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와 이데올로기

언어와 이데올로기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Voloshinov, V. N. , 1895-1936 Воцощинов , В. Н 송기한 , 역.
서명 / 저자사항
언어와 이데올로기 / V.N. 볼로쉬노프 ; 송기한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푸른사상 ,   2005.  
형태사항
359 p. ; 23 cm.
원표제
Марксизм и фи лософия языка
ISBN
895640335X
일반주기
부록 및 색인수록  
원저자명: Воцощинов , В. Н  
일반주제명
Language and languages --Philosophy. Philosophy, Marxist.
000 01020camccc200325 k 4500
001 000045285748
005 20100807123502
007 ta
008 050602s2005 ulk x001c kor
020 ▼a 895640335X ▼g 03180
035 ▼a (KERIS)BIB000009862650
040 ▼a 211062 ▼d 211009
041 1 ▼a kor ▼h eng ▼h rus
082 0 4 ▼a 401 ▼2 22
090 ▼a 401 ▼b 2005b
100 1 ▼a Voloshinov, V. N. , ▼d 1895-1936
245 1 0 ▼a 언어와 이데올로기 / ▼d V.N. 볼로쉬노프 ; ▼e 송기한 옮김.
246 1 ▼i 번역표제: ▼a Marxism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246 1 9 ▼a Марксизм и фи лософия языка
246 1 9 ▼a Marksizm i filosofiia iazyka
260 ▼a 서울 : ▼b 푸른사상 , ▼c 2005.
300 ▼a 359 p. ; ▼c 23 cm.
500 ▼a 부록 및 색인수록
500 ▼a 원저자명: Воцощинов , В. Н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Philosophy.
650 0 ▼a Philosophy, Marxist.
700 1 ▼a Воцощинов , В. Н
700 1 ▼a 송기한 , ▼e 역. ▼0 AUTH(211009)117073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05b 등록번호 1113733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05b 등록번호 1113733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바흐찐 볼로쉬노프(지은이)

