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개요
제1장 인터넷의 구성 = 7
1.1 개요 = 7
1.2 인터넷 접속 경로 예제분석 = 19
1.2.1 인터넷 접속 경로 예제 = 19
1.2.2 인터넷 접속 경로 예제 = 21
1.3 인터넷의 구성 = 23
1.3.1 구내망 = 23
1.3.2 접속망 = 26
1.3.3 백본망 = 32
1.3.4 서버망 = 34
1.4 요약 = 35
제2장 인터넷의 동작 원리 = 37
2.1 개요 = 37
2.2 구내망의 동작 원리 = 38
2.2.1 응용 서비스 개시 = 38
2.2.2 신뢰적인 데이터 전달 = 41
2.2.3 인터넷으로의 데이터 전달 = 44
2.2.4 이더넷으로의 데이터 전달 = 46
2.2.5 수신 정보 처리 과정 = 49
2.3 접속망의 동작 원리 = 49
2.3.1 ADSL 모뎀 = 50
2.3.2 DSLAM = 53
2.3.3 BRAS = 54
2.4 백본망의 동작 원리 = 55
2.4.1 망 주소와 호스트 주소 = 56
2.4.2 라우팅 테이블 = 57
2.4.3 라우팅 프로토콜 = 60
2.5 서버망의 동작 원리 = 61
2.5.1 방화벽 = 61
2.5.2 서버 소프트웨어 = 62
2.5.3 웹 서버 접근 = 63
2.6 요약 = 64
제3장 통신 프로토콜과 망 구조 = 65
3.1 프로토콜과 망 구조의 개념 = 65
3.2 통신 프로토콜의 계층화 = 67
3.2.1 우편 서비스의 계층화 구조 = 67
3.2.2 통신 프로토콜의 게층화 = 70
3.2.3 프로토콜 유형 구분 = 73
3.2.4 프로토콜 계층화의 장단점 = 74
3.3 OSI 참조 모델 = 75
3.3.1 7 계층 구조 = 75
3.3.2 응용 계층 = 77
3.3.3 표현 계층 = 78
3.3.4 세션 계층 = 79
3.3.5 트랜스포트 계층 = 80
3.3.6 망 계층 = 81
3.3.7 데이터 링크 계층 = 82
3.3.8 물리 계층 = 83
3.4 TCP/IP 망구조 = 83
제2부 네트워킹 기술
제4장 네트워킹 개요 = 89
제5장 이더넷 = 93
5.1 10/100BaseT = 93
5.1.1 UTP 케이블 = 93
5 1.2 기저 대역 신호 전송 기법 = 95
5.1.3 매체 접근 제어와 CSMA/CD = 98
5.1.4 프레임 구조 = 100
5.2 10/100BaseT 스위치 = 102
5.2.1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 102
5.2.2 자가 학습 = 104
5.2.3 완전 양방향 통신 = 107
5.2.4 가상 랜 = 108
5.3 동축 케이블 기반 이더넷 = 110
제6장 토큰링과 FDDI = 113
6.1 토큰 링 = 113
6.2 FDDI = 114
제7장 무선 LAN = 117
7.1 전자기파 = 117
7.2 확산 대역 기술 = 119
7.3 무선 LAN의 구성 = 120
7.4 CSMA/CA = 121
7.5 무선 LAN 프레임 구조 = 123
제8장 다이얼업 모뎀 = 127
8.1 전화망과 다이얼업 모뎀 = 127
8.2 변조와 복조 = 128
8.3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 = 132
8.4 PPP = 124
8.4.1 PPP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설계 기준 = 134
8.4.2 PPP의 프레임 구조 = 135
8.4.3 LCP와 NCP = 137
제9장 DSL = 139
9.1 DSL 주파수 대역과 DMT 변조 기술 = 139
9.2 DSL상의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 142
9.3 DSL 시스템의 구성 = 144
제10장 케이블 모뎀 = 147
10.1 CATV망과 케이블 모뎀의 동작 원리 = 147
10.2 케이블 모뎀 망의 구성 = 149
10.3 케이블 모뎀 매체 접근 제어 기법 = 152
제11장 전용 회선 = 153
11.1 디지털 다중화 전송과 전용 회선 = 153
11.2 T-시리즈와 E-시리즈 전송 회선 = 155
11.3 SONET과 SDH 전송 회선 = 157
제12장 가상 회선 = 159
12.1 교환망과 가상 회선 = 159
12.1.1 교환망 = 159
12.1.2 회선 교환망 = 160
12.1.3 패킷 교환망 = 162
12.1.4 가상 회선 교환망 = 164
12.1.5 데이터그램 교환망 = 166
12.2 프레임 릴레이 가상 회선 = 167
12.3 ATM 가상 회선 = 169
제3부 인터네트워킹 기술
제13장 인터네트워킹 개요 = 175
13.1 라우터 기반 인터네트워킹 = 175
13.2 인터넷의 특성 = 178
13.3 라우터의 구조와 동작 원리 = 182
제14장 인터넷 주소 = 187
14.1 인터넷 주소의 구조와 DDN 표기법 = 187
14.2 인터넷 주소 클래스 = 188
14.3 서브넷팅과 서브넷마스크 = 190
14.4 CIDR 주소 = 193
14.5 특수 인터넷 주소 = 195
14.6 인터넷 주소 지정 원칙 = 197
14.7 인터넷 주소 할당과 변환 = 198
제15장 인터넷 프로토콜 = 201
15.1 인터넷 프로토콜의 역할과 특징 = 201
15.2 IP 데이터그램 = 203
15.3 단편화와 재조립 = 207
15.4 IP 데이터그램의 전달 = 210
제16장 라우팅 = 217
16.1 라우팅 방식 = 217
16.2 라우팅 알고리즘 = 220
16.2.1 링크 상태 라우팅 알고리즘 = 221
16.2.2 거리 벡터 라우팅 알고리즘 = 223
16.3 라우팅 프로토콜 = 231
16.3.1 RIP = 231
16.3.2 OSPF = 234
16.3.3 BGP = 236
제17장 인터네트워킹 지원 프로토콜 = 239
17.1 ICMP = 239
17.2 ARP와 RARP = 241
