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32namccc200349 k 4500 | |
001 | 000045290079 | |
005 | 20100807010648 | |
007 | ta | |
008 | 060831s2006 ulka b 001a kor | |
020 | ▼a 8984995908 ▼g 03300: ▼c \2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50 | 1 4 | ▼a P96.T42 ▼b B59 2006K |
082 | 0 4 | ▼a 302.2223 ▼2 22 |
090 | ▼a 302.2223 ▼b 2006a | |
100 | 1 | ▼a Bolter, J. David , ▼d 1951- ▼0 AUTH(211009)77921 |
245 | 1 0 | ▼a 재매개 : ▼b 뉴미디어의 계보학 / ▼d 제이 데이비드 볼터, ▼e 리처드 그루신 지음 ; ▼e 이재현 옮김. |
246 | 1 9 | ▼a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
250 | ▼a 초판. |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6. | |
300 | ▼a xvii, 351 p. : ▼b 삽도 ; ▼c 24 cm. | |
500 | ▼a 권말에 "용어설명(p. 326-331)" 수록 | |
504 | ▼a 참고문헌(p. 332-340)과 색인(p. 341-351) 수록 | |
650 | 0 | ▼a Mass media ▼x Technological innovations. |
700 | 1 | ▼a Grusin, Richard A. |
700 | 1 | ▼a 이재현 , ▼e 역 ▼0 AUTH(211009)75396 |
900 | 1 1 | ▼a 볼터, 제이 데이비드 , ▼d 1951- |
900 | 1 1 | ▼a 그루신, 리처드 A. |
900 | 1 1 | ▼a Yi, Chae-hyon , ▼e yok |
940 | ▼a Chae maegae : nyu midio ui kyebohak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113758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1137586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3-08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512190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51219090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1-04-1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113758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1137586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3-08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512190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223 2006a | Accession No. 151219090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1-04-1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제이 데이비드 볼터(지은이)
조지아공과대학교 문학매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고전학 박사학위와 컴퓨터과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예일대학교, 코넬대학교, 괴팅엔대학교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매체의 진화, 기술을 활용한 교육, 컴퓨터가 글쓰기에 끼친 영향 등 여러 가지 매체 현상을 연구해 왔다. 국내에는 리처드 그루신과 함께 작업한 『재매개』(2000)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책은 디지털판 『미디어의 이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디지털 매체의 성격을 철두철미하게 규명했다. 최근에는 증강현실과 혼합현실까지 관심을 넓혀 여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블래어 매킨타이어와 함께 증강현실 랩을 운영하면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 게임 문화 교육 앱을 개발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재매개’ 개념을 확증하고 있다. 저서로는 『창문과 거울』(공저, 2003)과 『글쓰기 공간: 컴퓨터, 하이퍼텍스트, 인쇄의 재매개』(2001), 『글쓰기 공간: 컴퓨터, 하이퍼텍스트, 글쓰기의 역사』(1990) 등이 있다.
리처드 그루신(지은이)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1983년 박사학위를 받은 후 볼터와 함께 LCC의 교수로 재직 중이고, 과학-테크놀로지-문화, 그리고 정보 디자인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선험적 해석학>, <자연의 재생산> 등이 있다.
이재현(옮긴이)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미디어 이론가이자 기술 비평가다. 연구 분야는 미디어 이론 및 기술 철학,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소프트웨어 연구, 기술 비평 등이다. 저서로 『인공 지능 기술 비평』(2019), 『공명: 미디어 기술 비평』(2019), 『모바일 문화를 읽는 인문사회과학의 고전적 개념들』(2013), 『SNS의 열 가지 얼굴』(2013), 『뉴미디어 이론』(2013),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2004),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사회』(2004), 『인터넷과 사이버사회』(1999) 등 14권이 있고, 공저로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2016), 『풍요한 빈곤의 시대』(2014)가 있다. 역서로 『소프트웨어가 명령한다』(2014), 『재매개』(2006), 『뉴미디어 백과사전』(2005), 『디지털 모자이크』(2002), 『인터넷 연구방법』(2000), 편저로 『트위터란 무엇인가』 (2012), 『컨버전스와 다중 미디어 이용』(2011), 『인터넷과 온라인 게임』(2001)이 있다. leejh@snu.ac.kr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ⅵ 서문 = xii 서론: 재매개의 이중 논리 = 1 제1부 이론 제1장 비매개, 하이퍼매개, 그리고 재매개 = 20 제2장 매개와 재매개 = 62 제3장 재매개의 네트워크 = 76 제2부 미디어 제4장 컴퓨터 게임 = 108 제5장 디지털 사진 = 130 제6장 사진사실주의 그래픽 = 141 제7장 디디지털 예술 = 161 제8장 영화 = 178 제9장 가상현실 = 194 제10장 미디어침투 공간 = 204 제11장 텔레비전 = 223 제12장 월드와이드웹 = 237 제13장 유비비궈터스 컴퓨팅 = 255 제14장 수렴 = 265 제3부 자아 제15장 재매개 자아 = 277 제16장 가상 자아 = 291 제17장 네트워크 자아 = 308 제18장 결론 = 320 용어 설명 = 326 참고 문헌 = 332 찾아보기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