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8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291421 | |
005 | 20100807011434 | |
007 | ta | |
008 | 060906s2006 ggk 000am kor | |
020 | ▼a 8946035528 ▼g 03810: ▼c \11000 | |
040 | ▼a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895.7/85 ▼2 22 |
085 | ▼a 897.87 ▼2 DDCK | |
090 | ▼a 897.87 ▼b 조병옥 라 | |
100 | 1 | ▼a 조병옥 ▼g 趙炳玉 ▼0 AUTH(211009)21585 |
245 | 1 0 | ▼a 라인강변에 꽃상여가네 : ▼b 조병옥 수기 / ▼d 지은이: 조병옥. |
250 | ▼a 초판. | |
260 | ▼a 파주 : ▼b 한울 , ▼c 2006. | |
300 | ▼a 367 p. ; ▼c 23 cm. | |
900 | 1 1 | ▼a Cho, Pyong-ok |
940 | ▼a Rain kangbyon e kkot sangyo kane : Cho Pyong-ok sugi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1/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113773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113773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51213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512136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1/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113773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113773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51213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87 조병옥 라 | 등록번호 1512136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67년 '동백림 간첩단 사건'의 피해자인 공광덕 박사의 아내 조병옥 씨의 수기. 촉망받는 음악가이자 이화여대 교수였던 지은이가, 전과자 신분으로 방황하던 공광덕 씨와 결혼하면서 민주화 운동에 눈을 뜨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다. 이야기는 암에 걸린 남편의 42간의 단식 투병 기록과 맞물려 전개된다.
수기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연작소설이자 회상록, 교우록, 절절한 신앙 고백록, 시국에 대한 예리한 토론서, 처절한 투병기, 지고한 연애와 사랑의 일기로도 읽을 수 있다. 리영희, 오재식, 이해동, 임헌영, 정범구, 홍세화 등 여러 인사들이 쓴 서평이 함께 실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조병옥(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작곡과 교수로 10년 근무하다 독일로 건너간다. 헤센주 노동부 장학금으로 어린이 조기교육을 위한 유리드믹스(Eurhythmics) 과정을 수료하고, 5년간 프랑크푸르트 청소년음악학교에서 리드믹스(Rhythmics) 강사로 일한다. 남편과 사별하고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지만 미국을 살아내지 못하고 1995년 귀국한다. 이대 유아교육학과, 이대 평생교육원, 한국어린이육영회부속 음악치료연구소 등등으로 강사 봇짐 싸들고 전전긍긍하다가 글을 쓰기 시작한다. 2006년 체험수기 『라인강변에 꽃상여가네』를 발표하면서 ‘글쓰기’에 재미를 붙인다. 그렇게 쓴 글들로 《한국산문》(구 에세이플러스)가 주는 ‘수필문학상 대상’과 《에세이스트》가 주는 ‘올해의 작품상’을 수상했다.

목차
목차 일초의 수기에 부쳐 : 고향을 그리는 사람들 / 오재식 = 5 프롤로그 = 10 1. 수술실, 그리고 크리스마스 = 22 2. 견기만성(大器晩成) = 28 3. 먼길 = 42 4. 대폿집에서 = 51 5. 전과자와의 축배 = 60 6. 흔들리는 의자 = 65 7. 마지막 맘마 = 78 8. 첫날의 산책 = 83 9. 밥은 하늘입니다 = 88 10. 바람과 뿌리 = 98 11. 목숨보다 소중했던 예술적 투혼 = 108 12. 신(神), 당신과의 합일(合一)을… = 120 13. 만남, 루이제 린저 = 131 14. 기차만큼은 언제나 달려주지 않았던가! = 139 15. 아들의 방 = 146 16. 핏줄 = 154 17. 한 장의 마로니에 잎이 아니고는 = 158 18. 나비의 꿈 = 166 19. 에라, 이 되다 만 여인아! = 180 20. 어찌 내 어머님뿐이랴! = 198 21. 그 혹독했던 잔혹극의 하루 = 208 22. 병상 인터뷰 = 217 23. 리해(理解)하시라요 = 228 24. 멸치 볶는 사람 = 239 25. 뮌헨의 휴일 = 245 26. 화해 = 262 27. 받아들임과 내줌 = 271 28. 귀인과 귀신의 행렬 = 276 29. 레이더에 걸린 위선 = 294 30. 뒤축 꺾인 신발로 남은 이 = 301 31. 잔등(殘燈) = 319 저자의 말 : 잘 보면 보입니다 = 330 서평 : 사랑의 진혼곡 / 임헌영 = 337 일초의 수기를 읽고 : 한국판 디아스포라의 최근사(最近史)를 본다 / 리영희 = 349 역사의 심지 / 이해동 = 354 살아남은 자의 밥값 / 정범구 = 358 살아남은 자에게 남아 있는 것 / 홍세화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