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고쳐 쓴 한국현대사 2판

고쳐 쓴 한국현대사 2판 (Loan 49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만길, 1933-
Title Statement
고쳐 쓴 한국현대사 / 강만길 지음
판사항
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창비,   2006   (2011)  
Physical Medium
575 p. : 삽화 ; 23 cm
ISBN
893648232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25-540)과 색인수록
000 00624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287481
005 20120321151358
007 ta
008 060818s2006 ggka b 001c kor
020 ▼a 8936482327 ▼g 039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 ▼2 22
085 ▼a 953.07 ▼2 DDCK
090 ▼a 953.07 ▼b 2006g
100 1 ▼a 강만길, ▼d 1933- ▼0 AUTH(211009)50824
245 1 0 ▼a 고쳐 쓴 한국현대사 / ▼d 강만길 지음
250 ▼a 2판
260 ▼a 파주 : ▼b 창비, ▼c 2006 ▼g (2011)
300 ▼a 575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525-540)과 색인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3740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37400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15-09-30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5365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6599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211556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211556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5127828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3740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37400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15-09-30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5365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116599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211556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211556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953.07 2006g Accession No. 15127828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강만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가 쓴 한국현대사 개설서. 1984년 출간된 <한국현대사>를 1994년 전면적으로 증보한 책의 개정판이다. 출간 이래로 역사학도와 지식인은 물론, 일반인들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역사서로 많은 사랑을 받아온 책이기도 하다.

일제의 식민지배를 시작으로 해방 이후 분단 체제의 형성, 그리고 박정희 정권 시기까지의 현대사를 다루고 있다. 정치외교사 위주의 기존 역사서와 달리 정치·경제·사회·문화 부문까지 균형있게 잡아냈으며, 그 가운데 지금의 분단체제가 어떻게 형성·강화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에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에 출간되는 2판에서는 1994년 1판 출간 이후 새롭게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을 반영했다. 인물의 생몰년을 추가하거나 수정하고 일부 잘못된 표를 바로잡았으며, 딱딱한 문장을 수정하고 각종 사진과 도판을 새로이 삽입했다. 또한 각 장의 도입부마다 내용을 요약한 파노라마식 사진을 배치하여 당대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만길(지은이)

