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교육과정 장학의 이론 = 11
제1장 교육과정 행정 = 13
1. 교육행정의 정의
2. 교육행정과 교육과정 행정
3. 교육과정 행정의 과제
제2장 교육과정 장학의 방향 = 25
1. 교육과정 장학과 수업장학
2. 교실수업의 문제점
3. 교실수업의 개선 방향
4. 교육과정 장학과 교육시책
제3장 교육과정 장학의 방법 = 43
1. 학교장의 교육과정 장학
2. 세 가지 수준의 교육과정 이해
3. 교육과정 편성에서 학교장의 역할
4. 교육과정 운영에서 학교장의 역할
참고 문헌 = 67
제2부 교육과정 장학의 실제 = 69
제1장 교육과정의 편성 = 73
1. 교육과정의 편성 범위 및 절차
2.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구 조직 및 기초 조사
3. 교육계획서 및 교육과정의 구성체제
4. 교육과정의 평가
5. 교육과정(총론 부분)의 실제(예시)
6. 교육과정 운영의 지원 활동
제2장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108
1.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내용 및 절차
2. 교과목별 연간 학습지도계획 수립
3. 교과의 평가
4. 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실제(예시)
제3장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135
1. 심화ㆍ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2.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3. 수준별 이동수업 운영 결과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장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174
1.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과 편성ㆍ운영
2. 실업계 및 기타계 고등학교의 교과 편성ㆍ운영
3. 수능 이후 12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
제5장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201
1.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방향 및 절차
2.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방안
3. 재량활동의 평가
4.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실제(예시)
제6장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221
1.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방향 및 절차
2. 특별활동 영역별 편성ㆍ운영 방안
3. 특별활동의 평가
4.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실제(예시)
제7장 수업 관련 교육과정 장학 활동 = 263
1. 교과별 교육과정 중심의 교수ㆍ학습활동 전개
2. 수준별 보충학습지도
3. 교과별, 수준별 수업 모형의 구안 적용
〈제2부 '교육과정 장학의 실제' 요약〉 = 301
제3부 교육과정 장학의 지원활동 = 307
제1장 수업 시설 공간 조성의 실제 = 311
1. 학교 시설의 구성 요인 분석
2. 제7차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학교 시설
3. 수업 시설 공간 조성의 기본 방향 및 설치
4. 교과교실 공간 구성의 기본 요건
5. 교과별 수업 시설 공간 조성의 사례
가. 국어과 교실 및 도서실
나. 도덕, 사회과 교실
다. 수학과 교실
라. 과학과 교실
마. 외국어과 교실
바. 기술ㆍ가정과 교실
6. 학생 지원 시설 공간 조성의 사례
가. 특별교실
나. 다목적교실
다. 홈베이스 및 오픈스페이스
제2장 교육과정 운영의 지원 = 381
1. EBS 교육방송과 e-Learning 학습 체제의 구축
2. 독서교육 및 도서실 운영
3. 수월성 및 학습 부진아 교육
4. 학습 기자재 및 학습자료의 확충
5. 학교 규칙의 제정 및 실천
6. 귀국자 자녀 교육
7. 특수 학급 설치 운영
8. 특수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제3장 교육과정 중심 운영체제의 확립 = 407
1. 교육과정 중심의 교무 분장 조직
2. 학교 행정ㆍ관리 기능 업무의 간소화
3. 교과연구실의 설치 운영
4. 작은 교무실, 학년부실의 운영
5. 교육과정 관련 연수활동 분위기 조성
6. 교육과정 관련 예산 편성ㆍ운영의 충실
〈제3부 '교육과정 장학의 지원 활동' 요약〉 = 447
참고 문헌 = 452
부록 : 교과 교육과정(예시) =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