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 영화사 :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한국 영화사 :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Loan 19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미현, 편
Title Statement
한국 영화사 :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 김미현 책임편집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Physical Medium
xi, 447 p. : 천연색삽화 ; 25 cm
Series Statement
영화진흥위원회 이론총서 ;36
ISBN
898499592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06-417)과 색인수록
000 00771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296058
005 20101216200349
007 ta
008 060803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84995924 ▼g 03680
035 ▼a (KERIS)BIB000010482546
040 ▼a 211019 ▼d 244002 ▼d 211009
082 0 4 ▼a 791.4309519 ▼2 22
085 ▼a 791.430953 ▼2 DDCK
090 ▼a 791.430953 ▼b 2006b
245 0 0 ▼a 한국 영화사 : ▼b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 ▼d 김미현 책임편집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06
300 ▼a xi, 447 p. : ▼b 천연색삽화 ; ▼c 25 cm
440 0 0 ▼a 영화진흥위원회 이론총서 ; ▼v 36
440 0 0 ▼a 커뮤니케이션북 ; ▼v 876
504 ▼a 참고문헌(p. 406-417)과 색인수록
700 1 ▼a 김미현, ▼e
949 ▼a CB ; ▼v 876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114200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114200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College Administration Office/ Call Number 중어중문학과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999003978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512132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512132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114200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114200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College Administration Office/ Call Number 중어중문학과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999003978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512132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91.430953 2006b Accession No. 1512132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미현(지은이)

영화진흥위원회 국제사업부 팀장이며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에서 <한국 시네마스코프에 대한 역사적 연구>(2005)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7년 가을학기부터 1년간 하버드 대학 시각예술학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2001년 영화진흥위원회에 입사한 후 한국 영화사를 비롯해 영화산업과 문화정책을 연구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주요 저술로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책임편집, 2006), <창의성에 대한 11가지 생각>(공저, 2009),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2013) 등이 있고, 논문에는 “<안개>의 모더니즘과 비판적 근대성”(2012), “한국영화 자본조달 구조와 유형에 대한 연구”(2012), “지역의 영상정책 사례: 한국과 프랑스의 지역협력형 사업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ⅵ
01 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1897~1925 :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주 = 1
 활동사진의 상영 = 23
 상설 영화관의 설립 = 25
 〈의리적 구토〉와 연쇄극의 성행 = 28
 계몽으로 시작된 극영화, 〈월하의 맹서〉 = 29
 최초의 여배우 이월화와 기생 배우의 활동 = 31
 〈장화홍련전〉과 제작자 박승필 = 34
