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보도가치를 높이는)TV 뉴스 문장 쓰기

(보도가치를 높이는)TV 뉴스 문장 쓰기 (4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국립국어원
서명 / 저자사항
(보도가치를 높이는)TV 뉴스 문장 쓰기 / 국립국어원 , MBC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시대의창 ,   2006.  
형태사항
270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방송 언어 연구 총서 ; 1
ISBN
8959400343
000 00621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285150
005 20100807122803
007 ta
008 060804s2006 ulka 000a kor
020 ▼a 8959400343 ▼g 93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a 497.8 ▼a 302.234 ▼2 DDCK
090 ▼a 497.8 ▼b 2006b
110 ▼a 국립국어원
245 1 0 ▼a (보도가치를 높이는)TV 뉴스 문장 쓰기 / ▼d 국립국어원 , ▼e MBC 지음.
260 ▼a 서울 : ▼b 시대의창 , ▼c 2006.
300 ▼a 270 p. : ▼b 삽도 ; ▼c 24 cm.
440 0 0 ▼a 방송 언어 연구 총서 ; ▼v 1
710 ▼a MBC
910 ▼a 문화방송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11371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113716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211381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211381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512258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512258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11371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113716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211381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211381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5122587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8 2006b 등록번호 1512258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보도 문장을 바르게 쓰는 지침을 담았다. 2005년 4월 국립국어원과 MBC 문화방송이 방송 언어 공동 연구를 시작한 이래 첫 번째 연구의 성과를 담은 책이다.

KBS, MBC, SBS 방송 3사의 저녁 종합 뉴스를 대상으로 뉴스 본문뿐 아니라 제목, 앵커의 멘트, 자막 등을 분석하여 그 오류를 잡아내고 교정한다. 특히 뉴스의 본문은 문장의 문법성만이 아니라 어휘 사용을 비롯한 표현의 측면과 인터뷰까지 같이 검토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국립국어원.MBC(엮은이)

