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285131 | |
005 | 20170228154131 | |
007 | ta | |
008 | 060801s2006 ulk b 001c kor | |
020 | ▼a 8970135766 ▼g 03800 | |
035 | ▼a (KERIS)BIB000010476349 | |
040 | ▼a 211019 ▼d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801.95092 ▼2 23 |
085 | ▼a 801.95092 ▼2 DDCK | |
090 | ▼a 801.95092 ▼b 2006b | |
100 | 1 | ▼a Morson, Gary Saul, ▼d 1948- ▼0 AUTH(211009)110027 |
245 | 1 0 | ▼a 바흐친의 산문학 / ▼d 게리 솔 모슨, ▼e 캐릴 에머슨 지음 ; ▼e 오문석, ▼e 차승기, ▼e 이진형 옮김 |
246 | 1 9 | ▼a Mikhail Bakhtin : ▼b creation of a prosaics |
260 | ▼a 서울 : ▼b 책세상, ▼c 2006 | |
300 | ▼a 843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803-816)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Bakhtin, M. M. ▼q (Mikhail Mikhaĭlovich), ▼d 1895-1975 |
650 | 0 | ▼a Prose literature ▼x History and criticism ▼x Theory, etc. |
650 | 0 | ▼a Criticism ▼x History ▼y 20th century |
700 | 1 | ▼a Emerson, Caryl, ▼e 저 ▼0 AUTH(211009)21557 |
700 | 1 | ▼a 오문석, ▼e 역 ▼0 AUTH(211009)117662 |
700 | 1 | ▼a 차승기, ▼e 역 ▼0 AUTH(211009)8200 |
700 | 1 | ▼a 이진형, ▼e 역 ▼0 AUTH(211009)136449 |
900 | 1 0 | ▼a 모슨, 게리 솔, ▼e 저 |
900 | 1 0 | ▼a 에머슨, 캐릴,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113716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117170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113716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512131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113716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117170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113716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5092 2006b | Accession No. 1512131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바흐친의 문학이론과 사상을 산문학, 대화, 종결 불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개념 안에 녹여낸 연구서. 미국의 바흐친 연구자 게리 솔 모슨과 캐릴 에머슨이 공동 집필한 책으로, 바흐친의 저작에 따라서가 아니라 주제와 문제에 따른 구성 방식을 취한다.
본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1부는 총괄적으로 다루어진 바흐친 사상의 핵심 쟁점을 폭넓게 개관한다. 2부는 바흐친 사상에서 저자성(authorship)의 본성에 속하는 세 가지의 포괄적이고 밀접하게 관련된 주제를 다룬다. 3부에서는 바흐친의 장르 이론과 소설 이론을 다룬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게리 솔 모슨(지은이)
노스웨스턴대학교 인문예술대학의 로렌스 듀마스Lawrence B. Dumas 교수로, 미국의 인문과학 학술원 회원이다. 저서로 《장르의 경계: 도스토옙스키의 작가 일기》(1981), 《평범한 시선 속에 숨겨진 것: ‘전쟁과 평화’에 담긴 내러티브와 창조적 가능성》(1987), 《내러티브와 자유》(1994), 《타자의 말: 인용에서 문화까지》(2011), 《산문학과 기타 도발들: 공감, 열린 시간, 그리고 소설》(2013), 《센트 앤 센서빌리티: 경제학이 인문학에서 배울 수 있는 것》(2018) 등이 있다.
캐릴 에머슨(지은이)
프린스턴대학교 왓슨 아머 III 대학A. Watson Armour III University 슬라브언어문학과 명예교수다. 《대화적 상상력: 네 편의 에세이》(1982), 《발화 장르와 기타 후기 에세이》(1986) 등 바흐친의 대표 저술을 영어로 번역·출판하여 영미권 학계의 바흐친 연구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지은 책으로는 《보리스 고두노프: 러시아적 주제의 전위》(1986), 《무소르그스키의 인생》(1999), 《바흐친의 처음 백 년》(2000), 《겸손한 무소르그스키와 보리스 고두노프: 신화, 현실, 재고》(2006) 등이 있다.
