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1 : 역사·정치 (2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중달, 저
서명 / 저자사항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1 , 역사·정치 / 권중달 외 14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휴머니스트,   2006  
형태사항
323 p. : 삽화 ; 23 cm
ISBN
8958621117 895862115X(세트)
000 00642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286143
005 20101123194222
007 ta
008 060714s2006 ulka 000c kor
020 ▼a 8958621117 ▼g 03100
020 1 ▼a 895862115X(세트)
035 ▼a (KERIS)BIB000010483960
040 ▼a 248026 ▼d 211009
082 0 4 ▼a 028.1 ▼2 22
085 ▼a 028.1 ▼2 DDCK
090 ▼a 028.1 ▼b 2006e ▼c 1
245 0 0 ▼a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n 1 , ▼p 역사·정치 / ▼d 권중달 외 14인 지음
260 ▼a 서울 : ▼b 휴머니스트, ▼c 2006
300 ▼a 323 p. : ▼b 삽화 ; ▼c 23 cm
700 1 ▼a 권중달,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113735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113735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512136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512136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113735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113735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512136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028.1 2006e 1 등록번호 1512136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역사, 정치, 사상, 문학 분야에 걸쳐 66명의 전문가들이 총 72종의 동양 고전들을 소개한다. 2006년 5월 출간된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에 이은 두 번째 시리즈이다.

'오늘의 눈으로 고전을 다시 읽자'는 모토를 그대로 살리면서 이번 시리즈에서는 지금까지 서양의 저작물 위주로 치중되어 있었던 고전 읽기에 균형을 맞추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주로 중국과 일본의 작품과 작가를 중심으로, 우리 독자에게 기나긴 세월동안 영향을 미치고 동양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책과 작가들, 그리고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더라도 꼭 읽어야 할 고전 작품을 고루 선정했다.

이들 고전들을 '유학과 근대세계', '평화를 위한 목소리들' 등의 주제에 따라 총 4권에 걸쳐 엮어, 21세기 한국의 시공간에서 동시대인들과 청소년 독자들에게 이들 고전들을 새로운 문제의식으로 재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분야에서 돋보이는 역량과 필력을 자랑하면서 학계와 일반 독자 사이를 중개할 수 있는 대표독자로 나선 지은이들이 이들 고전들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독법을 알려주는 것도 놓쳐서는 안 될 부분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지은이들(지은이)

<b>- 편찬위원 -</b> 안광복 (중동고 교사) / 우찬제 (서강대 교수) / 이재민 (휴머니스트 편집주간) / 이종묵 (서울대 교수) / 정재서 (이화여대 교수) / 표정훈 (출판 평론가) / 한형조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b>- 1권 역사·정치편 지은이들 -</b> 권중달 (중앙대 사학과 교수) / 김석근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김승일 (국민대 한국각연구소 교수) / 김원중 (건양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김한규 (서강대 사학과 교수) / 김호동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 손예철 (한양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윤찬원 (인천대 윤리학과 교수) / 이근우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겸 박물관장) / 이승환 (고려대 철학과 교수) / 이인호 (한양대 중국학부 교수) / 장현근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 / 조병한 (서강대 사학과 교수) / 황희경 (영산대 학부대학 교수) <b>- 2권 사상편 지은이들 -</b> 강신주 (인천대중국학과 강사) / 김교빈 (호서대 철학과 교수) / 김시천 (숭실대 철학과 강사) / 김종미 (경희대 국제교육원 교수) / 김혜경 (한밭대 중국어전공 교수) / 김호동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 박인성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 이승환 (고려대 철학과 교수) / 이창일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학연구소 수석연구원) / 이태호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및 박물관장) / 최영진 (성균관대 한국철학과 교수) /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 한정길 (연세대 국학연구원 교수) / 한형조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과 교수) / 황희경 (영산대 학부대학 교수) <b>- 3권 문학 上편 지은이들 -</b> 강태권 (국민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김유천 (상명대 일본어문학과 교수) / 김정례 (전남대 일어인문학과 교수) / 김창환 (서울대 중등교육연수원 교수) / 김효민 (우송대 중국어학과 교수) / 류종목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박삼수 (울산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박상현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송정화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송진영 (수원대 중국어학과 교수) / 신하윤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유병례 (성신여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유중하 (연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이지운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강사) / 정재서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최용철 (고려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b>- 4권 문학 下편 지은이들 -</b> 김민나 (서울여대 동양어문학부 교수) / 김장환 (연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김하림 (조선대 중국어과 교수) / 김혜경 (한밭대 중국어전공 교수) / 박난영 (수원대 동양어문학부 교수) / 상기숙 (한서대 중국학과 교수) / 서광덕 (연세대 중어중문학과 강사) / 서은혜 (전주대 언어문화학부 교수) / 양회석 (전남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오태석 (동국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위행복 (한양대 중국학부 교수) / 유숙자 (번역가) / 이세동 (경북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이숙인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학연구소 연구교수) / 이욱연 (서강대 중국문화전공 교수) / 장정해 (한신대 중어중문과 교수) / 전형준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 정영호 (서남대 중국어학과 교수) / 정장식 (청주대 일어일문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volume. vol.1]----------
목차
머리말 = 5
Ⅰ. 역사, 그 성찰의 기록
 01 한자(漢字)의 모든 것 -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 / 손예철 = 18
 02 동양 정치사상의 원류 - 『서경(書經)』 / 심경호 = 36
 03 역사의 혼, 불멸의 역사서로 부활하다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 이인호 = 58
 04 제왕을 위한 책 -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 / 권중달 = 80
 05 문명 성쇠의 비밀을 밝혀낸 이슬람의 고전 - 이븐 할둔의 『역사서설(歷史序說)」 / 김호동 = 108
 06 '왜(倭)'의 역사가 아닌 '일본국(日本國)'의 역사를 쓰다 - 『일본서기(日本書紀)』 / 이근우 = 122
Ⅱ. 정치의 기술에 대한 충고
 01 난세의 부국강병론 - 상앙(商앙)의 『상군서(商君書)』 / 장현근 = 142
 02 성왕이 다스리는 나라 - 순황(荀況)의 『순자(荀子)』 / 장현근 = 160
 03 대립과 통일의 변주곡 - 유안(劉安)의 『회남자(淮南子)』 / 윤찬원 = 176
 04 염철 논쟁을 통해서 보는 고대 중국 사회 - 환관(桓寬)의 『염철론(鹽鐵論)』 / 김한규  = 194
 05 지도자와 국민이 함께 읽는 '토론 정치'의 경전 - 오긍(吳兢)의 『정관정요(貞觀定要)』 /  김원중 = 218
Ⅲ. 유학과 근대 세계
 01 만민(萬民)을 위하여 전제군주제를 비판하다 - 황종희(黃宗羲)의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 』 / 조병한 = 238
 02 근대의 여명기에 타오른 유학의 마지막 불꽃 - 강유위(康有爲)의 『대동서(大同書)』 /  황희경 = 258
 03 주자학의 해체와 근대적 사유의 탐구 -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일본 정치사상사 연구』 / 김석근 = 272
 04 마르크스 이론의 중국적 변용 - 마오쩌뚱(毛澤東)의 『실천론』과 『모순론』 / 김승일 = 290
 05 유학의 제3기 발전론 - 뚜웨이밍(杜維明)의 『유학 제3기 발전의 전망 문제』 / 이승환 = 304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