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국제관계의 이론적 접근
[개요] = 3
제1장 국제관계학의 영역과 연구과제 = 7
제1절 국제관계학의 발전사 = 7
1. 대외정책학 = 7
2. 국제정치학 = 9
3. 국제관계학 = 15
4. 탈냉전기의 국제관계학 = 17
제2절 국제관계학의 영역 = 27
제3절 국제관계학의 주요 연구과제 = 32
제2장 국제현상의 과학적 인식과 이론적 접근 = 37
제1절 현상의 과학적 인식 = 37
1. 질서와 법칙성 = 37
2. 법칙성과 과학적 지식 = 39
3. 감각적 지식, 직관 및 이성적 추리 = 41
제2절 과학적 지식을 얻기 위한 제접근 = 42
1. 분류에 의한 연관발견 = 42
2. 관찰에 의한 일반화 = 44
3. 직관에 의한 법칙성 발견 = 47
4. 이성적 추리 = 52
제3절 이론적 접근 = 55
1. 이론적 사고 = 55
2. 이론이란 무엇인가? = 57
3. 이론의 구조 = 61
4. 경험ㆍ규범ㆍ정책이론 간의 관계 = 66
5. 가설연역법 = 69
6. 이론에 의한 설명과 예측 = 70
제4절 이론의 분류 = 75
1. 이론화 정도에 따른 분류 = 75
2. 이론화 목적에 따른 분류 = 77
3. 대상의 현상수준에 따른 분류 = 79
4. 행위설명양식에 따른 분류 = 81
제5절 국제관계이론 변천약사 = 82
1. 고전적 이론의 형성과정 = 83
2. 행태주의의 출현 = 86
3. 탈냉전시대의 국제관계이론 = 89
제3장 세계관과 국제관계이론 = 99
제1절 국제현상을 보는 세 가지 시각 = 100
1. 현실주의 전통 = 103
2. 이상주의 전통 = 104
3. 합리주의 전통 = 106
제2절 지배이데올로기와 국제관계인식 = 108
1. 자유주의적 인식 = 109
2. 전체주의적 인식 = 110
제4장 21세기 세계질서와 국제관계이론 = 114
제1절 과학기술 발전과 국제질서 변화 = 114
1. 자연 지배 능력의 발전과 추구가치 변화 = 114
2. 추구가치 변화와 국가체제 = 117
3. 부국강병 시대의 종언 = 119
제2절 21세기의 세계질서 =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