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몸의 기억

몸의 기억 (Loan 1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auer, Joachim 이승은
Title Statement
몸의 기억 / 요하임 바우어 지음 ; 이승은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이지북 ,   2006.  
Physical Medium
236 p. : 삽도 ; 25 cm.
Series Statement
이지북과학총서 ; 8
Varied Title
(Das)Geda@chtnis des Ko@rpers : wie Beziehungen und Lebensstile unsere Gene steuern
ISBN
895624250X
General Note
우주보다 광활하고 신비로운 뇌의 세계 그 아득한 곳에 숨겨진 생로병사의 비밀  
000 00911namccc200277 k 4500
001 000045299667
005 20100807021332
007 ta
008 060612s2006 ulka 000c kor
020 ▼a 895624250X ▼g 04400: ▼c \22,700
035 ▼a (KERIS)BIB000010421913
040 ▼a 241002 ▼c 241002 ▼d 241002 ▼d 241002 ▼d 244002
041 1 ▼a kor ▼h ger
082 0 4 ▼a 612.8 ▼2 22
090 ▼a 612.8 ▼b 2006c
100 1 ▼a Bauer, Joachim
245 1 0 ▼a 몸의 기억 / ▼d 요하임 바우어 지음 ; ▼e 이승은 옮김.
246 1 9 ▼a (Das)Geda@chtnis des Ko@rpers : wie Beziehungen und Lebensstile unsere Gene steuern
260 ▼a 서울 : ▼b 이지북 , ▼c 2006.
300 ▼a 236 p. : ▼b 삽도 ; ▼c 25 cm.
440 0 0 ▼a 이지북과학총서 ; ▼v 8
500 ▼a 우주보다 광활하고 신비로운 뇌의 세계 그 아득한 곳에 숨겨진 생로병사의 비밀
700 1 ▼a 이승은
900 1 1 ▼a 바우어, 요하임
940 ▼a (Das)Gedachtnis des Korper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2.8 2006c Accession No. 1211519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2.8 2006c Accession No. 1211519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2.8 2006c Accession No. 1512137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2.8 2006c Accession No. 1211519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2.8 2006c Accession No. 1211519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2.8 2006c Accession No. 1512137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의 경험과 기억은 질병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알츠하이머, 유방암, 정신질환 등의 질병의 원인이 특정한 유전자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유전자들은 우리 몸 안팎에서 일어나는 자극이 가해져야만 활성화된다고 한다. 즉 우리가 먹는 음식, 인간관계, 여러 심리적인 장애 같은 것들이 질병의 실질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

이 책은 여러 사례를 제시하여 인간관계의 경험과 삶의 방식이 우리 몸에 어떤 흔적을 남기는지, 그리고 어떻게 신체에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보여준다. 예컨대 이전에 오랫동안 지속된 통증은 우리 뇌에 기억되어 이후 그와 유사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똑같은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고 한다.

그 외에도 트라우마, 우울증과 스트레스, 암과 심장병 등 다양한 질환에서 인간의 경험과 기억이 미치는 영향을 최근의 의학 자료와 임상 연구 자료를 동원하여 상세하게 알려준다. 우리의 사회적 활동 속에서 겪는 고통이 질병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우리가 보다 행복하게 살고 더 많은 사랑을 나누어야 하는 이유를 알려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요아힘 바우어(지은이)

신경과학자이자 내과 의사 및 정신과 의사. 1951년 독일 튀빙겐 출생으로 분자생물학과 신경생물학을 전공하였다. 내과뿐만 아니라 정신과에서도 전문의 과정을 밟고 교수 자격을 취득(하빌리타치온)하였으며, 프라이부르크 대학병원 심신의학과 과장으로 재직했다. 베를린으로 이주 후 정신분석대학에서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정신치료교육연구원에서 강사로 다양한 활동을 하며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교사 코칭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염증전달물질인 인터루킨—6가 알츠하이머병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발견한 공로로 독일생물학및정신의학회에서 수여하는 오르가논 상을 받았다. 정신의학과 신경생물학,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인간의 몸과 마음을 폭넓게 연구하며 이와 관련한 다수의 서적을 펴냈으며, 베스트셀러 작가 반열에 올랐다. ‘공존’은 그의 주된 관심사로, 사회적 소외나 연대가 인간 사회와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꾸준히 펼쳐왔다. 그의 이러한 공존의 철학은 인간 사회에만 머무르지 않고 자연 및 미래의 삶에까지 확장된다. 오늘날 학교가 처한 상황에 관심이 많으며, 교육이 인류의 현재와 미래를 바꿀 수 있는 알파이자 오메가라고 믿는다. 주요 저서로는 《왜 우리는 행복을 일에서 찾고, 일을 하며 병들어갈까》 《협력하는 유전자》 《학교를 칭찬하라》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원칙》 《공감의 심리학》 《몸의 기억》 등이 있다.

이승은(옮긴이)

쾰른대학교에서 중국학과 일본학, 만주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번역 기획 그룹 ‘바른번역’의 회원이며,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차도르를 벗겨라』 『자본론 범죄』 『첼로 마라』 『느릿느릿 살아라』 『몸의 기억』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 피아노에서 음악이 연주되기까지
1. 일상의 상황과 인체의 생물학적 특성: 인간관계의 역할 = 13
2. 유전자의 세계: 유전자는 실제 어떻게 작용할까 = 22
3. 유전자는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할까 = 45
4.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적 반응의 발달: 개인적 경험의 생물학적 결과 = 56
5. 시냅스, 신경세포 네트워크, 생활방식 그리고 인간관계 = 73
6. 정신 네트워크의 주관적 체험 유형: 일상에서 나타나는 인격 타입 = 92
7. 우울증으로 보는 환경과 신경생물학 = 101
8. 스트레스와 우울증으로 인한 신체의 위험: 심장병, 심근경색, 심장사망에 미치는 영향 = 120
9. 스트레스와 우울증이 신체에 미치는 위험: 면역에 대한 저항과 종양의 위험 = 131
10. 의사와 환자의 '맹목 비행'인가: 정신약물 치료가 받아야 하는 비판 = 140
11. 고통 경험과 고통 기억: '검사 결과 이상이 없는' 만성 통증질환 = 164
12. 트라우마가 유전자와 뇌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181
13. 폭력과 학대가 어린아이에게 주는 정신적 신경생물학적 영향 = 194
14. 직장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탈진 증후군 = 215
15. 심리치료: 심리치료가 정신적 신경생물학적 구조에 미치는 작용 = 218
역자후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Barrett, Kim 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