차승기(옮긴이)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부 부교수. 일제 말기의 근대비판 언설을 탐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제 말 전시체제기의 문학, 사상, 언설을 초경계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한편, 식민주의 재생산의 구조 속에서 식민지/제국 체제의 한계 지점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에 주력해 왔다. 지은 책으로는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 《비상시의 문/법》이 있고, 공저로 《‘전후’의 탄생》, 《주권의 야만》 등이 있다. 최근에는 근대 동아시아의 교착된 경험과 글쓰기의 관계를 새롭게 개념화하는 일에 관심을 두고 있다.
오문석(옮긴이)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백년의 연금술》(2005), 《근대시의 경계적 상상력》(2008), 《현대시의 운명, 원치 않았던》(2012), 《시에 대한 질문 몇 가지》(2017) 등이 있고, 역서로 《자크 데리다의 유령들》(2007), 《정치, 문화, 인간을 움직이는 95개의 테제》(2010) 등이 있다.
이진형(옮긴이)
단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학위논문을 준비 중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전기적 스케치 = 12 악어표 = 16 머리말 = 24 제1부 핵심 개념들과 시대 = 45 제1장 총괄 개념들 : 산문학, 종결 불가능성, 대화 = 47 산문학 = 47 산문학과 일상 언어 = 57 평범한 것의 철학으로서의 산문학 = 61 산문학과 윤리학 = 65 산문학과 체계들 = 69 눈에 띄지 않는 것과 평범한 것 = 77 종결 불가능성 = 85 내재적인 것으로서의 종결 불가능성 = 89 바흐친 대 바쿠닌 = 92 종결 불가능성과 역사성 = 97 대화 = 107 대화를 향하여 = 112 대화와 다른 문화들 = 115 독백화 = 119 대화로서의 진리 = 124 제2장 이력의 형성 = 130 네 시기 = 133 1919~1924년 : 초기 저술들 = 138 책임과 건축술 = 143 실제적 타자와 '불특정한' 잠재적 타자 = 148 〈언어 창작물의 내용, 재료, 그리고 형식의 문제〉 : 내용을 둘러싼 형식주의자들과의 대결 = 154 1924~1929년 : 말의 잠재력 = 164 1930년대에서 1950년대 초까지 : 말의 역사화와 이상화 = 169 카니발 : 종결 불가능성의 신격화 = 174 1950년대 초에서 1975년까지 : 전문 직업의 대변인 = 185 제3장 논란의 여지가 있는 텍스트들 = 192 논쟁 = 194 동기를 통한 행위의 입증 = 209 마르크스주의적인 책은 과연 마르크스주의적인가 = 213 끝나지 않는 논쟁 = 216 문제가 되는 것 = 223 제2부 저자성의 문제 = 229 제4장 메타언어학 : 저자성의 대화 = 231 언표 대 문장 = 234 능동적 이해 : 말의 공동 창작 = 238 대화 = 243 저자들 : 목소리와 억양 = 246 초월적 수신자 = 250 '이미 말해진 것'에 대해 말하기 = 253 이질언어성 = 257 대화화된 이질언어성 = 262 대화의 두 번째 의미 = 267 수동적 겹목소리의 말 : 양식화 = 274 수동적 겹목소리의 말 : 패러디와 스카츠 = 278 능동적 겹목소리의 말 = 281 틈구멍을 지닌 말 = 290 보고된 발화에 대한 볼로시노프의 논의 = 293 저자의 권위와 타자의 담론 = 297 간접 화법, 직접 화법, 그리고 의사 직접 화법 = 301 주어진 것과 창조된 것 = 306 제5장 심리학 : 자아 저술하기 = 309 1920년대라는 맥락 = 311 행위와 자아 = 316 참칭자와 존재의 알리바이 = 322 〈심미적 행위에 있어서 저자와 주인공〉 : 타자의 육체를 본다는 것, 그리고 타자에게 보인다는 것 = 328 정신분석, 환상, 그리고 예술의 창조 = 333 완전성, 창조성, 그리고 형식 = 338 정신 대 영혼, 