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의 과제와 방법
1.1 거시경제학의 정의와 과제 = 4
1. 거시경제학의 정의 = 4
2. 거시경제학의 과제 = 6
1.2 거시경제학의 발전과정과 접근방법 = 8
1. 거시경제학의 발전과정 = 8
2. 거시경제학의 접근방법 = 11
1.3 거시경제분석의 방법 = 14
제2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경제활동수준의 측정
2.1 국민경제의 순환 = 19
1. 단순화된 거시경제의 순환 = 19
2. 정부ㆍ해외부문의 도입과 경제순환 = 21
2.3 거시경제활동수준의 측정 = 23
1. 국민계정체계 = 24
2. 국내총생산(GDP) = 24
제3장 국내총생산수준의 결정과 변동
3.1 국내총생산(GDP)수준의 결정 = 38
1. 유효수요의 원리 = 38
2. 균형 GDP의 결정 = 40
3.2 국내총생산수준의 변동(승수이론) = 60
1. 승수의 의미 = 60
2. 승수의 도출 = 62
3. 승수이론의 한계 = 78
3.3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 79
1. 인플레이션 갭 = 81
2. 디플레이션 갭 = 82
제2편 총수요의 구성
제4장 소비수요와 그 결정 요인
4.1 케인즈 소비함수론과 그 현실 타당성 = 88
1. 케인즈 소비함수론 = 88
2. 케인즈 소비함수론의 현실 타당성 검토 = 91
4.2 케인즈 이후 소비함수론의 전개 = 93
1. 상대소득가설 = 93
2. 유동자산가설 = 97
3. 항상소득가설 = 99
4. 라이프사이클 가설 = 103
4.3 케인즈 이후 소비함수론의 특징 = 107
제5장 투자수요와 그 결정 요인
5.1 투자의 개념과 종류 = 111
1. 투자의 개념 = 111
2. 투자의 종류 = 112
5.2 투자의 결정이론 = 114
1. 케인즈의 투자결정이론 = 115
2. 가속도원리 = 120
3. 자본스톡 조정원리 = 122
4. 이윤원리 = 124
5. 신고전학파 투자이론 = 126
6. 토빈의 q이론 = 129
5.3 투자결정이론의 비교ㆍ검토 = 131
제3편 화폐시장의 분석
제6장 화폐시장의 균형과 이자율의 결정
6.1 화폐시장분석의 의의 = 138
6.2 화폐의 기능과 정의 = 139
1. 화폐의 기능 = 139
2. 화폐의 정의 = 139
6.3 화폐의 수요ㆍ공급과 균형이자율의 결정 = 143
1. 화폐의 수요와 공급 = 143
2. 균형이자율의 결정과 변동 = 152
6.4 보론 = 155
1. 케인즈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155
2. 화폐수량설 = 158
제7장 화폐의 공급 메커니즘과 통화정책
7.1 화폐공급량의 결정 메커니즘 = 163
1. 본원통화의 공급과 통화승수 = 163
2. 예금통화의 창조 = 168
7.2 통화정책과 파급 메커니즘 = 171
1. 통화정책의 정의와 목표 = 171
2. 통화정책의 수단 = 173
3. 통화정책의 파급 메커니즘 = 181
제4편 거시경제 전체의 균형 분석
제8장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 균형
8.1 ISㆍLM분석의 의미 = 188
8.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 = 189
1. 생산물시장의 균형조건 = 189
2. IS곡선의 도출과 이동 = 190
3. 생산물시장의 불균형과 그 조정 = 207
8.3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209
1. 화폐시장의 균형조건과 LM곡선의 도출 = 209
2. LM곡선의 이동 = 215
3. 화폐시장의 불균형과 그 조정 = 221
8.4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 균형 = 223
1. 생산물ㆍ화폐시장의 동시 균형과 그 조정과정 = 223
2. ISㆍLM모델과 재정ㆍ금융정책의 효과 = 228
8.5 ISㆍLM모델의 한계 = 243
제9장 국민소득수준과 물가수준의 동시 결정
9.1 총수요곡선 = 246
1. 총수요곡선의 도출과 형태 = 246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251
9.2 노동시장의 균형과 총공급곡선 = 254
1. 거시생산함수 = 255
2. 노동시장의 균형 분석 = 256
3. 총공급곡선 = 269
9.3 총수요ㆍ총공급 분석과 재정ㆍ금융정책의 효과 = 277
1. 국민소득수준과 물가수준의 동시 결정 = 277
2. 재정ㆍ금융정책의 효과 = 281
제10장 개방경제 하의 거시경제 분석
10.1 국제수지와 그 균형 = 294
1. 국제수지와 국제수지표 = 294
2. 환율과 그 결정 메커니즘 = 297
10.2 개방 거시경제의 균형분석 = 300
1. 개방경제 하의 국내균형 = 300
2. 개방 거시경제의 대외균형 = 310
3. 개방 거시경제 하의 국내외 동시 균형의 결정 = 319
10.3 개방 거시경제에서의 재정ㆍ금융정책의 효과 = 322
1. 고정환율제도 하에서의 재정ㆍ금융정책의 효과 = 322
2. 변동환율제도 하의 재정ㆍ금융정책의 효과 = 328