<새로운 프로이트>

송기한(옮긴이)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 전후시와 시간의식』 『고은:민족문학에의 길』 『문학비평의 욕망과 절제』 『한국 현대시의 서정적 기반』 『시의 형식과 의미의 이해』 『21세기 한국시의 현장』 『한국 현대시와 시정신의 행방』 『한국 현대시의 근대성 비판』 『1960년문학연구』 『서정주 연구』 『한국시의 근대성과 반근대성』 『문학비평의 경계』 『비평과 인식』 『현대시의 정신과 미학』 『서정의 유토피아』(1, 2) 『현대문학의 정신사』 등이 있다. 대전대 우수학술연구상, 시와시학 평론상, 대전시 문화상 학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문학평론가. UC BERKELEY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대전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부 교수로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Ⅰ부 언어철학과 마르크스주의에 있어서의 그 의의
 제1장 이데올로기 연구와 언어철학 = 17
  1. 이데올로기 기호의 문제 = 17
  2. 이데올로기 기호와 의식 = 21
  3. 뛰어난 이데올로기 기호로서의 말 = 26
  4. 말의 이데올로기적인 중립성 = 27
  5. 내면화된 말 = 28
  6. 요약 = 30
 제2장 토대와 상부구조의 관계 = 31
  1. 기계론적 인과율의 범주에 대한 불모성 = 31
  2. 사회의 생성과정과 언어의 생성과정 = 33
  3. 사회심리의 기호적 표현 = 35
  4. 일상적 발화장르의 문제 = 36
  5. 기호의 주제 = 40
  6. 계급투쟁과 기호의 변증법 = 43
  7. 결론 = 44
 제3장 언어철학과 객관적 심리학 = 46
  1. 심리의 객관적 정의 = 46
  2. 심리학에 대한 딜타이의 개념 = 48
  3. 심리의 기호 = 52
  4. 기능심리학의 관점 = 54
  5. 심리주의와 반심리주의 = 57
  6. 내적 기호의 특성 = 60
  7. 자기성찰의 문제 = 66
  8. 심리의 사회ㆍ이데올로기적인 본질 = 69
  9. 요약 및 결론 = 71
제Ⅱ부 마르크스주의의 언어철학을 위하여
 제1장 언어철학 사상의 두 가지 경향 = 77
  1. 언어의 실제적인 존재양식의 문제 = 77
  2. 언어철학 사상의 첫 번재 경향 : 개인주의적 주관주의 = 81
  3. 첫 번째 경향의 대표자들 = 83
  4. 언어철학 사상의 두 번째 경향 : 추상적 객관주의 = 89
  5. 두 번째 경향의 역사적인 원천 = 98
  6. 추상적 객관주의의 대표자들 = 100
  7. 결론 = 106
 제2장 언어, 말 그리고 발화 = 109
  1. 언어가 객관적 사실로 간주될 수 있는가? = 109
  2. 언어에 관한 실제적 관점 = 113
  3. 언어의 실재성은 무엇인가? = 118
  4. 이질적인 말, 외국어의 문제 = 125
  5. 추상적 객관주의의 오류 = 131
  6. 요약과 결론 = 140
 제3장 언어적인 상호작용 = 142
  1. 개인주의적 주관주의와 그 표현이론 = 142
  2. 표현이론에 대한 비판 = 145
  3. 일상적 이데올로기의 문제 = 155
  4. 말의 생성과정에 있어서 기본적 통일로서의 발화 = 160
  5. 언어의 실제적인 존재양식에 대한 문제 해결법 = 162
  6. 전체로서의 발화라는 실재와 그 형태들 = 165
  7. 요약과 결론 = 168
 제4장 발화의 주제와 의미 = 171
  1. 주제와 의미 = 171
  2. 능동적인 지각의 문제 = 176
  3. 가치평가와 의미 = 178
  4. 의미의 변증법 = 182
제Ⅲ부 언어구조에 있어서 발화유형의 역사 : 통사론의 여러 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방법의 적용 연구
 제1장 발화의 이론과 통사론의 문제들 = 187
  1. 통사론의 문제들이 갖는 의의 = 187
  2. 통사론의 범주들과 전체로서의 발화 = 189
  3. 단락의 문제 = 191
  4. 타자의 말의 형태 = 193
 제2장 타자의 말에 대한 문제 = 196
  1. 타자의 말에 대한 정의 = 196
  2. 타자의 말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문제 = 199
  3. 인용자의 맥락과 타자의 말 사이의 상호관계의 역동성 = 202
  4. 선적 문체 = 204
  5. 회화적 문체 = 207
  6. 요약 = 211
 제3장 간접화법, 직접화법 및 그것들의 변형 = 213
  1. 정형과 변형 : 문법과 문체론 = 213
  2. 러시아어에서 인용자의 말이 지니는 일반적인 성격 = 215
  3. 간접화법의 정형 = 216
  4. 간접화법의 대상분석적 변형 = 219
  5. 간접화법의 인상주의적 변형 = 228
  6. 미리 준비된 직접화법 = 229
  7. 물상화된 직접화법 = 231
  8. 예고되고 흩어진 숨겨진 직접화법 = 232
 제4장 프랑스, 독일, 러시아어에서의 의사직접화법 = 243
  1. 프랑스어에서의 의사직접화법-토블러, 칼프키, 발리 = 243
  2. 발리의 추상적 객관주의에 대한 비판 = 251
  3. 발리와 보슬러 학파 = 253
  4. 독일어에서의 의사직접화법 = 254
   (1) E. 레르크의 규정 = 254
   (2) E. 로르크의 규정 = 255
  5. 언어에서의 상상력의 역할 = 258
   (1) E. 로르크의 규정 = 258
   (2) E. 레르크의 정의 = 260
  6. 고대 프랑스어에서의 화자의 말을 전달하는 기법 = 261
  7. 중세 프랑스어에서의 화자의 말을 전달하는 기법 = 262
  8. 르네상스 = 263
  9. 퐁떼뉴와 브뤼에르에서의 의사직접화법 = 264
  10. 플로베르에서의 의사직접화법 = 265
  11. 독일어에서의 의사직접화법의 출현 = 265
  12. 보슬러 학파에 대한 비판 = 266
  13. 요약 = 277
부록
 부록 Ⅰ 러시아 기호학에 대한 최초의 서문 / 마테카(L. Matejka) = 283
 부록 Ⅱ 러시아 문학이론과 문학연구에 있어서 형식적 방법과 사회학적 방법 / 티투?(I. R Titunik) = 309
역자 후기 = 355
찾아보기 = 35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