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백남준과 그의 예술 : 해프닝과 비디오아트

백남준과 그의 예술 : 해프닝과 비디오아트 (2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홍희
서명 / 저자사항
백남준과 그의 예술 : 해프닝과 비디오아트 / 김홍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디자인하우스 ,   1992.  
형태사항
248 p. : 삽도 ; 23 cm.
ISBN
8970410031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주제명(개인명)
백남준   1932-2006  
000 00603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295686
005 20100807014411
007 ta
008 060926s1992 ulka b 000a dkor
020 ▼a 8970410031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92 ▼2 22
090 ▼a 700.92 ▼b 1992a
100 1 ▼a 김홍희 ▼0 AUTH(211009)104417
245 1 0 ▼a 백남준과 그의 예술 : ▼b 해프닝과 비디오아트 / ▼d 김홍희 지음.
260 ▼a 서울 : ▼b 디자인하우스 , ▼c 1992.
300 ▼a 248 p. : ▼b 삽도 ; ▼c 23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수록
600 1 4 ▼a 백남준 ▼d 1932-2006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92 1992a 등록번호 1113523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세기가 남긴 가장 새로운 예술 중 하나인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인 백남준의 작품세계를 다룬 책. 미술 평론가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은이가 학문적이면서 객관적인 시각에서 살피고 있다. 1992년 출간되었던 <백남준과 그의 예술>에 기반을 둔 개정 증보판이다.

50년대부터 독일을 배경으로 펼쳐졌던 백남준의 음악적 기행, 퍼포먼스와 해프닝 등에서 지은이는 '참여'라는 일관성을 찾는다.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는 백남준의 예술은 '관객 참여'라는 개념으로 연결된 한 과정의 다른 면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을 자극하고 참여시키는 백남준의 작업은, 대중과 관객을 소외시켜 온 기존 순수 예술의 병폐를 치유하여 예술의 원형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백남준의 작업들이 어떤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지에 대한 해석과 함께, 백남준의 생애와 그와 함께 활동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작품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돕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홍희(지은이)

이화여대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콩고디아 대학원에서 미술사 석사를 취득한 후 홍익대학교에서 미술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립 큐레이터로서 《서울 플럭서스 페스티벌》(예술의전당, 1993), 《여성, 그 다름과 힘》(한국미술관, 갤러리 한국, 1994) 등을 기획한 뒤, 1998년에 대안공간인 쌈지 스페이스를 설립하고 2006년까지 관장으로 재직했다. 이후 경기도미술관 관장(2006-2010)과 서울시립미술관장(2012-2016)을 역임하고, 2000년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2003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06년 광주비엔날레 총감독을 지냈다. 연구 및 저서로는 『페미니즘·비디오·미술』(재원, 1998), 『굿모닝 미스터 백』(디자인하우스, 2007), 『큐레이터 본색』(한길아트, 앤솔로지 기획, 2012), 『큐레이터는 작가를 먹고산다』(눈빛, 2014)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백남준 = 6

머리말 = 12

1. 해프닝의 참여적 양상 = 18

 복합 매체 = 20

 비결정성 = 26

2. 백남준의 해프닝:참여 공연 = 34

 행위 음악 = 35

 플럭서스 해프닝 = 41

3. 비디오아트의 참여적 양상 = 46

 전자 매체 = 48

 심리 매체 = 53

 대중 매체 = 58

4.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참여TV = 69

 TV 설치 예술 = 70

 비디오 테이프 예술 = 79

 위성 중계 공연 예술 = 85

맺는말 = 95

부록1:사진으로 본 백남준의 예술세계 = 103

부록2:백남준의 생애와 작업 = 121

주 = 232

참고 문헌 = 24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