지배』, 『래디컬 스페이스』, 『스페인 은의 세계사』, 『현대 유럽의 역사』, 『파시즘의 서곡, 단눈치오』,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법칙』 등이 있다.
이상록(엮은이)
한국현대사를 전공하는 역사학자이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으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 사학과에서 겸임교수로 전공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사학과에서 「『사상계』에 나타난 자유민주주의론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문제연구소에서 편집위원장과 연구실장을, 문화사학회?한국구술사학회에서 편집위원을 각각 역임했다. 현재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역사비평』 편집위원, 『사학연구』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사상으로 본 독재와 민주주의’, ‘산업화 시대의 일상사’ 등이다. 주요 논저로는 『20세기 여성사건사』(공저), 『일상사로 다시 보는 한국근현대사』(공저), 『대중독재의 영웅만들기』(공저),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공저), 『호모 에코노미쿠스, 인간의 재구성』(공저), 『인물로 읽는 한국현대정치사상의 흐름』(공저), 「1960~1970년대 조지 오글 목사의 도시산업선교 활동과 산업 민주주의 구상」, 「TV, 대중의 일상을 지배하다 - 1961년 12월 31일 KBS TV 개국과 대중문화혁명」, 「‘디아스포라(Diaspora)’를 ‘민족국가’로 회수하지 않기」, 「1960~70년대 ‘인간관리’ 경영지식의 도입과 ‘자기계발’하는 주체」, 「산업화시기 ‘출세’?‘성공’ 스토리와 발전주의적 주체 만들기」, 「1979년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을 통해 본 한국의 인권 문제」 등이 있다.
비교역사문화연구소(기획)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RICH: Research Institute of Comparative History and Culture)는 '제국과 민족', '자본과 노동', '독재와 민주주의', '근대와 탈근대'등 한국 사회의 이론적 쟁점과 현실적 이슈들을 비교사의 관점에서 고찰한다는 취지로 설립되었다. 연구소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은 서구의 역사적 경험을 '보편'으로 설정하고 그 거울에 비추어 한반도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을 '특수'로 자리매김하는 유럽중심주의적 비교사의 틀을 넘어서, 한반도와 동아시아 그리고 서구의 역사를 '얽혀 있는 역사(Histoire Croisee)'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 장문석 = 5 1부 서양의 근대와 대중독재 서론 : 서구 근대의 테오레마에 대한 역사(철학)적 성찰 / 장문석 = 17 독재와 민주주의의 '근대적' 기원 / 임지현 = 31 근대와 전근대, 혹은 정상과 일탈 = 31 역사주의와 유럽중심주의 = 36 식민주의와 오리엔탈리즘 = 46 폭력의 근대성에 대한 성찰 = 62 근대 주권론의 역사적 함의 : 왕권신수설에서 국민주권론까지 / 임승휘 = 65 보댕의 주권론과 왕권신수설 = 68 인민의 주권에서 국민의 주권으로 = 72 시에예스와 의회민주주의 = 80 칼 슈미트와 주권독재 = 87 에필로그 = 91 계급에서 국민으로 : 파시즘의 전체주의 기획과 토리노 노동자들 / 장문석 = 95 들어가며 = 95 생산과 국민 : 전체주의로 이끌리는 담론들 = 101 폭력과 강제 : 20년대 노동의 봉쇄 = 105 조직과 신화 : 30년대 동의의 생산 = 113 나오며 = 121 나치 독재와 대중 / 김학이 = 125 개념 = 125 나치 국가와 노동자의 일상 = 132 나치의 유대인 정책과 독일인의 일상 = 145 나치즘과 재즈 = 166 총괄 : 권력의 틈과 '잉여적' 주체 = 174 토론문 : 대중의 모호성과 잠재성 / 고병권 = 177 토론문 : '대중독재'에 관한 몇 가지 질문들 / 고원 = 195 토론문 : 주권, 파시즘, 독재, 민주주의 / 최갑수 = 204 2부 한국의 근대와 대중독재 서론 : '대중독재론', 박정희 체제 분석의 유용한 칼날 혹은 거추장스러운 갑옷 / 이상록 = 221 '대중독재' 론과 한국의 민주주의 / 윤해동 = 230 문제제기 : 독재와 민주주의 = 230 대중독재론, 어떻게 볼 것인가? = 232 대중독재와 '유신체제' :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235 맺음말 = 254 박정희 시대의 노동 : 울산 현대조선 노동자를 중심으로 / 김준 = 257 박정희 시대에 대한 향수 = 257 박정희 시대와 노동자 삶의 '향상' = 262 박정희 시대와 현대조선 = 265 묵종과 저항의 모순적 변증법 = 282 박정희 시대와 노동자 : 결론을 대신하여 = 288 박정희 시기 도시하층민 : 부마항쟁을 중심으로 / 김원 = 293 들어가며 = 293 1979년 4월, 경제안정화 정책 : 신자유주의적 기원 = 298 부마항쟁의 전개과정과 성격 = 303 도시하층민의 타자화 = 320 나오며 : 대중독재론과 도시하층민의 '정치' = 329 박정희 체제의 '사회정화' 담론과 청년문화 / 이상록 = 335 '사회정화'에의 강박증 = 339 청년문화 : 분열된 주체와 규범 넘나들기 = 351 학생운동 : 지배 속의 저항, 저항 속의 지배 = 364 맺음말 = 373 토론문 : 대중독재론의 균열과 역설 그리고 딜레마 : 특히 박정희 정권기 연구와 관련하여 / 김보현 = 377 토론문 : 대중독재론과 현실의 역사적 분석 / 이기훈 = 393 토론문 : 한국사회의 지식 생산 방법과 대중독재론 / 정희진 = 403 토론문 : 대중독재론의 확장과정에서의 긴장지점 / 조희연 = 420 참관문 :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 김상수 = 425 찾아보기 =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