틈구멍 대 리듬 = 342 비다성적 주인공에서 다성적 주인공으로 = 348 볼로시노프 : 심리학과 이데올로기 = 355 볼로시노프 : 외적인 말과 내적 발화 = 359 볼로시노프 대 비고츠키와 바흐친 = 363 《프로이트주의 : 비판적 스케치》 : 역사의 희망 없음으로서의 부르주아의 '내재성' = 368 레프 비고츠키 : 말하기, 생각하기, 그리고 자아의 출현 = 371 의미의 유입과 언표 작업 = 378 제3기의 바흐친 : 소설적 자아 = 380 내적으로 설득적인 담론과 권위적인 담론 = 384 법정에 선 소설적 자아 : 카니발과 메울 수 없는 틈구멍 = 392 카니발적 자아 = 395 후기 저작들 : 처음으로의 회귀 = 400 제6장 다성성 : 주인공 저술하기 = 404 다성성, 그리고 대화적 진리 감각 = 409 다성성과 저자의 새로운 지위 = 415 다성성과 잉여 = 420 창작 과정의 이론으로서의 다성성 = 423 산문학을 향하여 : 플롯과 구조 대 다성성과 사건성 = 430 완결과 통일성 = 437 창조적 사건성의 통일성 = 445 도스토옙스키의 시간과 인물 = 450 인격과 불일치성 = 456 윤리학과 '중재자'에 의한 정의 = 460 제3부 소설의 이론들 = 467 제7장 장르의 이론 = 469 아래에서부터 읽기 = 470 장르의 눈 = 476 문학사 = 480 예술적 사유의 형식들 = 484 의미와 잠재력 = 491 발화 장르들 = 500 장르 기억 = 507 장르와 사회학적 환원론 = 511 소설과 여타 장르들 = 514 소설과 소설화 = 517 제8장 산문학과 소설의 언어 = 525 갈릴레오적 언어 의식 = 530 소설가 갈릴레오 = 533 시학 대 산문학 = 542 산문 대 시 = 545 혼종화 : 소설의 실제 삶 = 555 인물 구역 = 561 영국식 코믹 소설과 '공통어' = 563 의사 객관성 = 566 혼종화 : 약간의 개선과 확장 = 570 언어들의 상호 조명 : 유기적 혼종과 의도적 혼종 = 580 소설적 언어와 내적 삶 = 583 소설의 두 가지 스타일 노선 = 586 '초장르적 문학성' = 592 고향 상실성의 뿌리 = 596 '고상한' 언어 = 600 파토스의 담론 = 604 몰이해와 즐거운 속임수 = 607 전범화와 재강조 = 613 제9장 크로노토프 = 621 크로노토프와 시공간 : 칸트와 아인슈타인 = 622 크로노토프적 물음과 가능성 = 627 크로노토프적 사유와 소설 = 631 크로노토프적 모티프 = 634 그리스 로망스의 시간과 공간 = 637 그리스 로망스 : 인물 이미지와 시험의 이념 = 644 일상생활의 모험 소설 속 시간 = 650 일상생활 엿보기 = 657 고대 전기와 자서전 = 662 역사적 전도와 종말론 = 670 기사도 로망스와 시각 = 672 산문적 알레고리화와 막간극적 크로노토프 = 676 괴테와 교양 소설 에세이 : 생성의 전사 = 682 성장 소설 = 688 창조적 필연'과 '시간의 충만함' = 695 시간 보기 = 699 서사시 대 소설, '절대적 과거' 대 '거리낌 없는 접촉 구역' = 705 현재성과 '인간성의 잉여' = 711 크로노토프와 대화 = 715 '저자의 이미지' = 722 크로노토프의 관문 = 726 제10장 웃음과 카니발레스크 = 728 패러디와 패러디 분신 = 729 웃음의 크로노토프 : 육화 대 잠재력 = 732 카니발, 바흐친이 선호하는 장르가 되다 = 741 《라블레와 그의 세계》와 바흐친 세계의 여분 = 744 양극화와 '공공 광장의 말' = 748 겹목소리의 비평? = 750 양극화된 육체, 텔렘 수도원, 그리고 르네상스 인문주의에 대한 재평가 = 752 카니발의 위안 = 758 민속적 웃음의 역사적 숙명 = 761 카니발과 도스토옙스키 연구서의 두 가지 판본 = 764 문학의 카니발화와 진지한 소극 장르들 = 770 축소된 웃음 = 776 다성성과 메니포스적 풍자 = 779 장르 조건들 = 781 도스토옙스키에 대한 카니발적 접근이 지니는 문제들 = 783 바흐친의 총괄 개념들 가운데 카니발레스크 = 787 옮긴이의 말 = 790 참고문헌 = 803 번역된 바흐친(학파) 저술 목록 = 817 찾아보기 - 개념 = 824 찾아보기 - 인명 = 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