1933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일제강점 말기와 해방정국을 경험하며 역사공부에 뜻을 두게 되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다 1967년 고려대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2년 ‘유신’ 후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각종 논설문을 쓰면서 서서히 현실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광주항쟁 직후 항의집회 성명서 작성과 김대중으로부터의 학생선동자금 수수 혐의 등으로 구금되었다가 고려대에서 해직되었다. 1984년 4년 만에 복직하여 강단으로 돌아온 이후 정년퇴임하는 1999년까지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저술활동을 통해 진보적 민족사학의 발전에 힘을 쏟았으며, 2001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맡아 학교운영 정상화와 학원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대중정권부터 노무현정권까지 약 10년간 통일고문을 역임했고,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역사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 내일을 여는 역사 』 를 창간해 지금까지 발간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4
『한국현대사』 책머리에 = 9
제1부 식민지배와 민족해방운동의 추진
 제1장 식민통치의 실상 = 18
  제1절 무단통치의 탄압 = 22
   조선총독부
   헌병경찰
   강압정책
  제2절 '문화정치'의 실상 = 30
   경찰기구의 강화
   친일파의 양성
   참정권과 '지방자치'
   문화운동과 자치론
  제3절 침략전쟁기의 수난 = 39
   식민지 파쇼체제
   민족말살정책
   인력의 강제수탈
 제2장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 48
  제1절 3ㆍ1운동과 초기 임시정부 활동 = 54
   3ㆍ1운동
   초기의 임시정부 활동
   만주ㆍ연해주 독립전쟁
  제2절 대중운동의 활성화 = 73
   노동운동
   농민운동
   청년ㆍ학생 운동
  제3절 공산당운동 = 91
   고려공산당
   조선공산당
  제4절 민족협동전선운동 = 103
   협동전선운동의 배경
   해외 민족유일당운동
   신간회운동
  제5절 중국 관내 민족통일전선운동 = 115
   조선민족전선연맹과 조선의용대
   임정의 통일전선정부화와 광복군
   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군
  제6절 만주 유격투쟁과 조국광복회 = 127
   동북인민혁명군과 조선인
   동북항일연군과 조선인
   재만한인조국광복회
  제7절 국내 민족통일전선운동 = 137
   혁명적 노농조합운동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건국동맹
 제3장 식민지 수탈경제의 실태 = 152
  제1절 식민지 농업정책과 농민경제의 파탄 = 156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농민 빈궁화의 실상
   농촌진흥운동과 농민회유정책
   식량의 강제공출
  제2절 식민지 재정과 금융정책의 실태 = 172
   수탈재정
   식민지 금융
  제3절 식민지 공업의 실태 = 185
   조선인 공업의 실태
   일본 독점자본
   조선 공업화정책과 군수공업
  제4절 자원약탈과 교통ㆍ통신 및 무역 지배 = 206
   자원약탈
   식민지 무역
   교통 통신ㆍ지배
 제4장 식민지 문화정책과 저항운동 = 218
  제1절 식민지 문화정책 = 222
   교육정책
   종교정책
   민족사의 왜곡
  제2절 항일 문화운동의 전개 = 237
   반식민사학론의 발전
   조선어학의 발달
   항일문학의 맥락
제2부 민족분단과 통일운동의 전개
 제1장 분단체제의 형성ㆍ강화 = 254
  제1절 민족분단의 과정 = 260
   일본의 패전
   38도선의 확정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분단국가들의 성립
  제2절 6ㆍ25전쟁 = 275
   전쟁의 배경
   전쟁의 전개과정
   전쟁의 의의
  제3절 분단체제의 강화과정 = 292
   이승만정권
   장면정권
   박정희정권(1): 군정에서 '민정'으로
   박정희정권(2): '유신' 체제의 등장
   전두환정권
   노태우정권
 제2장 민주ㆍ통일운동의 전개 = 322
  제1절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공화국' = 328
   건국준비위원회 활동
   조선인민공화국 선포
  제2절 좌우합작운동과 남북연석회의 = 334
   '인공' '임정'의 통일교섭과 '4당 코뮤니케'
   좌우합작위원회 활동
   1948년 남북연석회의
  제3절 4ㆍ19민주ㆍ통일운동 = 349
   4ㆍ19 민주화운동
   4ㆍ19 민족통일운동
  제4절 7ㆍ4남북공동성명 = 357
   남북적십자회담
   남북공동성명
  제5절 광주민중항쟁과 6ㆍ10민주화운동 = 364
   광주민중항쟁
   6ㆍ10민주화운동과 민족통일운동
  제6절 남북합의서 체결 = 376
   민족화합통일안과 연방제통일안
   화해ㆍ불가침ㆍ교류ㆍ협력 합의서 체결
 제3장 식민지 유제 처리와 경제발전 = 384
  제1절 식민지 유제 처리 = 390
   미군정의 귀속농지 처리
   이승만정권의 농지개혁
   미군정ㆍ이승만정권의 귀속기업체 처리
  제2절 원조경제체제의 전개 = 403
   미국의 경제원조
   잉여농산물과 농업
   원조경제와 공업
  제3절 외자경제체제의 전개 = 415
   외자도입과 그 성격
   외자경제와 공업화
   외자경제와 수출신장
   외자경제제제와 농업
  제4절 개방경제체제의 전개 = 431
   독점자본체제의 강화
   중소기업의 성격 변화
   금융구조의 변화
   개방경제체제와 농업
 제4장 분단시대의 사회와 문화 = 452
  제1절 분단체제하의 교육과 학원운동 = 456
   미군정의 교육정책
   이승만정권의 교육정책
   4ㆍ19 후의 학원민주화운동
   박정희정권의 교육정책
   전ㆍ노ㆍ정권의 교육정책과 '전교조'
  제2절 분단체제하의 노동운동 = 475
   미군정의 노동정책과 노동운동
   이승만정권의 노동정책과 노동운동
   '4ㆍ19 공간'의 노동운동
   경제성장기의 노동정책과 노동운동
   '유신'체제하의 노동정책과 노동운동
   전두환정권하의 노동운동
   6ㆍ10민주화운동 후의 노동운동
  제3절 분단시대의 문화운동 = 506
   문화계의 분열
   4ㆍ19, 5ㆍ16과 문학활동
   민족문학론의 발전
   민족문학론의 심화
참고문헌 = 525
찾아보기 = 54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