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4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297738 | |
005 | 20100807015919 | |
007 | ta | |
008 | 061012s2006 ulka 000a kor | |
020 | ▼a 8984942766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a 953.059 ▼2 DDCK | |
090 | ▼a 953.059 ▼b 2006p | |
100 | 1 | ▼a 이이화 ▼0 AUTH(211009)31781 |
245 | 1 0 | ▼a 이대로 주저앉을 수는 없다 : ▼b 호남 서남부 농민군, 최후의 항쟁 / ▼d 이이화, ▼e 배항섭, ▼e 왕현종. |
260 | ▼a 서울 : ▼b 혜안 , ▼c 2006. | |
300 | ▼a 238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부록수록 | |
700 | 1 | ▼a 배항섭 ▼0 AUTH(211009)120636 |
700 | 1 | ▼a 왕현종 ▼0 AUTH(211009)43562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113809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113809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512186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512186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113809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113809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512186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p | 등록번호 1512186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배항섭(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에 재직 중이다. 19세기 민중 운동사를 전공했다. 최근 관심은 19세기의 동아시아사 연구를 통해 근대중심주의와 서구중심주의를 넘어 새로운 역사상을 구축하는 데 있다. 주요 논저로 『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5),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너머북스, 2015, 공저), 「근대 이행기의 민중의식」, 「‘탈근대론’과 근대중심주의」,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사’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의 모색-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 비판과 트랜스히스토리칼(trans-historical)한 접근」 등이 있다.
왕현종(지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문학박사. 대표 논저로 『일제의 조선 구관 제도 조사와 기초자료』(공저, 혜안, 2019), 『한국 근대토지제도의 형성과 양안』(혜안, 2016), 『한국 근대 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역사비평사, 2003), 「일제초 개성 시가지의 변화와 개성상인의 경제 기반」(『동방학지』 194, 2021), 「광무 양전·지계사업 연구사와 토지소유권 논쟁」(『학림』 46, 2020) 등 다수.
이이화(지은이)
역사학자. 1937년에 한학자이자 『주역』의 대가인 야산也山 이달李達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1945년부터 아버지를 따라 대둔산에 들어가 한문 공부를 했으며, 열여섯 살 되던 해부터 부산·여수·광주 등지에서 고학하면서 학교를 다녔다. 그후 서울에서 문학에 관심을 갖고 대학을 다녔으나 중퇴하고 한국학 및 한국사 탐구에 열중했다. 민족사·민중사·생활사 중심의 한국사 기술에 열정을 쏟았으며, 오늘의 관점에서 역사 인물을 재평가하는 작업 등을 통해 역사를 대중화하는 일에도 힘써왔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와 서울대 규장각 등에서 한국 고전을 번역하고 편찬하는 일을 했고,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계간 〈역사비평〉 편집인, 서원대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을 지냈으며, 원광대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타계.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후광학술상 수상. 지은 책으로 『허균의 생각』 『위대한 봄을 만났다』 『이이화의 한 권으로 읽는 한국사』 『한국의 파벌』 『조선후기 정치사상과 사회변동』 『한국사 이야기』(전22권) 『역사 속의 한국불교』 『인물로 읽는 한국사』(전10권) 『전봉준, 혁명의 기록』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목차 = 11 제1부 1차 농민전쟁의 발발 / 배항섭 = 15 1. 망국가를 부르는 민초들 = 15 2. 호남지역 농민들이 서서히, 그리고 힘차게 나서다 = 22 3. 교조신원운동과 더불어 변혁세력의 활동이 더 커지다 = 29 새로 소집된 2개의 집회 = 40 4. 호남 서남부 지역 민중의 동향 = 46 5. '농민혁명 봉기계획'ㆍ'고부민란'에 이어 혁명의 불길을 지르다 = 50 6. 동학농민군의 제1차 봉기와 호남 서남부 지역 = 62 농민군이 세몰이를 시작하다 = 62 제1차 세몰이와 호남 서남부 지역의 변화 = 70 농민군이 다시 세몰이로 결집하다 = 75 제2차 세몰이와 호남 서남부 지역의 변화 = 87 7. 농민군 집강소 활동과 호남 서남부지역 = 94 「전주화약」이 체결되고 농민군은 전주성을 철수하다 = 94 집강소 시기 호남 서남부에서 농민군은 무엇을 고쳤는가 = 104 제2부 호남 서남부지역의 최후 항전 / 이이화 = 119 1. 농민군을 모조리 죽여라 = 119 새로운 발굴의 필요성 = 119 2. 드디어 농민군이 일본군 관군과 전면전을 벌이다 = 122 나주 관아 공격과 고막포 전투 = 131 장흥 강진의 처절한 전투 = 138 씨도 남기지 말라 = 142 약탈 방화와 재산을 몰수하다 = 145 초토영 감옥의 처절한 모습 = 150 마지막 농민군 소탕전 = 157 제3부 호남 서남부 지역의 동학 농민군 지도자들 / 왕현종 = 163 1. 무안지역 사정과 농민군 지도자 김응문 일가 = 163 2. 무안지역 농민군 지도자의 등장 = 173 3. 무안의 북쪽, 함평 농민군 지도자들 = 183 제4부 농민군은 이렇게 죽었다 / 이이화 = 195 1. 배상옥의 죽음과 가족의 사정 = 195 2. 김응문 부자와 3형제의 사정 = 202 3. 무안 석산마을 최씨 3형제 = 209 4. 함평 접주 이화진의 활동 = 215 5. 무안의 몇 가지 사례 = 218 6. 농민군의 수색과 처형 = 224 제5부 부록 = 229 1. 호남 서남부 농민전쟁 일지 = 231 2. 무장포고문 = 237 3. 羅州 金氏 茶山派 金昌九(應文) 家系圖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