17.3 BOOTP와 DHCP = 242
17.4 NAT와 NAPT = 244
17.5 멀티캐스팅과 IGMP = 247
17.5.1 멀티캐스팅 = 247
17.5.2 IGMP = 249
17.5.3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 DVMRP = 251
17.6 RSVP = 253
17.6.1 최선형 서비스와 보장형 서비스 = 253
17.6.2 RSVP 동작 원리 = 254
17.6.3 RSVP의 특징 = 258
제18장 IPv6 = 259
18.1 IPv6 설계 배경 = 259
18.2 IPv6 헤더 포맷 = 261
18.3 IPv6 주소 체계 = 263
18.4 IPv4에서 IPv6로의 전환 = 265
제4부 트랜스포트 기술
제19장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개요 = 271
19.1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위치와 역할 = 271
19.2 트랜스포트 서비스 = 273
제20장 TCP = 277
20.1 TCP역할과 동작 원리 = 277
20.2 연결 설정 서비스 = 279
20.3 데이터 전송 서비스 = 285
20.4 오류 제어 = 287
20.5 흐름 제어 = 291
20.6 효율적인 세그먼트 전송 = 293
20.7 혼잡 제어 = 295
20.8 연결 해제 서비스 = 298
제21장 UDP = 301
21.1 UDP의 역할과 동작 원리 = 301
21.2 데이터 전송 서비스 = 302
21.3 UDP 첵섬 = 305
제22장 RTP/RTCP = 307
22.1 멀티미디어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요구사항 = 307
22.2 RTP/RTCP의 역할과 동작 원리 = 310
22.3 RTP 패킷과 서비스 = 312
22.4 RTCP = 316
제5부 클라이언트-서버 응용 기술
제23장 클라이언트-서버 응용 개요 = 321
제24장 DNS = 325
24.1 DNS의 역할과 동작 원리 = 325
24.2 도메인 이름 = 327
24.3 도메인 이름 서버 = 330
24.4 도메인 이름 해석 = 332
24.5 DNS 데이터베이스 = 336
24.6 DNS 메시지 = 337
제25장 이메일과 SMTP = 341
25.1 이메일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원리 = 341
25.2 이메일 주소 = 342
25.3 이메일 메시지 포맷 = 344
25.4 MIME = 346
25.5 SMTP = 349
25.6 메일 접속 프로토콜: POP3와 IMAP = 352
제26장 웹 서비스와 HTTP = 355
26.1 웹 시스템 구성과 동작 원리 = 355
26.2 웹 서버와 웹 페이지 = 357
26.3 웹 문서 유형 = 359
26.4 동적 문서 = 361
26.5 활성 문서 = 364
26.6 웹 브라우저 = 365
26.7 HTTP = 367
26.8 HTTP 요청 메시지 = 369
26.9 HTTP 응답 메시지 = 371
제27장 파일 전송 서비스와 FTP = 373
27.1 파일 전송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원리 = 373
27.2 FTP 제어 연결과 데이터 연결 = 375
27.3 제어 연결상의 통신 = 378
27.3.1 명령 메시지 = 379
27.3.2 응답 메시지 = 381
27.4 데이터 연결상의 통신 = 382
27.5 사용자 인터페이스 = 383
27.6 TFTP = 385
제6부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제28장 소켓 API = 389
28.1 소켓 API와 소켓 = 389
28.1.1 계층 구조 = 389
28.1.2 클라이언트 소켓과 서버 소켓 = 390
28.1.3 연결형 소켓과 비연결형 소켓 = 391
28.2 소켓 API 구조 = 394
27.3 소켓 자료 구조 = 396
28.4 소켓 제어 함수 = 399
28.4.1 소켓 생성 함수 : socket() = 400
28.4.2 소켓 주소 결합 함수 : bind() = 401
28.4.3 듣기 함수 : listen() = 403
28.4.4 연결 함수와 수락 함수 : connect()와 accept() = 404
28.4.5 읽기 함수와 쓰기 함수 : read()와 write() = 406
28.4.6 목적지지정송신 함수와 출발지반환수신 함수 : sendto()와 recvfrom() = 407
28.4.7 닫기 함수와 부분 닫기 함수 : close()와 shutdown() = 408
28.5 소켓 주소 처리 함수 = 410
28.5.1 인터넷 주소 체계 = 410
28.5.2 주소 변환 함수 = 411
28.5.3 도메인 이름 해석 함수 = 413
제29장 TCP 소켓 프로그래밍 = 417
29.1 TCP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 = 417
29.2 소켓 제어 함수, TCP 상태, 그리고 TCP 세그먼트 = 420
29.3 TCP 소켓 제어 함수 호출 순서 = 422
29 4 바이트 스트림 전송 = 426
29.5 소켓 닫기(close)와 부분 닫기(shutdown) = 427
29.6 소켓 옵션 = 428
제30장 UDP 소켓 프로그래밍 = 431
30.1 UDP 소켓의 동작 원리 = 431
30.2 UDP 소켓 제어 함수 호출 순서 = 432
30.3 멀티캐스트 소켓 프로그래밍 = 435
30.4 UDP 데이터그램 전송 = 436
30.5 연결 UDP 소켓 = 437
약어 = 441
참고문헌 = 447
찾아보기 = 449
그림 찾아보기 =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