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PR의 역사와 개념 : PR이란 무엇인가?

PR의 역사와 개념 : PR이란 무엇인가?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runig, James E. Hunt, Todd , 1938- 박기순 朴琪淳 , 역 박정순 朴貞淳 , 역 최윤희 崔潤熙 , 역
서명 / 저자사항
PR의 역사와 개념 : PR이란 무엇인가? / 제임스 그루닉 , 토드 헌트 [공]지음 ; 박기순 , 박정순 , 최윤희 [공]옮김.
발행사항
서울 :   커뮤티케이션북스 ,   2006.  
형태사항
xii, 139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PR의 정석 ; 4
원표제
Managing public relations
ISBN
8984996483
일반주기
이 책은 2004년에 번역 출간된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에서 1부만을 묶어 출간된 책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 --Management.
000 01142camccc200349 k 4500
001 000045297704
005 20100807015853
007 ta
008 060818s2006 ulka b 000c kor
020 ▼a 8984996483 ▼g 93300
035 ▼a (KERIS)BIB000010534864
040 ▼a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59.2 ▼2 22
090 ▼a 659.2 ▼b 2006g ▼c 1
100 1 ▼a Grunig, James E. ▼0 AUTH(211009)57215
245 1 0 ▼a PR의 역사와 개념 : ▼b PR이란 무엇인가? / ▼d 제임스 그루닉 , ▼e 토드 헌트 [공]지음 ; ▼e 박기순 , ▼e 박정순 , ▼e 최윤희 [공]옮김.
246 1 9 ▼a Managing public relations
260 ▼a 서울 : ▼b 커뮤티케이션북스 , ▼c 2006.
300 ▼a xii, 139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PR의 정석 ; ▼v 4
500 ▼a 이 책은 2004년에 번역 출간된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에서 1부만을 묶어 출간된 책임
504 ▼a 참고문헌 수록
650 0 ▼a Public relations.
650 0 ▼a Public relations ▼x Management.
700 1 ▼a Hunt, Todd , ▼d 1938- ▼0 AUTH(211009)70372
700 1 ▼a 박기순 ▼g 朴琪淳 , ▼e▼0 AUTH(211009)8928
700 1 ▼a 박정순 ▼g 朴貞淳 , ▼e▼0 AUTH(211009)77328
700 1 ▼a 최윤희 ▼g 崔潤熙 , ▼e▼0 AUTH(211009)123054
740 ▼a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2 2006g 1 등록번호 1113809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2 2006g 1 등록번호 1113809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4년에 번역 출간된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에서 PR의 개념과 이론에 관한 부분만을 따로 묶어 출간했다. PR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현 구조를 설명하고, PR이 어떻게 조직과 그의 공중들에게 도움을 주는지를 말한다.

PR 책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사안들을 다루고 있어 PR을 연구하거나 실무를 담당하는 사람 모두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할 ‘PR론의 교양’이라 할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제임스 그루닉(지은이)

위스콘신대학 대학원을 졸업(박사)하고, 2006년 현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PR연구소 PR 연구 우수상(페스타인 상), 미국PR협회(PRSA) 탁월한 PR 교육자 상, 미국PR협회재단 행동과학연구상(잭슨, 잭슨 앤 와그너 상) 등의 수상 경력이 있다. 지은 책으로 <PR과 PR 테크닉의 관리>(공저), <우수 PR과 PR 관리의 경영자 가이드>(공저), <조직 문화의 두 가지 차원과 그 차원의 PR에 대한 관계의 관찰 및 측정>(공저) 등이 있다.

토드 헌트(지은이)

2006년 현재 뉴저지 주립 럿거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박기순(옮긴이)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하고 미주리대학교(콜럼비아) 저널리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시건주립대학교(이스트랜싱)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학위와 오하이오대학교(애신스)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 사회과학대학장과 학부장을 역임했다. 한국PR학회와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의 회장에 각각 선출되어 학회 발전에 기여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저서로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저, 2001) 등이 있고, 역서로는 「세계 문화 이해: 김치에서 오페라까지, 상징과 비유로 읽는 세계 문화」(공역, 2002),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역, 2007) 등이 있다.

