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05
01 서론 = 15
1. 권력과 민주주의, 그리고 정치과정 = 15
2. 정치적 대표체계와 정치과정의 동학 = 20
02 제1장 : 정치과정론의 배경 = 27
1. 정치란 무엇인가? = 27
정치의 두 얼굴 = 27
정치에 대한 정의들 = 31
정치, 그것은? = 34
2. 정치학 연구의 접근방법들 = 37
전통적 접근방법 = 39
현대적 접근방법 = 42
3. 비교정치학의 발전 = 46
비교정치학의 본질 = 47
비교정치학 발전의 계기 = 48
비교정치학의 발전과정 : 주요 이론들 = 51
4. 정치과정론의 기원과 범위 = 60
정치과정론의 기원 = 60
정치과정론의 범위 = 62
03 제2장 : 선거정치론 = 67
1. 선거란 무엇인가? = 68
선거의 기본원칙 = 70
선거의 기능 = 73
2. 대의민주주의와 선거 = 76
3. 대의제 모델 : 대표의 개념 = 81
신탁 모델 = 82
대리 모델 = 83
위임 모델 = 85
유사대표 모델 = 86
4. 선거의 제도적 요소 = 89
5. 선거구제와 선거구 획정 = 91
선거구제 : 선거구의 크기 = 91
선거구 획정 = 95
6. 대표제 : 당선자 결정방식 = 101
다수대표제 = 103
비례대표제 = 110
혼합대표제 = 115
7.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 118
8. 투표이론과 투표행태 = 124
투표이론 = 124
투표행태 = 129
9. 결론 = 133
04 제3장 : 의회정치론 = 137
1. 의회정치의 기원과 발전 = 139
의회의 기원 = 139
근대 의회의 성립 = 141
근대 의회제도의 발전 = 142
2. 의회주의 : 의미와 변화 = 144
3. 의회의 구조 : 양원제와 단원제 = 147
양원제와 단원제의 형성배경 = 148
양원제와 단원제의 구성 = 152
단원제와 양원제의 장단점 = 157
4. 의회의 기능 = 160
대표기능 : 연결기능 = 163
통합기능 : 갈등관리 기능 = 164
입법기능 = 165
행정부 통제기능 = 166
엘리트 충원기능 : 리더십 양성기능 = 167
5. 의회유형론 = 168
폴스비의 의회유형론 = 168
와인바움의 의회유형론 = 170
메지의 의회유형론 = 172
베버의 기능적 유형론 = 174
6. 의회의 정치적 위상 = 176
권력분립과 의회-행정부 관계 : 전통적 시각 = 176
권력구조와 의회-행정부 관계 = 178
의회-행정부-정당 관계 = 181
7. 의회의 쇠퇴 혹은 부흥? = 186
의회의 쇠퇴? = 186
의회의 부흥? = 189
8. 결론 = 191
05 제4장 : 정당정치론 = 195
1. 정당의 개념과 기원 = 198
정당의 개념 = 198
정당의 기원 = 200
2. 정당의 기능 = 203
이익의 표출과 집약 = 204
사회적 갈등의 조정 및 통합 = 205
정치사회화 = 206
정치참여의 촉진 = 207
정치엘리트의 충원 = 208
정치체계의 유지 = 209
정치적 의제설정 = 209
3. 정당 모델 : 변화와 특성 = 210
간부정당 = 211
대중정당 = 212
포괄정당 = 214
카르텔 정당 = 216
4. 정당조직 = 219
선거경쟁 접근법 = 220
제도적 접근법 = 223
사회학적 접근법 = 225
5. 정당체계 = 227
듀베르제의 유형화 = 228
다알의 유형화 = 230
라팔롬바라와 웨이너의 유형화 = 231
블론델의 유형화 = 233
사르토리의 유형화 = 235
6. 사회적 균열구조와 정당체계 = 239
사회균열과 정당체계의 형성 = 240
산업사회의 발전과 균열구조의 다원화 = 243
균열구조의 다원화와 정당체계의 변화 = 244
균열구조의 변화와 정당체계의 재정렬 = 247
7. 정당 쇠퇴와 위기에 대한 논쟁 = 249
정당위기론 = 250
정당위기론에 대한 비판 = 253
8. 결론 = 256
06 제5장 : 이익집단정치론 = 259
1. 이익집단의 개념 = 261
집단과 이익의 개념 = 262
이익집단의 개념 = 264
2. 이익집단의 발생과 참여동기 = 266
이익집단의 발생배경 = 266
이익집단 참여동기 : 이익집단 형성이론 = 271
3. 이익집단의 기능과 유형 = 274
이익집단의 기능 = 274
이익집단의 유형 = 276
4. 이익집단의 영향력 결정요인 = 280
내적 요인 : 조직역량 = 281
환경요인 = 285
5. 이익집단정치 모델 : 이익대표 체계의 양식 = 287
다원주의 모델 = 289
코포라티즘 모델 = 292
비교 평가 = 296
6. 이익집단정치 모델의 진화 : 정책 네트워크 = 299
정책 네트워크의 개념적 발전 = 301
정책 네트워크의 유형화 = 304
정책 네트워크의 형성과 변화 = 309
평가 = 312
7. 결론 = 314
07 제6장 : 비정부조직론 = 321
1. NGO의 개념적 특성 = 323
2. NGO의 유형 = 329
3. NGO의 역할과 기능 = 332
NGO의 역할 = 332
NGO의 기능 = 335
4. NGO의 성장배경 = 341
5. NGO와 정부, 그리고 거버넌스 = 346
정부-NGO 관계의 유형화 = 350
거버넌스에서의 정부와 NGO = 356
6. NGO와 시민사회, 그리고 민주주의 = 361
시민사회의 개념과 역할 = 361
강한 시민사회와 자발적 결사체 = 365
7. NGO와 사회자본 = 369
8. 결론 = 373
08 제7장 : 정치문화론 = 379
1. 정치문화란 무엇인가? = 381
2. 알몬드의 정치문화론 = 384
정치적 정향과 정치적 대상 = 385
정치문화의 유형 = 387
민주주의와 시민문화 : 혼합된 정치문화 = 391
3. 정치문화와 민주주의 = 393
4. 정치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 = 399
5. 신정치문화 = 402
신정치문화의 등장 = 402
신정치문화의 개념 = 405
6. 잉글하트의 탈물질주의론 = 409
탈물질주의와 세계가치조사 = 409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 415
7. 사회자본과 신뢰 = 419
사회자본의 개념 = 420
신뢰와 민주주의 = 423
8. 결론 = 429
09 제8장 : 정치리더십론 = 433
1. 정치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435
리더십의 개념 = 436
권력과 리더십 = 440
헤드십과 리더십 = 442
카리스마와 리더십 = 444
팔로어십과 리더십 = 446
2. 정치리더십의 이론과 실제 = 448
리더십 연구에 대한 관심 약화의 원인 = 448
리더십의 본질 = 454
정치리더십 연구의 중요성 = 457
3. 리더십 접근방법 = 460
특성론 = 462
상황론 = 464
상호작용론 = 467
4. 정치리더십의 개인적 조건 : 지도자의 능력 = 468
역사적 비전능력 = 470
정치적 분별능력 = 472
경영적 집중능력 = 473
정서적 조절능력 = 474
도덕적 희생능력 = 476
5. 시민사회와 정치리더십 = 478
6. 정치리더십과 민주주의 = 481
법의 지배와 사람의 지배 = 481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리더십 = 483
7. 결론 = 488
참고문헌 = 493
색인 =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