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의 zip : sub-note

거시경제학의 zip : sub-note (10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진욱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의 zip : sub-note / 김진욱 편저.
발행사항
서울 :   네오시스 ,   2005.  
형태사항
396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김진욱 경제학 시리즈 ; 1
기타표제
행·외시 등 각종 국가고시대비
ISBN
8989227844
일반주기
부록수록  
000 00633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00410
005 20100807022026
007 ta
008 050725s2005 ulka 000c kor
020 ▼a 8989227844 ▼g 13320
035 ▼a (KERIS)BIB000009739960
040 ▼d 211009
082 0 4 ▼a 339 ▼2 22
090 ▼a 339 ▼b 2005f
100 1 ▼a 김진욱 ▼0 AUTH(211009)47248
245 1 0 ▼a 거시경제학의 zip : ▼b sub-note / ▼d 김진욱 편저.
246 0 3 ▼a 행·외시 등 각종 국가고시대비
260 ▼a 서울 : ▼b 네오시스 , ▼c 2005.
300 ▼a 396 p. : ▼b 삽도 ; ▼c 26 cm.
440 0 0 ▼a 김진욱 경제학 시리즈 ; ▼v 1
500 ▼a 부록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5f 등록번호 1113816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진욱(엮은이)

[약 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대학원 재학 중 행정고시 재경직 합격(제40회) 전 행정자치부, 정보통신부 사무관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등 다수 대학특강 EBS 방송강의 경제학 특강 현 베리타스법학원 경제학강사(행정, 외교, 입법) [저 서] 거시경제학입문 4.0(피데스) 재정학 실전문제집(1판, 피데스) 재정학 모의고사의 zip(3판, 피데스) 경제학의 zip(6판, 네오시스) 경제학 기출문제의 zip(7판, 네오시스) 경제학 실전문제집 시리즈(필통북스, 네오시스) 이준구의 재정학 연습문제 해설집(6판, 문우사) 김경수, 박대근 거시경제학 연습문제 해설집(6판, 박영사) [번역서] 크루그먼의 경제학 해법(4판, 시그마프레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거시경제학의 주요변수
 1. 거시경제의 수량지수 = 3
 2. 거시경제의 물가지수 = 7
 3. 노동인구의 측정 = 10
 4. 주요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 = 12
 제1장 보론 : 지수의 이해 = 14
  1. 지수의 개념과 구분 = 14
  2. 수량지수에 의한 후생평가 = 15
  3. 물가지수 측정상의 문제 = 16
제2장_1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재화시장
 1. 재화시장의 분석 = 21
 2. 단기분석과 장기분석의 비교 = 23
 3. 대부시장의 분석 : 장기균형분석 = 24
제2장_2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화폐시장
 1. 인플레이션(inflation)의 정의 = 31
 2. 화폐와 금융의 주요개념 = 31
 3. 화폐경제의 이득 = 32
 4. 수량방정식(quantity equation)과 화폐수량설(quantity theory of money) = 34
 5. 수량방정식(quantity equation of money)의 이해 = 35
 6. 피셔방정식(Fisher equation)과 피셔효과 = 37
 7. 화폐시장의 균형과 물가수준 결정식 = 38
 8. 화폐발행차익(seigniorage)의 문제 = 41
 9.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43
 10.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종말(The end of hyper inflation) = 46
 11. 명목변수와 실질변수 = 50
