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보육학개론 2판

보육학개론 2판 (Loan 1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순형
Title Statement
보육학개론 =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 이순형 외 공저.
판사항
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6.  
Physical Medium
430 p. : 삽도 ; 24 cm.
ISBN
8958913215
General Note
부록: 영유아보육법.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03) 및 색인수록.
000 00675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02596
005 20100805012527
007 ta
008 060828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58913215 ▼g 93370
035 ▼a (KERIS)BIB000010533221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6e
245 0 0 ▼a 보육학개론 = ▼x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 ▼d 이순형 외 공저.
250 ▼a 2판.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6.
300 ▼a 430 p. : ▼b 삽도 ; ▼c 24 cm.
500 ▼a 부록: 영유아보육법.
504 ▼a 참고문헌(p. 403) 및 색인수록.
700 1 ▼a 이순형 ▼0 AUTH(211009)5487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e Accession No. 1113791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e Accession No. 1113791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사 양성의 기초를 제공하는 내용을 풍부하게 담았다. 영유아 보육의 개념을 정리하고 영유아의 권리와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최근 변화를 고찰하는 등 보육의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였다. 또한 보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보육의 실제를 보육 유형별로 살펴보고, 보육과정을 고찰하고, 한국과 외국에서 사용되는 보육프로그램의 종류과 특성을 고찰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순형(지은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2007, 공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2009, 공저),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2009, 공저), <한국아동의 일상생활문화>(2009),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2010),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2011, 공저),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법의식과 권위 인식>(2014, 공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3
제1부 보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 15
  1. 영유아 보육의 개념 = 15
  2. 영유아의 권리 = 16
   1) 생존권 = 16
   2) 성장발달권 = 16
   3) 시민권과 자유권 = 17
   4) 양육보장권 = 17
   5) 복지권 = 17
   6) 교육권 및 문화향유권 = 18
   7) 특별보호권 = 18
  3. 영유아 보육의 특성 = 18
   1) 아동 중심성 = 18
   2) 학제적 성격과 고유성 = 19
   3) 다양한 가족형태의 보완 = 21
   4) 사회화 기능의 대행 = 21
  4.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 22
   1) 아동관의 변화 = 22
   2) 선별주의에서 보편주의로 = 23
   3) 가족책임에서 국가책임으로 = 24
   4) 수혜적 사업에서 참여적 사업으로 = 25
   5) 국가 정체성의 강화 지향 = 26
 제2장 보육사상과 역사 = 27
  1. 외국의 영유아 보육 = 27
   1) 고대~16세기의 보육 = 28
   2) 17~18세기의 보육 = 29
   3) 19~20세기의 보육 = 34
  2.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사상과 역사 = 44
   1) 우리나라의 전통 아동관과 보육 = 44
   2) 우리나라의 보육사업 역사 = 49
 제3장 보육제도와 정책 = 55
  1. 우리나라의 보육제도와 정책 = 55
   1) 영유아보육법의 변천 = 56
   2) 보육행정 = 56
   3) 보육재정 = 66
   4)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69
  2. 외국의 보육제도와 정책 = 74
   1) 스웨덴의 보육제도와 정책 = 74
   2) 미국의 보육제도와 정책 = 77
   3) 호주의 보육제도와 정책 = 80
   4) 일본의 보육제도와 정책 = 83
 제4장 보육의 이론적 쟁점 = 87
  1. 보육경험과 부모 및 보육교사와의 애착 = 88
   1) 부모와의 분리와 애착 = 88
   2) 교사와의 애착 = 89
  2. 보육경험과 영유아의 발달 변화 = 90
   1) 보육경험과 아동발달 = 90
   2) 보육경험과 아동발달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 = 94
  3. 통합보육 = 105
   1) 연령 통합 = 105
   2) 장애아 통합 = 107
 제5장 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요구 = 117
  1. 영아기의 발달 특성 = 117
   1) 신체 및 운동영역 = 118
   2) 인지영역 = 121
   3) 언어영역 = 123
