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총론편
제1장 행정의 개념과 행정학
제1절 행정의 개념 = 3
제2절 공공성 = 4
제3절 공행정과 사행정 = 8
제4절 공행정의 역할 = 12
제5절 행정학의 성격 = 15
제2장 행정학의 계보와 접근방법
제1절 관리주의 = 20
제2절 인간주의 = 26
제3절 행태주의 = 30
제4절 발전주의 = 35
제5절 가치주의 = 39
제6절 공공선택이론 = 45
제7절 신공공관리 학파 = 49
제8절 거버넌스 학파 = 52
제9절 포스트모더니즘 학파 = 55
제3장 행정의 준거기준
제1절 행정의 준거기준의 의의 = 61
제2절 행정의 준거기준의 내용 = 61
제3절 준거기준간의 우선순위 = 67
제4절 준거기준간의 갈등문제 = 68
제4장 정치와 행정
제1절 정치와 행정의 통합과정 = 71
제2절 정치와 행정의 이질성 = 72
제3절 정치권력과 행정과의 관계 = 74
제5장 정보사회와 행정
제1절 정보사회의 개념 = 76
제2절 정보통신기술이 행정에 미치는 영향 = 77
제3절 전자정부 = 80
제4절 지식정부 = 83
제6장 세계화와 행정
제1절 세계화의 의미 = 87
제2절 세계화가 행정에 미친 영향 = 89
제2편 행정학의 이론성
제1장 관료제
제1절 관료제의 개념 = 95
제2절 관료제의 병리와 순기능 = 101
제3절 Weber의 관료제의 평가 = 108
제4절 관료제와 민주제 = 112
제2장 행정적 권위와 권력현상
제1절 행정적 권위 = 115
제2절 행정의 권력현상 = 121
제3장 공식화
제1절 행정의 공식화이유 = 126
제2절 공식화의 개념 = 127
제3절 공식화의 범위 = 128
제4절 공식화의 기법 = 128
제5절 공식화의 문제점 = 130
제4장 비공식적 조직
제1절 비공식적 조직의 개념 = 132
제2절 비공식적 조직의 발생근거 = 132
제3절 비공식적 조직의 특징 = 134
제4절 비공식적 조직의 기능 = 136
제5장 인간해석
제1절 X 이론 = 141
제2절 Y 이론 = 143
제3절 Z 이론 = 147
제4절 복합적 인간관 = 148
제5절 인간의 욕구와 조직의 목표 = 149
제6장 합리성
제1절 합리성의 개념 = 155
제2절 합리성에 대한 제견해 = 156
제3절 합리성의 차원 = 160
제4절 합치성의 제약요인 = 163
제7장 가외성
제1절 가외성의 개념 = 166
제2절 가외성이 정당화되는 근거 = 168
제3절 가외성의 효용성 = 171
제4절 가외성의 한계 = 173
제8장 불확실성
제1절 행정에 있어서 불확실성의 문제 = 175
제2절 불확실성의 개념 = 178
제3절 환경적 불확실성 = 179
제4절 불확실성의 대처방안 = 181
제9장 행정문화
제1절 행정문화의 개념 = 185
제2절 행정문화의 주요내용 = 186
제3절 행정문화의 변동요인 = 190
제10장 행정신뢰
제1절 신뢰의 개념 = 194
제2절 행정신뢰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96
제3절 행정신뢰의 기능 = 199
제3편 행정학의 구조성
제1장 계층적 구조
제1절 계층적 구조의 형성 = 203
제2절 계층제의 개념 = 204
제3절 계층제의 기능 = 205
제2장 위원회제
제1절 일반적 특성 = 208
제2절 독립규제위원회 = 211
제3장 애드호크라시
제1절 개념 = 214
제2절 구조적 특징 = 215
제3절 종류 = 216
제4절 장ㆍ단점 = 219
제4장 팀제
제1절 개념 및 도입배경 = 221
제2절 팀제의 장ㆍ단점 = 223
제5장 조직의 설계
제1절 개념 = 226
제2절 조직설계의 접근방법 = 227
제3절 조직설계의 과정: 정보처리모형을 중심으로 = 230
제4편 행정학의 관리성
제1장 집권화와 분권화
제1절 의의 = 236
제2절 집권화와 분권화의 결정요인 = 236
제3절 집권화와 분권화의 장ㆍ단점 = 241
제2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개념 = 245
제2절 리더십의 구성요소 = 246
제3절 리더십이론의 변천 = 247
제4절 리더십의 유형 = 253
제5절 리더십의 구체적 기능 = 256
제3장 목표관리
제1절 개념 = 259
제2절 목표관리의 장점 = 261
제3절 목표관리의 문제점 = 263
제4절 유사개념과의 비교 = 264
제4장 조직발전
제1절 개념 = 268
제2절 가정 = 269
제3절 조직발전의 과정 = 270
제4절 조직발전의 기법 = 272
제5절 조직발전의 문제점 = 276
제5장 조직학습
제1절 개념 = 278
제2절 조직학습의 과정 = 279
제3절 조직학습의 유형 = 280
제4절 조직학습의 활성화방안 = 282
제6장 총체적 품질관리
제1절 TQM의 발달과정 = 284
제2절 TQM의 핵심개념 = 285
제3절 TQM의 원칙 = 286
제4절 공공부문에서 TQM 적용의 한계 = 287
제7장 책임운영기관제도
제1절 개념 = 289
제2절 책임운영기관의 공식적 구성요소 = 289
제3절 한국의 책임운영기관제도 = 290
제8장 조직문화
제1절 개념 = 293
제2절 조직문화의 형성요인 = 294
제3절 조직문화의 계층 = 295