 12. 고전적 이분법과 화폐의 중립성 = 51
제3장 거시경제학의 주요시장 : 노동시장
 1. 실업의 정의 = 55
 2. 실업문제의 구분 = 55
 3. 자연실업률의 도출 = 56
 4. 자연실업률이 0이 되지 못하는 이유 = 58
 5. 자연실업의 구성 = 58
 6. 마찰적 실업의 발생원인 = 59
 7. 구조적 실업의 발생원인 = 60
 8. 실업의 지속기간에 대한 연구의 결과 = 62
 9. 실업률에 대한 실증연구 = 63
 10. 고통지수(Misery index)의 문제 = 64
 11.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평가 = 65
제4장 거시경제의 총수요 : IS-LM 모형-1
 1. 단기분석의 구조(frame of short run analysis) = 69
 2. 케인지안 크로스 모형과 국민소득의 결정 = 69
 3. 재정정책과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 = 71
 4. IS곡선의 도출 = 73
 5. 유동성 선호이론과 이자율의 결정 = 75
 6. 통화정책의 효과 : 연습 = 76
 7. 이자율결정이론의 비교 = 77
 8. LM곡선의 도출 = 78
 9. IS-LM의 동시균형 = 80
제5장 거시경제의 총수요 : IS-LM 모형-2
 1. 정책효과의 분석 = 83
 2. 통화당국에 대응에 따른 재정정책의 효과 = 85
 3. 불확실성 하에서 통화정책의 중간목표의 선정 : Poole의 모형 = 86
 4. 특수한 가정에 기초한 IS-LM 모델 = 86
 5. IS-LM 모형의 내적 정합성의 문제 = 90
 6.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과 일본경기침체(lost decade) = 92
 7. 물가변화를 고려한 IS-LM의 장단기 분석 = 96
제6장 거시경제의 총공급 : AD-AS모형
 1. 총수요(aggregate demand)의 이해 = 101
 2.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 103
 3. 총공급(aggregate supply)의 이해 = 105
 4. 단기총공급 곡선의 도출 = 108
 5. 모형의 비교 = 123
 6. 총수요-총공급모형의 연습문제 = 125
제7장 거시경제의 총공급 : Phillips curve
 1. 필립스곡선(Phillips curve) = 129
 2. 단기필립스 곡선의 해석 = 131
 3. 총공급곡선으로부터 필립스곡선의 도출 = 132
 4. 필립스곡선에 대한 초기 케인즈학파의 이해 = 133
 5. 자연실업률가설과 인플레이션 가속화 현상 = 133
 6. 합리적 기대와 고통 없는 디스인플레이션(painless disinflation) 논쟁 = 137
 7. 이력가설(기억효과) = 142
제8장_1 소비이론과 재정정책-1
 1. 소비의 주요특징 = 147
 2. 케인즈의 소비이론 : 절대소득가설 = 147
 3. 케인즈 소비함수의 실증분석 = 148
 4. Fisher의 시점간 자원배분모형 = 150
 5. 생애소득가설(Life Cycle Hypothesis) by Franco Modigliani(1950s) = 154
 6.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by Milton Friedman(1957) = 156
 7. 유동성제약가설과 소비이론의 수정 = 159
 8. 임의보행가설(Random walk hypothesis) by Robert Hall(1978) = 162
 9. 즉각적 만족표출가설(pull of instant gratification) by David Laibson = 164
 10. 소비의 자산효과(asset effect) = 165
제8장_2 소비이론과 재정정책-2
 1. 재정적자(government budget deficit)의 정의 = 169
 2. 재정적자의 동태적 접근 = 169
 3. 재정적자의 측정상의 문제점 = 171
 4. 리카르도 대등정리(Ricardian equivalent theorem)논쟁 by R. Barro = 172
 5. 재정적자의 세대간 전가논쟁 = 179
 6. 지수화 된 채권(indexed bond) = 180
 7. 기타 적자재정정책을 옹호하는 견해의 근거 = 181
제9장 투자이론
 1. 투자의 특징 = 185
 2. 투자의 종류 = 186
 3. 투자의 신고전파 모형(the neoclassical model of investment) = 186
 4. 토빈의 q 이론 = 188
 5. 주식시장과 국민경제와의 관계(요약) = 189
