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44camcc2200385 k 4500 | |
001 | 000045297743 | |
005 | 20110708141005 | |
007 | ta | |
008 | 060620s2005 ulka 000cf kor | |
020 | ▼a 8937420201 | |
020 | 1 | ▼a 8937420007(세트) |
020 | ▼a 9788937420207 | |
020 | 1 | ▼a 9788937420009(세트) |
035 | ▼a (KERIS)BIB000010209114 | |
040 | ▼a 211062 ▼c 211010 ▼d 211009 ▼d 244002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895.7/34 ▼2 22 |
085 | ▼a 897.36 ▼2 DDCK | |
090 | ▼a 897.36 ▼b 이문열 우리a | |
100 | 1 | ▼a 이문열 ▼g 李文烈, ▼d 1948- ▼0 AUTH(211009)44799 |
245 | 1 0 | ▼a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d 이문열 지음 ; ▼e [케빈 오록 번역] |
246 | 1 | ▼i 번역표제: ▼a Our twisted hero |
250 | ▼a 개정증보판 | |
260 | ▼a 서울 : ▼b 민음사, ▼c 2005 ▼g (2008 7쇄) | |
300 | ▼a 199 p. : ▼b 삽화 ; ▼c 22 cm | |
440 | 0 0 | ▼a 오늘의 작가총서 ; ▼v 20 |
500 | ▼a 영한 대역본임 | |
500 | ▼a 이문열의 본명은 '이열'임 | |
700 | 1 | ▼a 정진국, ▼e 사진 |
700 | 1 | ▼a O'Rourke, Kevin, ▼e 역 |
900 | 1 0 | ▼a 이열 |
900 | 1 0 | ▼a 오록, 케빈 |
900 | 1 0 | ▼a Yi, Mun-yol, ▼d 1948- |
940 | 0 | ▼a Uridul ui ilgurojin yongung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36 이문열 우리a | Accession No. 11152455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36 이문열 우리a | Accession No. 14104897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87년 제11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이문열의 중편소설. 권력의 형성과 몰락의 과정을 한 국민학교 교실을 통해 들여다 보는 작품이다. 영문 번역본이 함께 수록되어 있으며, 2005년 새롭게 씌어진 작가해설과 원작과 다른 '또 하나의 결말'을 덧붙였다.
해방 이후부터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주요 작품들을 소개하는 '오늘의 작가 총서'. 1999년부터 2004년에 걸쳐 22권으로 출간되었던 것을, 2005년 새로운 디자인과 판형으로 다시 펴냈다. 2005년 판은 총 28권으로 구성되며, 작가 연보와 작품 이해를 돕는 해설(일부 작품)이 실려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문열(지은이)
1948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향인 경북 영양, 밀양, 부산 등지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새하곡」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이후「그해 겨울」, 「황제를 위하여」,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여러 작품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독보적인 문체로 풀어내어 폭넓은 대중적 호응을 얻었다. 특히 장편소설 『사람의 아들』은 문단의 주목을 이끈 초기 대표작이다. 작품으로 장편소설 『젊은 날의 초상』, 『영웅시대』, 『금시조』, 『시인』, 『오디세이아 서울』, 『선택』, 『호모 엑세쿠탄스』 등 다수가 있고, 『이문열 중단편 전집』(전 6권), 산문집 『사색』, 『시대와의 불화』, 『신들메를 고쳐매며』, 대하소설 『변경』(전 12권), 『대륙의 한』(전 5권) 등이 있으며, 평역소설로 『삼국지』, 『수호지』, 『초한지』가 있다. 오늘의 작가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호암예술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2015년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전 세계 20여 개국 15개 언어로 번역, 출간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