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3
1. 연구목적 = 15
1) 문제제기 = 15
2) 연구목적 = 17
2. 연구방법 = 19
제2장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25
1. 학습자 중심의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 27
1)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원리 = 27
2) 학습자 중심의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 34
2. 지리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44
1) 지리교육의 내용선정 = 44
2) 지리교육의 내용조직 = 48
3) 외국의 지리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 52
3. 교과서의 기능과 구조 = 64
1) 교과서의 기능 = 64
2) 교과서의 내용 구성방법 = 68
3) 교과서의 외적 구조 = 73
4. 소결 = 76
제3장 경제지리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검토 = 79
1. 경제지리학의 내용 선정과 조직 = 81
1) 경제지리학의 내용선정 = 81
2) 경제지리학의 내용조직 = 86
2. 고등학교 경제지리의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 93
1) 제6차 교육과정의 경제지리 교육내용 = 93
2) 제7차 교육과정의 경제지리 교육내용 = 100
3) 경제지리 과목의 교육내용 = 106
3. 외국의 경제지리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 112
1)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경제지리 교육내용 = 112
2) 미국 NGS의 경제지리 교육내용 = 116
3)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경제지리 교육내용 = 120
4) 국가별 특성 비교 = 123
4. 소결 = 125
제4장 고등학교 경제지리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대안 = 129
1. 경제지리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131
1) 기존 방법의 검토 = 131
2) 새로운 내용선정과 조직 대안 = 138
2. 경제지리 단원 선정 대안 = 143
1) 경제지리교육의 개념 선정 = 143
2) 단원 선정 및 조직 방안 = 148
3) 각 단원별 내용선정 및 조직 방안 = 153
3. 소결 = 164
제5장 고등학교 경제지리 교과서 구성 대안 = 167
1. 기존 교과서 구성 방법의 검토 = 169
1) 단원 내용 구성방법 = 170
2) 단원 형식 구성방법 = 174
2. 경제지리 교과서 구성 대안 = 180
1) 귀납식 내용 구성방법 = 180
2) 유연적 단원 형식 구성방법 = 181
3) 교과서 구성 사례 = 183
3. 소결 = 187
제6장 결론 = 189
참고문헌 =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