박정순(옮긴이)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를, 미국 오하이오대학교(University of Ohio, Athens)에서 “여론형성 과정에서의 다원적 무지와 제3자 효과(Pluralistic Ignorance and Third Person Effect of the Mass Media in the Process of Public Opinion Formation)”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1985). 이 박사논문은 데이비슨(W. Phillips Davison)이 제2차 세계대전의 전시선전 경험을 바탕으로 1958년 제기했던 “커뮤니케이션의 제3자 효과” 아이디어를 지역사회(Ohio, Athens)의 여론 형성 과정에 적용하여 미디어의 제3자 효과를 통계적 개념으로 측정, 미국의 언론학계에서 최초로 검증해 보인 연구다. 이후 “제3자 효과”와 “다원적 무지” 현상에 대한 수많은 후속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이어졌다. 미국 오하이오대학교 부시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한국언론학회에 ‘미디어, 젠더 & 문화 연구회’를 만들고,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학술지 ≪미디어, 젠더 & 문화≫의 초대 편집위원장을 맡았다. 저서로는 『대중매체의 기호학』(한국언론학회 저술상 수상, 1995), 『대중매체와 성의 상징적 질서』(공저, 1997), 『정치 커뮤니케이션 원론』(공저, 1996)이 있으며, 역서로는 『광고의 기호학: 광고읽기, 그 의미와 이데올로기(개정판)』(2007),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공역, 2004), 『 신문방송 취재보도론』(공역, 1999) 등이 있다.

최윤희(옮긴이)

전 수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공과대학(Texas Tech)과 오하이오대학교에서 각각 매스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해 PR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25권의 저서와 역서를 펴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ⅵ
옮긴이의 글 = xii
01 PR의 개념
 1) 전문직위의 추구 = 2
 2) PR인 것과 PR이 아닌 것 = 3
 3) 사회과학 개념을 사용하여 = 5
 4) 이론과 실제의 통합 = 6
 1. PR의 정의 = 6
  1)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 7
  2) 상호 이해의 필요 = 8
 2. 조직 하부체계로서의 PR = 10
  1) 체계를 중심으로 = 11
  2) 행동의 결과 = 13
  3) 모형의 유용성 = 16
02 PR의 기원과 구조
 1) 모형을 찾아서 = 20
 1. PR과 유사한 활동들 = 21
  1) 고대의 PR = 22
  2) 인쇄술의 영향 = 24
  3) 미국혁명 중에 PR = 25
  4) 신대륙에서의 PR = 28
  5) 잭슨 대통령 시절의 아모스 켄달 = 30
 2. 네 가지 PR 모형의 이론과 실제 = 32
  1) PR의 목적 = 33
  2)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 34
  3) 커뮤니케이션 모형들 = 36
  4) 네 모형에서의 연구활동 = 37
  5) 네 가지 모형의 역사 = 39
  6) 오늘날 네 모형의 실시 현황 = 39
 3. 네 모형의 역사적 기원 = 42
  1) 언론 대행ㆍ홍보 모형 = 42
  2) 공공 정보 모형 = 48
  3) 쌍방 불균형 모형 = 59
  4) 쌍방 균형 모형 = 67
 4. 네 모형의 상황적 관점 = 69
03 PR과 공공 책임
 1) 압력을 가하며 = 77
 2) 균형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성취 = 78
 1. 공공 책임에 관한 몇 가지 논쟁점 = 79
 2. 왜 공중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하나? = 85
 3. 공중에게 어떻게 책임을 져야 하나? = 87
  1) 책임의 분류 = 88
  2) 공공 대 사회적 책임 = 90
 4. PR이 조직체의 책임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 91
  1) 내부 보고 = 92
  2) 외부 보고 = 93
 5. 기업활동에서 조직체의 공공책임까지 = 97
04 PR의 전문성
 1) 구인광고 : 부드러운 대화자들 = 104
 2) PR 전문가에 대한 평가 = 105
 1. 전문직업의 본질 = 106
  1) 전문직업인의 조직체에 대한 영향 = 107
  2) 전문직업인의 특성 = 109
 2. PR 실무자들의 가치관 = 111
  1) PR과 언론 = 115
 3. 전문인 협회들 = 116
 4. 전문인 윤리강령 = 118
  1) 윤리의 두 가지 기본 원칙 = 118
 5. 지식 체계 = 122
  1) 이론의 탐구 = 125
 6. PR 교육 = 126
  1) PR 교과과정 = 126
  2) PR 교육 평가 = 130
  3) 평생교육 = 132
 7. PR은 전문직업인가? = 13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