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판 머리말 = 3
1판 머리말 = 7
제1장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 17
제1절 교육방법의 개념 및 유형 = 19
1. 교육방법의 개념 = 19
2. 교육방법의 유형 = 20
제2절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 25
1. 교육공학의 개념 = 25
2. 교육공학의 영역 = 30
3.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계 = 37
제3절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최근 동향 = 39
1. 이러닝의 발달 = 39
2. 전자책과 전자교과서 = 41
3. 구성주의 학습방법 = 44
4. 유비쿼터스 러닝 = 45
제2장 교수-학습개론 = 51
제1절 교수-학습의 체제 = 53
1. 교수-학습의 과정 = 53
2.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 59
제2절 교수-학습의 전개 = 65
1. 교수목표의 설정 = 65
2. 출발점 행동의 진단 = 68
3. 학습내용의 선정 및 조직 = 71
4. 교수활동의 전개 = 79
5. 교수활동의 평가 = 88
제3절 교수-학습의 동향과 교수공학 = 92
1. 산업사회와 정보사회 교수-학습 패러다임 = 92
2. 교사와 학생의 역할 변화 = 95
3. 학습자중심 교육환경과 교수공학 = 97
제3장 교수-학습의 기저 이론 = 101
제1절 교수-학습이론의 기저 개관 = 103
제2절 행동주의 학습이론 = 105
1. 학습관 및 이론적 가정 = 105
2. 학습이론 = 106
3. 학습원리 = 111
4. 교수설계의 시사점 = 113
제3절 인지주의 학습이론 = 115
1. 학습관 및 이론적 가정 = 115
2. 학습이론 = 116
3. 학습원리 = 119
4. 교수설계의 시사점 = 120
제4절 구성주의 학습이론 = 122
1. 학습관 및 이론적 가정 = 122
2. 학습이론 = 123
3. 학습원리 = 126
4. 교수설계의 시사점 = 129
제4장 교수설계 이론 = 133
제1절 교수설계의 이해 = 135
1. 교수설계의 개념 = 135
2. 교수설계와 체제적 접근 = 137
3. 교수설계의 일반적 원리 = 138
4. 교수설계 이론의 특성 = 140
제2절 교수설계의 요소 및 절차 = 142
1. 교수설계의 요소 = 142
2. 교수설계의 일반적 절차 = 145
제3절 교수설계의 모형 = 148
1.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 148
2. 글레이저의 모형 = 151
3. 딕과 캐리의 모형 = 152
4. 스미스와 라간의 모형 = 156
제5장 교수설계의 실제-ASSURE 모델 적용 = 163
제1절 ASSURE모델의 이해 = 165
1. 학습자 분석 = 165
2. 목표 진술 = 166
3. 교수-학습 방법, 매체 및 자료의 선정 = 167
4. 매체와 자료의 활용 = 168
5. 학습자 참여 유도 = 169
6. 평가 = 169
제2절 교수설계 따라하기 = 171
1. 학습자 분석 = 171
2. 목표 진술 = 172
3. 교수-학습 방법, 매체, 자료의 선정 = 173
4. 매체와 자료의 활용 = 173
5. 학습자 참여 유도 = 175
6. 평가 = 176
제3절 교수설계 스스로하기 = 177
1. 교수설계 실습을 위한 교육내용 선정 = 177
2. 학습자 분석단계 실습하기 = 178
3. 목표 진술 실습하기 = 179
4. 교수-학습 방법, 매체, 자료의 선정 실습하기 = 180
5. 매체와 자료의 활용 실습하기 = 181
6. 학습자 참여 유도 = 182
7. 평가 = 183
제6장 교수방법의 유형과 특성 = 185
제1절 교수방법의 유형과 특성 = 187
1. 학습단위별 유형 = 187
2.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과 특성 = 190
제2절 최근의 학습방법과 매체의 활용 = 203
1. 인지적 도제학습 = 203
2. 문제중심학습 = 207
3. 자원기반학습 = 215
제7장 교수매체에 대한 이해 = 225
제1절 교수매체의 개념 = 227
1. 교수매체의 정의 = 227
2. 교수매체의 변화와 발전 = 228
3. 교수매체와 커뮤니케이션 모형 = 229
4. 교수매체의 기능과 학습 효과성 = 233
제2절 교수매체의 유형과 특성 = 236
1. 매체가 주 전달 대상으로 하는 감각기관에 따른 분류 = 236
