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학교조직 연구의 구조적 접근
제1장 구조적 접근의 예비적 이해 = 13
1. 구조적 접근의 전개와 구성 내용 = 13
2. 교육행정에의 영향 = 17
3. 조직구조적 접근과 관련하여 본서에 소개된 논문들 = 19
제2장 학교행정공간의 기능과 구조에 관한 해석적 연구 = 21
1. 문제의 제기 = 21
2. 선행연구 검토 = 23
3. 연구의 방법과 내용 = 27
4.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30
5. 결론 및 제언 = 49
제3장 농촌 소규모 중학교의 행정인력 운용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 51
1. 문제의 제기 = 51
2. 농촌 소규모 중학교의 현실 = 53
3. 연구의 방법 = 56
4. 농촌 소규모 중학교의 행정인력 운용실태 = 59
5. 행정인력 운용구조 개선 방안 = 66
6. 요약 및 결론 = 71
제4장 고려대학교 행정구조조정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 73
1. 서론 = 73
2. 대학 행정구조조정 현상의 이해모형 = 76
3. 고려대학교 행정구조조정의 배경과 진행 과정 = 79
4. 고려대학교 행정구조조정 과정상의 특징적 양상 = 93
5. 요약 및 결론 = 102
제2부 학교조직 연구의 인간자원론적 접근
제5장 인간자원론적 접근의 예비적 이해 = 107
1. 인간자원론적 접근의 전개와 구성내용 = 107
제6장 초등교사들이 선호하는 학교의 조건과 그 이유 = 113
1. 문제의 제기 = 113
2. 초등교사들의 선호 조건 범주화: 분석의 틀 = 115
3. 연구의 방법 = 119
4. 연구의 결과 = 122
5. 요약 및 결론 = 135
제7장 중등 중견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 변화양상에 관한 사례 연구 = 139
1. 문제의 제기 = 139
2. 선행연구 검토 = 141
3. 연구의 방법 = 146
4. 연구의 결과 = 149
5. 요약 및 결론 = 162
제8장 중등 여교사들의 삶의 변화 과정과 행정적 함의에 관한 연구 = 167
1. 들어가는 말 = 167
2. 선행연구 검토 = 169
3. 연구의 방법 = 174
4. 연구의 결과 = 176
5. 요약 및 결론 = 191
제9장 신설대학 교수들의 소진(燒盡)의 원인과 그 대응 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193
1. 서론 = 193
2. 선행연구 검토 = 195
3. 연구의 방법 = 197
4. 연구의 결과 = 200
5. 결론 및 논의 = 212
제3부 학교조직 연구의 정치적 접근
제10장 정치적 접근의 예비적 이해 = 217
1. 정치적 접근의 전개와 구성내용 = 217
제11장 실업계 고등학교 내 의사결정 행위의 양상과 그 성격 = 223
1. 서론 = 223
2. 이론적 배경 = 225
3. 연구의 방법 = 229
4. 연구의 결과 = 232
5. 결론 및 논의 = 240
제12장 농ㆍ공업 고등학교 내 갈등의 양상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 243
1. 서론 = 243
2. 이론적 배경 = 245
3. 연구의 방법 = 249
4.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252
5. 결론 및 논의 = 264
제13장 사립 고등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운영과정에 관한 미시정치적 사례 연구 = 267
1. 문제의 제기 = 267
2. 미시정치적 연구 논리 = 269
3. 연구의 방법 = 272
4. 연구의 결과 = 276
5. 요약 및 결론 = 291
제4부 학교조직 연구의 문화 상징적 접근
제14장 문화 상징적 접근의 예비적 이해 = 297
1. 문화 상징적 접근의 전개와 구성내용 = 297
제15장 고등학생들의 삶과 문제행동 속에 담긴 문화적 의미 = 303
1. 서론 = 303
2. 고등학생들의 학교 내 일상적 삶의 내용과 특징적 양상 = 305
3.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그 원인 = 310
4. 고등학생들의 삶과 문제행동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 = 313
5. 결론 및 논의 = 319
제16장 교단일기를 통해 본 중등교사들의 삶과 문화 = 323
1. 서론 = 323
2. 선행연구 검토 = 326
3. 연구의 방법 = 328
4. 연구의 결과 = 332
5. 결론 및 논의 = 347
제17장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 351
1. 문제의 제기 = 351
2. 한국 교사문화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354
3. 연구의 방법 = 360
4.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문화 = 364
5. 요약 및 결론 = 377
제18장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단위학교 교사문화 간의 관계에 관한 사례 연구 = 381
1. 문제의 제기 = 381
2. 학교장의 지도성 행동과 교사문화의 관계 검토 = 383
3. 연구의 방법 = 387
4. 연구의 결과 = 393
5. 결론 및 논의 = 404
마무리 글 : 융합적인 접근의 필요성과 당면 연구과제 = 409
참고문헌 = 415
찾아보기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