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부 보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 15
1. 영유아 보육의 개념 = 15
2. 영유아의 권리 = 16
1) 생존권 = 16
2) 성장발달권 = 16
3) 시민권과 자유권 = 17
4) 양육보장권 = 17
5) 복지권 = 17
6) 교육권 및 문화향유권 = 18
7) 특별보호권 = 18
3. 영유아 보육의 특성 = 18
1) 아동 중심성 = 18
2) 학제적 성격과 고유성 = 19
3) 다양한 가족형태의 보완 = 21
4) 사회화 기능의 대행 = 21
4.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 22
1) 아동관의 변화 = 22
2) 선별주의에서 보편주의로 = 23
3) 가족책임에서 국가책임으로 = 24
4) 수혜적 사업에서 참여적 사업으로 = 25
5) 국가 정체성의 강화 지향 = 26
제2장 보육사상과 역사 = 27
1. 외국의 영유아 보육 = 27
1) 고대~16세기의 보육 = 28
2) 17~18세기의 보육 = 29
3) 19~20세기의 보육 = 34
2.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사상과 역사 = 44
1) 우리나라의 전통 아동관과 보육 = 44
2) 우리나라의 보육사업 역사 = 49
제3장 보육제도와 정책 = 55
1. 우리나라의 보육제도와 정책 = 55
1) 영유아보육법의 변천 = 56
2) 보육행정 = 56
3) 보육재정 = 66
4)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69
2. 외국의 보육제도와 정책 = 74
1) 스웨덴의 보육제도와 정책 = 74
2) 미국의 보육제도와 정책 = 77
3) 호주의 보육제도와 정책 = 80
4) 일본의 보육제도와 정책 = 83
제4장 보육의 이론적 쟁점 = 87
1. 보육경험과 부모 및 보육교사와의 애착 = 88
1) 부모와의 분리와 애착 = 88
2) 교사와의 애착 = 89
2. 보육경험과 영유아의 발달 변화 = 90
1) 보육경험과 아동발달 = 90
2) 보육경험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 = 94
3. 통합보육 = 105
1) 연령 통합 = 105
2) 장애아 통합 = 107
제5장 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요구 = 117
1. 영아기의 발달 특성 = 117
1) 신체 및 운동영역 = 118
2) 인지영역 = 121
3) 언어영역 = 123
4) 정서 및 사회성영역 = 124
2. 유아기의 발달 특성 = 127
1) 신체 및 운동기능발달 = 128
2) 인지발달 = 131
3) 언어발달 = 133
4) 정서발달 = 135
5) 사회성발달 = 136
제2부 보육의 실제
제6장 보육의 유형 = 143
1. 보육장소에 따른 유형 = 143
1) 가정보육 = 144
2) 시설보육 = 146
2. 보육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 148
1) 정부주도 보육: 국공립보육시설 = 148
2) 비영리단체 운영 보육: 법인 = 149
3) 대학 및 연구소 = 149
4) 개인 = 151
5) 직장보육 = 152
6) 부모협동보육 = 153
3. 보육시간에 따른 유형 = 155
1) 종일제 보육 = 155
2) 반일제 보육 = 155
3) 시간제 보육 = 156
4) 야간 및 24시간 보육 = 157
5) 휴일보육 = 157
6) 방과후 보육 = 158
7) 계절보육 = 158
4. 보육목적에 따른 유형 = 159
1) 영아전담 보육 = 159
2) 장애아 보육 = 159
3) 통합보육 = 160
4) 위기보육 = 161
제7장 영유아 보육과정 = 165
1. 영유아 보육과정의 개념과 특성 = 165
1) 영유아 보육과정의 정의 = 165
2) 영유아 보육과정의 특성 = 167
2. 영유아 보육과정의 구성 = 168
1) 구성요소 = 168
2) 구성원리 = 170
3. 영유아 보육과정의 내용과 계획 = 173
1) 목표 = 173
2) 보육내용의 계획 = 177
4. 영유아 보육과정의 운영 = 181
1) 일과계획 및 운영 = 181
2) 연간, 월간, 주간보육계획 = 185
