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문제제기 = 1
1. 직장인과 직무 스트레스 = 4
2. 교육의 아노미 현상 = 39
2-1. 교육인적자원부의 정체성 위기 = 39
2-2. 학교 사회의 무력감 = 65
3. 직무 스트레스의 손실 비용 = 68
제2장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 73
1. 교사는 교직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 76
2.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TJS) 정의 및 모형 = 82
2-1. 스트레스에 대한 정의 = 84
2-2.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을 해석하는 관점 = 87
3.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의한 손실과 결과 = 99
4. 교사들의 직업병 = 107
5. 교사들이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의 원인 = 117
5-1. 교사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받게 하는 조건들 = 117
5-2. 교사의 개인적 소인 = 137
6.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 200
7. 교직을 떠나는 교사와 그 이유 = 203
8. 교직에서 스트레스의 역학 = 209
제3장 교사의 탈진 = 211
1. 탈진의 정의 = 211
2. 탈진의 본질 = 214
2-1. Freudenberger의 심리학적인 접근 방법 = 215
2-2. Maslach와 Pines의 사회 심리학적 접근 방법 = 216
2-3. Cherniss의 조직의 관점 = 218
2-4. Sarason과 공동 연구자들의 사회ㆍ역사적 관점 = 220
3. 탈진과 유관개념의 차이 = 228
4. 탈진 문제의 중대성 = 233
5. 탈진하기 쉬운 교사 = 234
6. 교사의 탈진, 전직 및 파멸 = 236
7.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 증상에 관해 교사와 다른 직장인을 비교하기 = 247
8. 직무 스트레스, 탈진, 직무 불만족의 만연의 증가 = 255
제4장 교사가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에 관한 대처 방안 권고 = 261
1. 교사의 탈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전략과 접근법 = 263
2.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대처의 효과 = 273
2-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중재자로서 사회적 지원 = 274
2-2. 사회적 지원과 탈진 = 276
2-3. 직무 스트레스 중재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원 = 278
부록 1. 교감이 받는 스트레스 = 302
부록 2. 내가 받은 직무 스트레스 = 312
부록 3.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진단 검목표 = 332
부록 4. 일 중독증 확인 검목표 = 352
부록 5.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출현율, 원인과 증상 = 354
부록 6. 스트레스 완충 기능으로서 대처 자원 모형 = 366
부록 7.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탈진: 국제적 고찰 = 384
부록 8. 학교의 조직 건강과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간의 관련성 = 393
부록 9. 교사의 직무관련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탈진 = 414
부록 10.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 = 425
부록 1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 432
참고 문헌 = 440
찾아보기 =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