   4) 정서 및 사회성영역 = 124
  2. 유아기의 발달 특성 = 127
   1) 신체 및 운동기능발달 = 128
   2) 인지발달 = 131
   3) 언어발달 = 133
   4) 정서발달 = 135
   5) 사회성발달 = 136
제2부 보육의 실제
 제6장 보육의 유형 = 143
  1. 보육장소에 따른 유형 = 143
   1) 가정보육 = 144
   2) 시설보육 = 146
  2. 보육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 148
   1) 정부주도 보육: 국공립보육시설 = 148
   2) 비영리단체 운영 보육: 법인 = 149
   3) 대학 및 연구소 = 149
   4) 개인 = 151
   5) 직장보육 = 152
   6) 부모협동보육 = 153
  3. 보육시간에 따른 유형 = 155
   1) 종일제 보육 = 155
   2) 반일제 보육 = 155
   3) 시간제 보육 = 156
   4) 야간 및 24시간 보육 = 157
   5) 휴일보육 = 157
   6) 방과후 보육 = 158
   7) 계절보육 = 158
  4. 보육목적에 따른 유형 = 159
   1) 영아전담 보육 = 159
   2) 장애아 보육 = 159
   3) 통합보육 = 160
   4) 위기보육 = 161
 제7장 영유아 보육과정 = 165
  1. 영유아 보육과정의 개념과 특성 = 165
   1) 영유아 보육과정의 정의 = 165
   2) 영유아 보육과정의 특성 = 167
  2. 영유아 보육과정의 구성 = 168
   1) 구성요소 = 168
   2) 구성원리 = 170
  3. 영유아 보육과정의 내용과 계획 = 173
   1) 목표 = 173
   2) 보육내용의 계획 = 177
  4. 영유아 보육과정의 운영 = 181
   1) 일과계획 및 운영 = 181
   2) 연간, 월간, 주간보육계획 = 185
  5. 영유아 보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 195
 제8장 보육프로그램 = 199
  1.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의 종류별 특성 = 199
   1) 프뢰벨 프로그램 = 199
   2) 몬테소리 프로그램 = 203
   3) 프로젝트 접근법 = 207
   4) 발도르프 프로그램 = 211
   5) 포테이지 프로그램 = 214
   6)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 217
   7) 하이스코프프로그램 = 221
   8)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224
   9)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 = 228
  2. 특별한 영유아 보육프로그램 = 232
   1) 혼합연령 프로그램 = 232
   2) 장애아 통합 프로그램 = 234
   3) 반편견 프로그램 = 235
   4) 영재아 프로그램 = 237
   5) 친환경 프로그램 = 240
 제9장 보육환경 = 243
  1. 보육환경의 개념과 특성 = 243
  2. 보육환경 구성원리 = 245
   1) 발달에 적합한 보육환경 = 245
   2) 통합을 위한 보육환경 = 245
   3) 균형을 갖춘 보육환경 = 246
   4) 연속성과 융통성을 갖춘 보육환경 = 246
   5) 안전한 보육환경 = 246
  3. 보육환경 구성 = 248
   1) 실내환경 구성 = 248
   2) 실외환경 구성 = 256
 제10장 보육인력 = 263
  1. 보육인력의 역할 = 263
   1) 시설장의 역할 = 264
   2) 보육교사의 역할 = 265
   3) 보육지원 인력의 역할 = 277
  2. 보육인력의 자질 = 279
   1) 시설장의 자질 = 279
   2) 보육교사의 자질 = 281
   3) 보육지원 인력의 자질 = 286
  3. 보육교사의 교육 = 287
   1) 보육교사의 자격교육 = 288
   2) 보육교사의 발달과 현직교육 = 289
   3) 보육교사의 윤리강령 = 291
 제11장 보육시설 인적자원관리 = 295
  1. 보육아동관리 = 295
   1) 원아모집 = 296
   2) 입소준비 및 적응프로그램 = 298
   3) 원아 기록관리 = 300
  2. 보육인력관리 = 300
   1) 보육인력의 배치와 자격 = 301
   2) 보육인력의 임용 = 306
   3) 보육인력의 법적 책임 및 징계 = 307
   4) 보수 및 후생복지 = 310
   5) 교직원의 임무 및 업무분담 = 311
   6) 직무관련 교육 = 314
   7) 평가 = 318
  3. 부모참여 = 319
   1) 부모협력 프로그램 = 319
  4. 기타 인력의 관리 = 320
   1) 보육실습생 = 320
   2) 자원봉사자 = 322
 제12장 보육시설 운영관리 = 325
  1. 운영관리의 개념과 특성 = 325
  2. 시설 및 설비관리 = 327
   1) 보육시설의 설치 = 327
   2) 시설 설비의 운영관리 = 330
   3) 비품 구입 및 관리 = 335
  3. 재정관리 = 338
   1) 예산 편성 = 338
   2) 예산 집행 = 342
   3) 예산 결산 = 343
  4. 행정관리 = 344
   1) 문서의 종류 = 345
   2) 문서 작성 및 처리 = 345
 제13장 보육평가 = 351
  1. 보육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 351
   1) 보육평가의 필요성 = 351
   2) 보육평가의 목적 = 353
   3) 보육평가의 대상 = 354
  2. 보육평가방법 = 355
   1) 보육시설평가 = 355
   2) 보육프로그램 평가 = 361
   3) 보육인력평가 = 368
   4) 보육대상평가 = 371
  3. 평가결과의 활용 = 377
제3부 보육의 전망
 제14장 보육과제와 전망 = 383
  1. 영유아 보육패러다임과 지원정책의 변화에 부응하기 = 384
   1) 영유아 보육패러다임의 변화 수용하기 = 384
   2) 아동지원체제에 적응하기 = 385
  2. 보육의 질 향상시키기 = 387
   1) 보육의 질 평가 = 387
   2) 질 향상을 위한 대안 모색하기 = 389
  3. 표준보육과정의 정립 = 388
   1) 표준보육과정 구성의 목표 = 388
   2)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 388
   3) 표준보육형태별 표준보육과정 = 399
부록: 영유아보육법 = 405
찾아보기 = 4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