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문요약 = 17
제1장 서론 = 25
제1절 연구의 목적 = 25
제2절 연구의 핵심 내용 및 연구 내용 구성의 근거 = 28
1.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일반적 인지와 구체적 인지 수준의 차이 = 28
2. 여러 가지 학교폭력 대응방안에 관한 학생 및 교사들의 평가 = 30
제2장 학교폭력 문제와 관련된 논의 검토 = 35
제1절 학교폭력 실태와 관련된 논의 = 36
1.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각종 조사 결과 검토 = 36
2. 학교폭력에 대한 언론의 보도와 학교폭력의 심각성 = 43
제2절 학교폭력 관련 주요 대응방안에 대한 최근 논의 = 47
1. 스쿨폴리스제도에 관한 논의 및 시범 운영 = 48
2. 학교폭력 예방용 CCTV 설치에 관한 논의 및 실행 = 55
3. 전문상담교사제도에 대한 논의 및 실행 = 58
제3장 연구의 방법 = 63
제1절 조사 설문지의 구성 = 63
1.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질문 = 63
2. 학교폭력의 주요 대응방안들에 대한 질문 = 65
3. 기타 질문들 = 66
제2절 표본 추출 및 기타 = 67
1. 조사대상 및 표본 추출 = 67
2. 조사기간 및 분석도구 등 = 71
제4장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 = 73
제1절 학생들의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 = 73
1. 현 시점에서의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 = 73
2. 학교폭력의 심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 = 77
3. 학교폭력 관련 언론보도 수준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 = 81
제2절 교사들의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 = 85
1. 현 시점에서의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 = 85
2. 학교폭력의 심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 = 89
3. 학교폭력 관련 언론보도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 = 93
제3절 교사-학생 간 심각성 인지도 비교 = 97
제4절 소결 = 101
제5장 학교폭력 대응방안들에 대한 평가 = 105
제1절 학생들의 대응방안에 대한 평가 = 105
1. 스쿨폴리스제도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분석 = 105
2. 학교 내 CCTV 설치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분석 = 111
3. 전문 상담교사 배치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분석 = 116
제2절 교사들의 대응방안에 대한 평가 = 122
1. 스쿨폴리스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 분석 = 122
2. 학교 내 CCTV 설치 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 분석 = 128
3. 전문 상담교사 배치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 분석 = 133
제3절 교사-학생 간 각 대응방안 평가 비교 = 138
제4절 소결 = 140
제6장 대응방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45
제1절 학생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46
1. 학생들과 관련된 독립변인의 구성 = 147
2. 스쿨폴리스제도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59
3. CCTV 설치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71
4.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82
제2절 교사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92
1. 스쿨폴리스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93
2. 교내 CCTV 설치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96
3.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99
제3절 소결 = 202
제7장 결론 및 제언 = 207
참고문헌 = 215
영문요약 = 219
〈부록1〉 참고 부표 모음 = 229
〈부록2〉 학생용 설문지 = 235
〈부록3〉 교사용 설문지 =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