5. 영유아 보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 195
제8장 보육프로그램 = 199
1.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의 종류별 특성 = 199
1) 프뢰벨 프로그램 = 199
2) 몬테소리 프로그램 = 203
3) 프로젝트 접근법 = 207
4) 발도르프 프로그램 = 211
5) 포테이지 프로그램 = 214
6)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 217
7) 하이스코프프로그램 = 221
8)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224
9)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 = 228
2. 특별한 영유아 보육프로그램 = 232
1) 혼합연령 프로그램 = 232
2) 장애아 통합 프로그램 = 234
3) 반편견 프로그램 = 235
4) 영재아 프로그램 = 237
5) 친환경 프로그램 = 240
제9장 보육환경 = 243
1. 보육환경의 개념과 특성 = 243
2. 보육환경 구성원리 = 245
1) 발달에 적합한 보육환경 = 245
2) 통합을 위한 보육환경 = 245
3) 균형을 갖춘 보육환경 = 246
4) 연속성과 융통성을 갖춘 보육환경 = 246
5) 안전한 보육환경 = 246
3. 보육환경 구성 = 248
1) 실내환경 구성 = 248
2) 실외환경 구성 = 256
제10장 보육인력 = 263
1. 보육인력의 역할 = 263
1) 시설장의 역할 = 264
2) 보육교사의 역할 = 265
3) 보육지원 인력의 역할 = 277
2. 보육인력의 자질 = 279
1) 시설장의 자질 = 279
2) 보육교사의 자질 = 281
3) 보육지원 인력의 자질 = 286
3. 보육교사의 교육 = 287
1) 보육교사의 자격교육 = 288
2) 보육교사의 발달과 현직교육 = 289
3) 보육교사의 윤리강령 = 291
제11장 보육시설 인적자원관리 = 295
1. 보육아동관리 = 295
1) 원아모집 = 296
2) 입소준비 및 적응프로그램 = 298
3) 원아 기록관리 = 300
2. 보육인력관리 = 300
1) 보육인력의 배치와 자격 = 301
2) 보육인력의 임용 = 306
3) 보육인력의 법적 책임 및 징계 = 307
4) 보수 및 후생복지 = 310
5) 교직원의 임무 및 업무분담 = 311
6) 직무관련 교육 = 314
7) 평가 = 318
3. 부모참여 = 319
1) 부모협력 프로그램 = 319
4. 기타 인력의 관리 = 320
1) 보육실습생 = 320
2) 자원봉사자 = 322
제12장 보육시설 운영관리 = 325
1. 운영관리의 개념과 특성 = 325
2. 시설 및 설비관리 = 327
1) 보육시설의 설치 = 327
2) 시설 설비의 운영관리 = 330
3) 비품 구입 및 관리 = 335
3. 재정관리 = 338
1) 예산 편성 = 338
2) 예산 집행 = 342
3) 예산 결산 = 343
4. 행정관리 = 344
1) 문서의 종류 = 345
2) 문서 작성 및 처리 = 345
제13장 보육평가 = 351
1. 보육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 351
1) 보육평가의 필요성 = 351
2) 보육평가의 목적 = 353
3) 보육평가의 대상 = 354
2. 보육평가방법 = 355
1) 보육시설평가 = 355
2) 보육프로그램 평가 = 361
3) 보육인력평가 = 368
4) 보육대상평가 = 371
3. 평가결과의 활용 = 377
제3부 보육의 전망
제14장 보육과제와 전망 = 383
1. 영유아 보육패러다임과 지원정책의 변화에 부응하기 = 384
1)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수용하기 = 384
2) 아동지원체제에 적응하기 = 385
2. 보육의 질 향상시키기 = 387
1) 보육의 질 평가 = 387
2) 질 향상을 위한 대안 모색하기 = 389
3. 표준보육과정의 정립 = 388
1) 표준보육과정 구성의 목표 = 388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 388
3) 표준보육형태별 표준보육과정 = 399
부록: 영유아보육법 = 405
찾아보기 =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