 6. 실물투자와 금융부문의 관계 = 190
 7. 주택투자의 모형 = 192
 8. 재고투자의 이론 = 194
 9. 투자의 소득의존성 = 197
 10. 불확실성과 투자 = 198
제10장 노동시장
 1. 노동시장의 동태적 균형모형 = 203
 2. 복습 : 실업문제의 구분 = 206
 3. 작업탐색의 이론 = 207
 4. 구조적 실업의 이론-1 : 노조와 내부자-외부자이론 = 211
 5. 구조적 실업의 이론-2 : 효율성임금이론 = 212
 6. 구조적 실업의 이론-3 : 암묵적 계약이론(implicit contract hypothesis) = 217
제11장 화폐이론과 금융정책논쟁
 1. 통화공급의 이론 = 221
 2. 통화수요의 이론 = 225
 3. 통화정책의 동태적 접근 = 234
 4. 화폐의 중립성과 초중립성 = 237
 5. 통화정책의 적극적인 운용 또는 소극적인 운용 = 238
 6. 통화정책의 재량적 운용 또는 준칙에 의한 운용 = 239
 7. 불리한 공급충격과 정책딜레마(policy dilemma) = 242
 8. 통화정책의 지표의 문제 = 243
 9. 루카스 비판과 정책무력성의 명제 = 246
 10. 최적정책의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of optimal policy) by F. Kydland and E. Prescott = 247
 11. 신뢰성 문제의 해결방안 = 252
 12. 통화정책의 전달경로의 이해 = 254
 13. 신용(credit)의 개념과 이해 = 257
제12장 동태적 일반균형모형
 1. 모형의 개요 = 261
 2.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의 주요함수 = 261
 3. 시장청산조건 = 262
 4. 균형의 성립 = 262
 5. 분석상의 주요가정 및 유의사항 = 262
 6. 거시경제의 일반균형의 도출 = 264
 7. 중요한 분석의 경우의 수 = 268
 8. 중요한 분석내용의 요약(생산물시장) = 269
 9. 동태적 일반균형분석모형의 주요 분석 = 270
 10. 전략적 보완성(strategic complementarities)과 조정실패모형(coordination failure) = 276
제13장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1. 거시경제이론의 발전 = 283
 2. 경기변동의 일반적인 특징 = 283
 3. 경기변동이론의 과제 = 283
 4.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284
 5. 실물경기변동이론의 이해(real business cycle theory) = 284
 6. 새케인즈경제학의 이해(New Keynesian) = 291
제14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1. 환율(exchange rate)의 기초 = 299
 2.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의 기초 = 300
 3. 개방경제의 국민소득 항등식 = 301
 4. 장기환율결정이론 : 구매력평가설(purchasing power parity) = 304
 5. 단기환율결정이론 : 이자평형의 정리(interest parity)의 이해 = 308
 6. 완전자본이동 하에서 먼델플레밍모형 = 313
 7. 자본의 이동성에 따른 정책효과의 변화 = 318
 8. 국제이자율과 물가변화를 고려한 M-F 모형 = 324
 9.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실물경기변동모형)의 개방경제분석 = 326
제15장 경제성장론-1
 1. 경제성장(economic growth)의 의미 = 333
 2. 경제성장의 정형화된 사실-1 = 333
 3. 솔로우 모형의 기본가정 = 334
 4. 장기균형조건의 도출 = 334
 5. 저축률 상승의 효과 = 337
 6. 황금률이론 : 최적경제성장이론 = 340
 7. 인구성장을 고려한 솔로우 모형 = 343
제16장 경제성장론-2
 1. 기술진보의 도입 = 349
 2. Solow model의 비교정태분석 = 352
 3. 수렴가설(convergence hypothesis)의 문제 = 355
 4. 성장회계방정식과 경제성장의 현실 = 359
 5. 내생적 성장이론(endogenous growth model) = 361
부록
 행정고시 기출문제 = 371
 외무고시 기출문제 = 383
 입법고시 기출문제 = 39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