장소원 : MBC 시청자 위원, 우리말 위원회 역임. 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윤용선 :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현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양명희 :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심의 위원. 현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이홍식 :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정희원 :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정희창 :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박용찬 :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한성우 : MBC 우리말 위원회 전문위원 역임, 현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4
추천사 = 6
1부 종합 뉴스, 이렇게 구성된다
 1 뉴스의 다층적 구조 = 19
 2 보도문을 작성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원칙 = 23
  1 보도문 작성 원칙 = 23
  2 원칙이 잘 지켜진 경우 = 24
  3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은 경우 = 25
 3 기사, 이렇게 쓴다 = 27
  1 원칙이 잘 지켜진 경우 = 27
  2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은 경우 = 29
 4 기자 리포트 작성법 = 31
  1 기자 리포트의 구성 유형 = 31
  2 도입부 작성법 = 37
  3 본문 작성법 = 42
  4 정리부 작성법 = 49
2부 뉴스 제목, 이렇게 정한다
 1 뉴스 제목의 기능과 특징은? = 61
 2 제목을 정할 때의 유의 사항 1 = 63
  1 중요한 정보를 빠뜨리지 않는다 = 63
  2 과장된 제목은 피한다 = 66
  3 기사의 핵심을 정확하게 요약한다 = 68
  4 화자의 의도를 왜곡하지 않는다 = 70
  5 지나치게 감정적인 표현은 피한다 = 71
  6 지나친 비약은 피한다 = 71
  7 다른 기사와의 관련성을 살핀다 = 73
 3 제목을 정할 때의 유의 사항 2 = 75
  1 단어의 뜻을 정확히 파악한다 = 75
  2 생략은 확인이 가능할 때만 한다 = 77
  3 오해를 낳을 표현은 피한다 = 78
  4 문법 요소를 잘 이용한다 = 79
  5 부사어를 잘 쓰면 득이 된다 = 82
  6 문장부호를 요긴하게 이용한다 = 84
  7 화면과의 관련성을 생각한다 = 88
3부 앵커멘트, 이렇게 작성한다
 1 점점 더 중요해지는 앵커의 역할 = 93
 2 기자 리포트의 어떤 내용을 앵커멘트로 작성할 것인가? = 95
 3 기사의 생명은 정확성, 앵커멘트도 예외가 아니다 = 99
  1 중요한 정보를 빠뜨리지 않는다 = 101
  2 한쪽으로 몰아가는 멘트는 피한다 = 102
  3 과장된 표현은 기사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 104
  4 비약은 위험하다 = 107
  5 예정, 추정의 사실을 기정사실로 오해하도록 쓰면 안 된다 = 108
  6 자신의 표현을 다른 사람의 표현인 양 사용해서는 안 된다 = 110
 4 판단은 시청자들의 몫이다 = 111
  1 주관적 견해를 밝히지 말자 = 111
  2 감정적 표현은 피하자 = 114
 5 가장 논리적이어야 한다 = 117
 6 논쟁이 있는 곳에 논평이 필요하다 = 122
 7 문법에 맞고 자연스러운 멘트가 가장 좋다 = 124
  1 명확한 표현은 기본이다 = 124
  2 호응이 이루어진 문장을 쓰자 = 125
  3 서술어를 빠뜨리지 말자 = 126
  4 아무 성분이나 생략하지 말자 = 127
4부 보도문, 이렇게 작성한다
 1 보도문 작성 시 기자의 태도는? = 133
 2 보도문의 문장론 = 137
  1 알기 쉬운 문장을 위해 = 138
   (1) 문장의 구조를 단순 명료하게 하자 = 138
   (2) 문맥에서 추측할 수 있는 성분만 생략하자 = 144
   (3) 문장을 접속할 때는 조건을 지키자 = 148
   (4)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을 확인하자 = 152
   (5) 수식하는 말은 가능한 한 수식받는 말 앞에 쓰자 = 154
   (6) 군더더기 표현을 없애자 = 155
   (7)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경중(輕重)을 구분하자 = 157
  2 바람직한 표현을 위해 = 159
   (1) [-것으로 +동사(v)] 형식의 전달문 사용을 자제하자 = 159
   (2) 행위 표현의 서술어로는 가능한 한 동사를 사용하자 = 163
   (3) [-다는(다고 하는)+명사] 구문의 사용을 줄이자 = 170
   (4) 한문식 표현을 지양하자 = 173
  3 문법적인 문장을 위해 = 181
   (1) 조사는 용법에 따라 일관되게 사용하자 = 181
   (2) 앞뒤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해주는 연결어미를 쓰자 = 194
 3 보도문 속의 어휘와 표현 = 199
  1 뉴스의 성격이 다르면 표현도 달라진다 = 199
  2 어떤 표현이 객관성을 떨어뜨리나 = 202
   (1) 선정적 표현 = 202
   (2) 태도의 직접적 표현 = 203
   (3)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한 표현 = 204
  3 뉴스의 지칭 표현은 잘 골라 써야 한다 = 208
   (1) 계층에 따른 구별 = 208
   (2) 나이에 따른 구별 = 209
   (3) 성별에 따른 구별 = 210
   (4) 국적에 따른 구별 = 211
   (5) 범죄자의 지칭 = 211
   (6) 지명 표현 = 212
   (7) 반복되는 사항도 다양하게 표현하자 = 213
  4 기사 내용을 어떻게 배열하나 = 215
   (1) 뉴스의 초점에 맞춘 배열 = 215
   (2) 주장에는 논거가 따라야 한다 = 217
5부 인터뷰, 이렇게 활용한다
 1 인터뷰에는 고유의 역할이 있다 = 223
  1 인터뷰의 네 가지 요건 = 224
   (1) 직접성 = 224
   (2) 객관성ㆍ중립성 = 225
   (3) 현장성 = 225
   (4) 진실성 = 225
  2 인터뷰의 종류 = 226
   (1) 당사자(또는 관계자) 인터뷰 = 227
   (2) 전문가 인터뷰 = 229
   (3) 체험자 인터뷰 = 231
 2 좋은 인터뷰, 이렇게 하자 = 233
  1 필요한 곳에 요긴하게 쓰자 = 233
  2 적합하게 사용하자 = 239
  3 인터뷰 내용에 걸맞게 쓰자 = 241
  4 기자의 멘트와 겹치지 말자 = 243
  5 인터뷰를 나열할 때는 중립을 지키자 = 245
6부 자막 작성, 이렇게 한다
 1 자막은 왜 사용하는가? = 251
  1 기사 내용을 요약 전달한다 = 252
   (1) 그림 내용 보충 설명 = 252
   (2) 기사의 요약 및 정리 = 254
  2 부가 정보와 세부 자료를 보여준다 = 257
   (1) 취재원 정보 1 = 258
   (2) 취재원 정보 2 = 260
   (3) 취재 기자 정보 = 261
 2 자막, 이렇게 쓰자 = 263
  1 그림을 설명하는 경우 = 263
  2 요약 뉴스를 자막으로 제시하는 경우 = 2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