제4절 조직문화의 기능 = 296
제9장 행정의 갈등관리
제1절 보편적 현상으로서의 갈등 = 298
제2절 조직 내적 갈등 = 299
제3절 조직 외적 갈등 = 305
제10장 조직의 효과성
제1절 개념의 모색 = 310
제2절 접근방법 = 311
제11장 행정에의 주민참여
제1절 의의 = 321
제2절 주민참여의 근거 = 321
제3절 주민참여의 문제점 = 323
제4절 주민참여의 활성화방안 = 325
제12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제1절 행정책임의 의의 = 328
제2절 행정책임의 종류 = 328
제3절 행정책임의 기준 = 330
제4절 행정통제 = 331
제13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의 개념 및 발생계기 = 340
제2절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342
제3절 행정개혁의 과정 = 345
제5편 행정학의 정책과정성
제1장 정책결정과 기획
제1절 양자의 관계 = 353
제2절 정책결정의 과정 = 354
제2장 정책결정의 모형
제1절 합리모형 = 361
제2절 점증모형 = 362
제3절 혼합관조모형 = 364
제4절 최적모형 = 367
제5절 쓰레기통모형 = 369
제3장 정책집행
제1절 집행의 중요성과 개념 = 371
제2절 집행과정의 정신적 측면 = 373
제3절 집행과정의 기술적 측면 = 374
제4절 정책집행의 유형 = 376
제4장 정책평가
제1절 평가의 의의와 중요성 = 380
제2절 평가의 논리 = 381
제3절 평가의 모델 = 382
제4절 평가의 절차 = 385
제5절 효과성의 측정문제 = 387
제6절 평가작업의 관리문제 = 390
제6편 행정학의 규범성
제1장 행정의 윤리
제1절 행정윤리의 개념 = 395
제2절 행정윤리가 확보되기 어려운 이유 = 397
제3절 행정윤리의 제차원 = 399
제4절 행정윤리의 확립방안 = 401
제2장 행정부패
제1절 부패의 개념 = 405
제2절 부패의 유형 = 406
제3절 부패의 소지 = 408
제4절 부패의 기능 = 410
제5절 부패에 대한 대책 = 413
제3장 공익
제1절 서론 = 416
제2절 공익에 관한 제학설 = 416
제3절 공인의 구성요소 = 419
제4절 공익의 기능 = 422
제5절 공익과 사익과의 관계 = 424
제6절 공익의 산출과정 = 425
제4장 사회적 형평
제1절 행정에 있어서 사회적 형평의 문제 = 427
제2절 사회적 형평의 개념 = 428
제3절 사회적 형평의 근거 = 429
제4절 사회적 형평을 확보하기 위한 행정의 역할 = 433
제5장 사회개발과 사회지표
제1절 사회개발의 개념 = 437
제2절 사회지표의 대두 = 439
제3절 사회지표의 효용성 = 440
제6장 행정규제
제1절 규제의 일반이론 = 442
제2절 경제적 규제 = 448
제3절 사회적 규제 = 451
제4절 규제의 개혁 및 완화문제 = 454
제7편 예산관리
제1장 예산의 일반이론
제1절 예산의 개념과 기능 = 459
제2절 예산의 원칙 = 463
제3절 예산의 종류 = 466
제4절 예산의 분류 = 472
제2장 공공영역에서의 자원배분문제
제1절 소비자선호의 접근방법 = 476
제2절 정치적 접근방법 = 478
제3절 경제적 접근방법 = 483
제4절 각 접근방법의 보완성 = 486
제3장 예산과정
제1절 예산의 편성 = 488
제2절 예산의 심의 = 492
제3절 예산의 집행 = 497
제4절 결산 = 505
제5절 회계검사 = 507
제6절 직무감찰 = 510
제7절 정책감사 = 512
제4장 예산제도의 발달과정
제1절 품목별예산 = 516
제2절 성과주의예산 = 517
제3절 계획예산 = 520
제4절 영기준예산 = 526
제5장 정부구매
제1절 구매의 의의 = 533
제2절 집중구매제도 = 534
제3절 구매의 절차 = 536
제6장 공공재무관리
제1절 정부회계 = 538
제2절 예산회계정보시스템 = 539
제3절 발생주의회계와 복식부기 = 541
제4절 현금관리 = 543
제8편 인력관리
제1장 인력관리의 일반이론
제1절 엽관제ㆍ실적제 및 직업공무원제 = 547
제2절 공무원제도의 분류 = 552
제3절 중앙인사기관 = 558
제2장 공직의 분류
제1절 계급제 = 564
제2절 직위분류제 = 565
제3절 직위분류제의 수립과정 = 566
제4절 직위분류제의 장ㆍ단점 = 569
제5절 우리 나라에서의 공직의 분류 = 570
제3장 충원과정
제1절 모집 = 572
제2절 시험 = 575
제3절 채용절차 = 578
제4절 배치전환 = 579
제5절 승진 = 582
제4장 능력개발
제1절 교육훈련 = 586
제2절 근무성적평정 = 590
제5장 사기
제1절 사기의 일반이론 = 596
제2절 보수와 연금 = 600
제3절 제안제도 = 607
제4절 고충처리 = 610
제6장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 612
제2절 공무원이 정치적 중립 = 616
제3절 공무원의 단체행동 = 618
참고문헌 = 623
색인(인명ㆍ사항) =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