제5편 인플레이션과 실업
제11장 인플레이션
11.1 인플레이션의 정의와 유형 = 336
1. 인플레이션의 정의와 그 측정지표 = 336
2. 인플레이션의 유형 = 339
11.2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영향 = 341
1. 소득의 불평등한 재분배 = 342
2.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 343
3. 경제성장의 저해 = 343
4. 국제수지에의 악영향 = 344
5. 화폐가치의 불안정화 = 344
11.3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과 그 대책 = 345
1.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 345
2. 인플레이션 대책 = 360
11.4 인플레이션율과 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364
1. 인플레이션형 총수요곡선과 인플레이션형 총공급곡선 = 365
2. 인플레이션율의 결정 = 371
제12장 실업
12.1 실업의 정의와 형태 = 379
1. 실업의 정의 = 379
2. 실업의 형태와 발생 메커니즘 = 380
12.2 실업의 사회적 비용 = 384
1. 자원배분의 효율성 저해 = 385
2. 소득분배의 불공정의 심화 = 385
3. 실업 노동자의 물질적 생활기반의 상실 = 385
4. 정치ㆍ사회적 불안정 발생 = 386
12.3 실업의 이론 = 386
1. 고전학파의 고용이론 = 386
2. 케인즈학파의 고용이론 = 389
12.4 실업대책 = 391
1. 총수요관리정책 = 391
2. 노동시장정책 = 393
제13장 필립스 곡선
13.1 필립스-립시 가설과 필립스 곡선 = 397
1. 필립스-립시 가설 = 397
2. 필립스 곡선 = 400
13.2 예상 인플레이션율의 도입과 필립스 곡선 = 403
1. 예상 인플레이션율 조정 필립스 곡선 = 403
2. 단기 필립스 곡선과 장기 필립스 곡선 = 405
13.3 자연실업률 가설 = 407
제6편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제14장 경기변동
14.1 경기변동의 정의와 국면 = 414
1. 경기변동의 정의 = 414
2. 경기변동 국면의 구분과 각 국면의 특성 = 414
14.2 경기변동의 유형 = 417
1. 장기파동 = 418
2. 중기파동 = 419
3. 단기파동 = 419
4. 건축순환 = 420
14.3 경기변동이론 = 421
1. 케인즈 이전의 경기변동이론 = 422
2. 케인즈 이후의 경기변동이론 = 424
3. 균형경기변동이론 = 435
14.4 경기변동의 예측과 그 대책 = 443
1. 경기변동의 예측 = 443
2. 경기대책 = 448
제15장 경제성장
15.1 경제성장의 의미 = 451
15.2 경제성장의 결정 요인 = 452
1. 경제성장의 요인 = 452
2. 경제성장률의 요인 분해 = 454
15.3 경제성장이론 = 456
1. 해로드ㆍ도마의 경제성장이론 = 457
2. 신고전학파의 경제성장이론 = 467
3. 내생적 경제성장이론 = 477
제7편 거시경제학의 형성과 그 전개
제16장 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이론체계
16.1 케인즈의 고전학파 경제학 비판 = 486
16.2 유효수요 원리와 총수요관리정책 = 489
1. 유효수요 원리 = 489
2. 총수요관리정책 = 490
16.3 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전개 = 491
제17장 통화주의와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
17.1 통화주의 = 494
1. 통화주의의 케인즈적 재량정책에 대한 비판 = 494
2. 통화주의의 케인즈적 경제정책효과의 부정 = 497
3. 통화주의의 금융정책과 그 한계 = 498
17.2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 = 501
1. 합리적 기대가설 = 502
2.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경제정책 효과 = 505
3.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문제점 = 508
제18장 공급중시경제학
18.1 공급중시경제학의 특징 = 512
18.2 래퍼 곡선 = 513
18.3 공급중시경제학의 한계 = 515
제19장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
19.1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특징 = 518
19.2 새케인즈학파의 가격경직성이론 = 519
1. 효율임금가설 = 520
2. 신용할당이론 = 523
3. 메뉴비용모델 = 525
19.3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문제점 = 527
사항색인 = 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