2. 빛을 투사하는 장치의 사용 여부에 따른 분류 = 236
3. 전달도구 또는 표현의 대상에 따른 분류 = 237
4. 처리하는 데이터의 성질에 따른 분류 = 237
5. 정보의 밀도와 참여도에 따른 분류 = 238
6. 세대별 구분에 따른 분류 = 238
7. 교수보조 교구의 성격에 따른 분류 = 238
8. 전자적인 방법의 사용 여부에 따른 분류 = 239
9. 원격전송 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 = 239
10. 전달도구와 전달되는 내용에 따른 분류 = 240
11. 상호 작용성 여부에 따른 분류 = 240
12. 호반에 의한 시각자료 분류 = 241
13. 데일의 경험의 원추에 의한 분류 = 241
제3절 교수매체의 제작과 활용 = 243
1. 전통적 매체 = 243
2. 뉴미디어 = 248
제4절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 252
1. 교수매체 선정 기준 및 활용 절차 = 252
2. 매체의 선정과 활용 = 253
제5절 미래형 교수매체의 역할과 활용 = 256
1. 발전적인 매체의 역할 = 256
2. 발전적인 매체의 활용 유형 = 257
3. 교수-학습 활동과 매체 통합의 절차 = 258
4. 매체 활용에 대한 교사의 준비 = 261
제8장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교육 = 265
제1절 컴퓨터와 멀티미디어의 발전과 특성 = 267
1. 컴퓨터와 멀티미디머의 발전 = 267
2. 컴퓨터와 멀티미디어의 특성 = 268
제2절 컴퓨터와 멀티미디어의 활용 = 270
1.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유형 = 270
2.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유형 = 272
3.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장단점 = 276
제3절 멀티미디어의 설계와 개발 = 281
1. 개발계획 수립 = 282
2. 분석 = 282
3. 설계 = 284
4. 개발 = 285
5. 평가 및 마스터링 = 285
제4절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자료의 선정과 평가 = 286
제9장 원격교육과 ICT 활용교육 = 293
제1절 원격교육의 이해 = 295
1. 원격교육의 개념 = 295
2. 원격교육의 특성 = 296
3. 원격교육의 형태 = 297
4. 원격교육의 장단점 = 298
제2절 ICT 활용 교육과정 = 300
1. ICT 활용 교육의 목표 = 300
2.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의 범주 = 306
제3절 ICT 활용 교수-학습 활동 유형 = 311
1. ICT 활용 교육의 기본 방향 = 311
2. ICT 활용 교수-학습 활동 유형 = 312
제4절 ICT 활용 교육의 실제 = 328
1. 국어과 ICT 활용 수업의 경향 = 328
2. 국어과 수업모형 = 329
3. ICT로 탄탄한 수업하기: 블로그를 이용한 독서 후 활동 = 335
제10장 에듀테인먼트의 이해와 활용 = 343
제1절 에듀테인먼트와 루돌로지의 어원 = 345
제2절 에듀테인먼트 활용 배경과 방법 = 347
1. 에듀테인먼트 활용 배경 = 347
2. 에듀테인먼트 활용 목적 = 352
3. 에듀테인먼트 활용 전략 = 354
제3절 에듀테인먼트 활용 수업 = 357
1. 동기유발 = 358
2. 본학습 지원 = 360
3. 심화학습 지원 = 364
4. 학습정리 지원 = 365
제11장 u-Learning = 371
제1절 유비쿼터스의 이해 = 373
1. 유비쿼터스의 개념 = 373
2. 유비쿼터스의 특징 = 374
3. 유비쿼터스의 사례 = 375
제2절 u-Learning = 378
1. u-Learning의 개념 = 378
2. u-Learning의 사례 = 378
제3절 교육환경의 변화와 u-Learning = 381
1. 교육환경의 변화 = 381
2. 사례 = 384
제4절 u-Learning의 도입과 교수-학습 전략의 변화 = 386
제5절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탐색 = 388
1. 차세대 이동/무선통신 기술 및 서비스 = 388
2. 컨버전스 및 교환, 프로토콜 기술 및 서비스 = 393
3. 터미널 및 인터페이스 = 395
4. 기반기술 = 398
찾아보기 =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