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1부
탈식민의 역학 / 하정일 = 19
1. 복수의 근대와 한국 근대문학의 특수성 = 19
2. 식민주의의 양가성 = 27
3. 수행적 독법과 전략적 본질주의 = 33
4. 탈식민 저항의 세 유형과 계보학 = 39
'조선(문)학' 개념의 형성과 변모 / 임병권 = 44
1. 조선학운동의 연원 = 44
2. 근대 국학의 성립 = 47
3. 문화주의와 조선(문)학운동 = 51
4. 조선문학론의 전개 = 54
5. 맺음말 = 68
문학 개념의 논리와 식민지 근대부르주아의 정치학 / 차혜영 = 70
1. 문제제기 = 70
2. 내재성으로의 전환 = 72
3. 문학 개념의 논리와 식민지 부르주아의 자기 정당화 전략 = 79
4. 식민지 근대문학 개념의 정치학 = 98
2부
근대 독본류의 성격과 위상(1) : 『時文讀本』을 중심으로 / 구자황 = 103
1. 다시, 왜 독본인가? = 103
2. 배후(背後)로서의 '신문관-조선광문회 그룹' = 106
3. 『시문독본』의 독자층과 위상 = 109
4. 『시문독본』의 체제와 성격 = 116
한국 근대문학 개념의 형성 과정 : '비애의 감각'을 중심으로 / 김명인 = 122
1. 서론 = 122
2. 최초의 시도-'정'으로서의 문학 = 128
3. '생명/인생'에서 '생활/현실'로-조선적 자연주의의 의미 = 133
4. 프롤레타리아문학론과 비애의 감각 = 140
5. 맺음말 = 146
1920년대 부르주아문학의 제도적 정착과 『조선문단』 / 이봉범 = 149
1. 문제제기 = 149
2. 『조선문단』의 성격과 위상-1920년대 부르주아문학의 느슨한 연합체 = 152
3. 『조선문단』의 문학제도화 전략-대중화와 전문화의 병행 시스템 = 160
4. 현상추천제와 재생산 구조 = 174
5. 맺음말 = 183
1920년대 연극론의 구조와 이념 : 1920년대 전반기 연극론의 계몽의식을 중심으로 / 정호순 = 190
1. 서론 = 190
2. 문명적 교화론-'교화기관'으로서의 연극론 = 194
3. 교화의 주체와 대상 = 200
4. 민중, 민족, 문화주의 = 207
5. 맺음말 = 214
3부
한자 인식과 근대어의 내셔널리티 / 이혜령 = 221
1. 한자의 구축(驅逐)과 한글의 서사 = 221
2. 한자 비판의 논리와 한글의 내셔널리티 = 224
3. 식민지 언어 상황과 한자의 중층적 내셔널리티 = 242
4. 맺음말-동문(同文)의 정치경제학 = 249
1930년대 외국문학 수용의 좌표 : 세계/민족, 문학 / 서은주 = 252
1. 식민지 외국문학 연구자의 내면 = 252
2. 외국문학 수용 범주의 변화, 개체에서 집단으로 = 256
3. '세계문학', 코스모폴리탄적 지향 = 264
4. 동시성 전유의 욕망 = 270
5. 식민과 탈식민, 서구문학 수용의 딜레마 = 278
조선문학의 내셔널리티와 아일랜드 / 이승희 = 280
1. 아일랜드와 조선 = 280
2. 자치론의 미망과 독립에의 기대 = 283
3. 식민지 문학의 민족적 정체성 = 290
4. 조선문학의 건설/위기라는 역설 = 298
5. 맺음말 = 306
정지용과 번역 / 허윤회= 308
1. 번역의 역할 = 308
2. 서구시의 번역과 그 전개 과정 = 310
3. 상상력과 영원성의 갈등 = 324
4. 번역시와 근대의 정신 = 332
5. 맺음말 = 340
4부
여성 작가와 장르의 젠더화 : 희곡과 수필을 중심으로 / 김옥란 = 345
1. 식민지 시기 문학 장 내에서의 '여성의 글쓰기'와 장르론 = 345
2. 강요된 침묵의 언어, 희곡과 여성 작가의 차단 = 349
3. 실패한 기획으로서의 수필과 수필의 여성화 = 357
4. 일제 말기 동원된 장르로서의 희곡과 수필, 그 한계 = 372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여성 작가의 정체성 / 김연숙 = 375
1. 식민지/근대 주체의 정립과 여성운동 = 375
2. 사회주의여성운동의 조직화와 그 영향 = 377
3. 여성 작가의 정체성 = 381
4. 새로운 여성 작가의 지형도 = 398
일제 말기 여성 작가들의 친일 담론 연구 / 김양선 = 401
1. 서론 = 401
2. 여성 작가들의 친일 담론에 대한 서지적 고찰 = 403
3. 친일의 내적 논리와 여성성의 재규정 = 407
4. 최정희와 장덕조의 친일소설 = 411
5. 맺음말 = 418
식민/탈식민의 상상력과 연애소설의 성정치 : 내선결혼의 문제를 중심으로 / 심진경 = 421
1. 내선결혼이라는 형식 = 421
2. 사랑과 우정, 성별화된 '마음'의 위계 구조 = 426
3. 유예된 현재, (탈)성화된 일본 = 433
4. 식민적 현실, 탈식민적 상상 = 442
필자 소개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