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1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한용진 권두승 남현우 오영재 류지헌
서명 / 저자사항
교육학개론 = 敎育學槪論 = Introduction to education / 한용진 [외]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6.  
형태사항
366 p. : 삽도 ; 24 cm.
ISBN
8958912928
일반주기
공저자: 권두승, 남현우, 오영재, 류지헌  
부록: 교육기본법...외.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800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302380
005 20100805011637
007 ta
008 061011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58912928
035 ▼a (KERIS)BIB000010681889
040 ▼a 248003 ▼d 211009
082 0 4 ▼a 370 ▼2 22
090 ▼a 370 ▼b 2006f
245 0 0 ▼a 교육학개론 = ▼x 敎育學槪論 = ▼x Introduction to education / ▼d 한용진 [외]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6.
300 ▼a 366 p. : ▼b 삽도 ; ▼c 24 cm.
500 ▼a 공저자: 권두승, 남현우, 오영재, 류지헌
500 ▼a 부록: 교육기본법...외.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한용진 ▼0 AUTH(211009)5936
700 1 ▼a 권두승
700 1 ▼a 남현우 ▼0 AUTH(211009)98041
700 1 ▼a 오영재 ▼0 AUTH(211009)81289
700 1 ▼a 류지헌 ▼0 AUTH(211009)80190
900 1 1 ▼a 유지헌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 2006f 등록번호 1113835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 2006f 등록번호 1113835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학개론은 교육학이라는 학문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과목이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교육학개론』의 목차를 보면 크게 두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는 교육학의 하위 학문 영역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각각에 대하여 개론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교육학이라는 학문이 고민하는 주제들을 나열하고 이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는 방식이다. 전자를 기본형이라 한다면, 후자는 주제형이라 이름 붙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기본형과 주제형을 적절히 혼합하여,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취한 종합형 교재로 편찬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한용진(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사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에 재직 중이다. 한일비교교육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교육사상과 교육개념사에 관심을 갖고 근대 이래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서구적 교육개념이 한자로 번역되며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 교육개념이 어떻게 단절되거나 변화되는가를 확인하며 교육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주요 논저에 <일본의 지역교육력>(공저, 학지사, 2017) <비교교육학: 접근과 방법>(공역서, 교육과학사, 2017), 한용진, 「관제기(1894-1906) 관립 외국어학교 연구」(<한국교육학연구< 23-1, 2017),한용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 분석」(<민족문화연구> 74, 2017),?한용진·조문숙, 「근대 '학교'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 대한제국기 중학교 개념을 중심으로-」(<한국교육사학< 39-2, 2017), 한용진, 「일본국 군주호칭에 관한 일고」(<한국교육사학> 38-2, 2016)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교육의 본질에 대한 탐구
 제1장 교육과 교육학 = 11
  1. 교육의 기본 양식 = 11
  2. 어원으로 보는 교육의 개념 = 17
  3. 교육학의 학문적 구조 = 22
 제2장 교육의 인간학적 이해 = 31
  1. 인류의 탄생 = 31
  2. 인간형성과 교육 = 40
제2부 교육의 학제적 접근
 제3장 교육의 역사ㆍ철학적 접근 = 51
  1. 시간의 흐름과 교육 = 51
  2. 교육의 철학적 이해 = 60
 제4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 71
  1. 학습자관 = 72
  2. 개인차 - 유전과 환경 = 75
  3. 지적 특성과 교육 = 76
  4. 정의적 특성과 교육 = 80
  5. 인간 발달 = 82
  6. 학습 = 86
 제5장 교육의 사회적 접근 = 93
  1. 교육에 대한 사회적 접근의 필요성 = 93
  2. 교육에서의 사회적 패러다임 = 96
  3. 기능주의적 패러다임과 교육 = 99
  4. 갈등주의적 패러다임과 교육 = 104
  5. 해석적 패러다임과 교육 = 112
  6. 교육현상에 대한 사회적 접근에 대한 재고찰 = 114
제3부 교육의 실천적 이해
 제6장 교육의 과정 = 121
  1. 교육목표의 설정 = 121
  2. 교육과정 = 127
  3. 교수-학습 = 138
  4. 교육 평가 = 151
 제7장 교육공학의 이해 = 161
  1.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 163
  2. 교수설계 = 173
  3. 교수매체 = 183
  4.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 189
 제8장 생활지도와 상담 = 197
  1. 생활지도의 개념과 원리 = 197
  2. 생활지도의 활동과 내용 = 200
  3. 상담 활동 = 202
  4. 사이버 상담 = 205
 제9장 교육과 행정제도 = 213
  1. 교육의 이념과 문화 = 215
  2. 교육행정의 거시적 차원 = 217
  3. 교육행정의 중간수준 차원 = 226
  4. 교육행정의 미시적 차원 = 231
 제10장 교사론 = 243
  1. 교사와 교직 = 243
  2. 교원양성과 교원평가 = 248
  3. 새로운 교육자상의 탐구 = 254
제4부 현대 교육의 여러 과제
 제11장 가정교육과 청소년 교육 = 265
  1. 가정과 가정교육 = 265
  2. 가정교육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 269
  3. 청소년 교육 = 273
 제12장 학교교육과 대안교육 = 287
  1. 학교의 역사와 특질 = 287
  2. 학교교육에 대한 재고 = 291
  3. 대안학교와 대안교육 = 296
 제13장 지식기반사회와 평생교육 = 303
  1.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체제의 재구조화 = 303
  2. 평생교육의 개념 = 308
  3. 평생교육의 의의 = 316
  4. 평생교육의 발전과제 = 319
부록
 부록 1. 교육기본법 = 326
 부록 2. 교원양성조항: 초중등교육법 제21조 = 331
 부록 3. 한국교원윤리강령 = 337
 부록 4. 사도헌장 및 사도강령 = 340
 부록 5. 창조적 공동체 지향의 모둠 토론에 관하여 = 344
 부록 6. 모둠 토론 수업방식 = 349
 부록 7. 전국 시ㆍ도 교육청 홈 페이지 URL 주소 = 35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