02 식민 시대, 무성영화의 전성기 1926~1934 : 조선/한국 영화에서 신파 또는 멜로드라마의 계보학 = 37
 활동사진 필름 검열규칙 = 53
 신파영화와 근대성 = 54
 〈아리랑〉과 민족영화 = 57
 카프 영화운동과 경향파 영화 = 59
 민족의 울분을 대변한 〈임자 없는 나룻배〉 = 62
 변사, 무성영화 시기의 스타 = 65
03 발성영화, 그리고 군국주의 1935~1945 :  한국 리얼리즘 영화담론사 = 67
 최초의 발성영화, 〈춘향전〉 = 81
 조선의 영화기술 = 83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 〈미몽〉 = 86
 필름이 발굴된 이 시기 영화들 = 88
 조선영화령 이후 일제의 영화 통제와 공작 = 92
 일제 말기의 합작 선전영화 = 93
04 해방과 한국전쟁 1945~1953 : 영화와 표현의 자유, 한국영화 심의제도의 변천 = 97
 〈자유만세〉와 광복영화 = 108
 영화기술의 혼재 = 109
 미군정기 영화단체의 활동 = 112
 서정적이고 차분한 영상미가 돋보인 = 114
 〈마음의 고향〉 = 114
 한국전쟁과 기록영화 활동 = 117
 피난지에서의 영화제작 = 119
05 영화산업의 중흥기 1954~1962 : 한국영화 스타 시스템의 변화 = 121
 한국전쟁 후 국산영화 진흥정책 = 135
 한국영화 중흥의 교두보, 〈춘향전〉 = 136
 사극영화의 붐 = 139
 〈자유부인〉과 멜로드라마 = 141
 〈시집가는 날〉과 희극영화 = 144
 장르의 분화와 형식의 경향 = 145
 외화의 상영과 그 영향 = 148
 수도영화사와 안양촬영소 = 149
 한국의 할리우드, 충무로의 형성 = 152
 새로운 가부장제의 모습, 가족 드라마 = 154
 전후 한국영화의 삼각형, 〈하녀〉 〈오발탄〉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157
06 한국영화의 르네상스, 그리고 장르 영화 1963~1971 : 한국 여성 감독들의 발자취 = 159
 영화법의 제정과 시행 = 173
 한국영화 기업화 정책, 신필름 왕국의 탄생 = 175
 와이드 스크린의 시대, 시네마스코프와 컬러 = 179
 화려한 세트와 의상, 사극영화 = 180
 새로운 장르의 감각과 미학, 스릴러 액션 영화 = 183
 비정상성의 웃음과 정상성의 안도, 희극영화 = 185
 〈맨발의 청춘〉과 청춘영화 = 188
 한국영화의 세계 진출, 한-홍 합작영화 = 191
 외설죄 혹은 반공법 위반 = 195
 우수영화 보상제도와 문예영화 현상 = 196
 모더니즘 영화의 자의식 = 199
 〈월하의 공동묘지〉와 괴기영화 = 202
 〈미워도 다시 한번〉과 1960년대 말 신파영화 = 205
07 통제와 불황의 시대 1972~1979 : 한국영화에서 가족의 재현 = 209
 유신 시대의 영화법 = 224
 영화산업의 침체와 TV의 영향 = 226
 대중소설의 영화화 경향 = 227
 황폐한 시대에 대한 저항의 은유, 〈영자의 전성시대〉 〈바보들의 행진〉 = 231
 청년문화와 '영상시대' = 233
 통제의 그늘, 국책영화 = 237
 국적불명의 장르, 무협 액션 영화 = 240
 십대 관객층의 형성, 하이틴 영화 = 243
 호스티스 영화의 붐, 그 담론의 진실 = 245
 극장가의 풍경, 재개봉관의 하위문화 = 249
 문화원 세대, 영화광 문화의 태동 = 251
08 신군부의 문화 통치와 새로운 영화문화의 출현 1980~1987 : 한국영화에서의 여성상 = 255
 3S 정책과 에로티시즘 영화 = 269
 빈민의 초상, 소재의 리얼리즘 = 271
 분단의 극복과 통일의 길 찾기 = 274
 영화에 대한 집단주의의 압력 = 277
 1980년대 대중영화의 감성과 화법 = 279
 5, 6차 영화법 개정과 제작, 수입 자유화 = 282
 여성의 현실을 다룬 영화들 = 284
 세계화, 국제영화제에서의 수상 = 287
 새로운 영화, 대안적 영화를 모색하며 = 289
 영화 전문 교육, 한국영화아카데미 = 291
 할리우드 직접배급의 시작과 저항 = 293
 소극장 문화와 비디오의 대중화 = 296
09 새로운 한국영화의 움직임 1988~1995 : 누구의 민족영화인가 : 한국영화의 정치적 재현의 역사와 장소 = 299
 직배 이후 한국 영화산업의 변화 = 314
 코리안 뉴웨이브의 출현 = 315
 장산곶매와 〈파업전야〉 상영투쟁 = 319
 〈상계동 올림픽〉과 독립 다큐멘터리 제작단체들의 활동 = 321
 신진 프로듀서의 기획영화 = 323
 코미디의 새로운 감각, 〈결혼이야기〉 〈투캅스〉 = 325
 〈서편제〉와 민족의 재인식 = 327
 현실과 장르의 복합적 자의식, 뉴웨이브 이후 세대 감독들 = 330
 예술영화의 상영, 비디오테크에서 예술영화전용관으로 = 333
 사수! 스크린 쿼터 = 335
10 한국영화의 성장과 전망 1996~현재 : 한국영화 정책사 = 339
 WTO 체제와 영화 진흥정책의 재편 = 351
 검열에서 등급제로의 전환 = 352
 배급체계의 변화와 새로운 구조 = 354
 시각적 테크놀로지의 발전 = 356
 민족, 민중영화의 '민중'과 '민족' = 359
 비평 저널리즘, 영화 주간지 시장의 형성 = 360
 지역에서 세계로, 부산국제영화제의 출범 = 363
 한국영화의 국제 공동제작 = 365
 가깝고 편안한 관람, 멀티플렉스 = 367
 〈쉬리〉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 369
 품질의 인증, 웰 메이드 영화 = 371
 중장년층의 극장 나들이, 1000만 관객 시대 = 373
 한류 열풍과 한국영화 = 375
 한국영화의 젊은 꿈, 신인 감독 = 377
 영화문화의 기둥, 독립영화의 힘 = 380
 디지털 세대, 디지털 영화 = 383
 시대를 초월하는 장인, 임권택 = 384
 한국영화의 미학적 지형도 = 388
한국 영화산업 구조의 변화 = 399
참고 문헌 = 406
찾아보기 = 41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