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03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84531 | |
005 | 20100807122122 | |
007 | ta | |
008 | 060324s2006 ggk 001c kor | |
020 | ▼a 8974181924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0356191 | |
040 | ▼a 242002 ▼c 242002 ▼d 242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1.8 ▼2 22 |
090 | ▼a 321.8 ▼b 2006a | |
100 | 1 | ▼a Mouffe, Chantal. ▼0 AUTH(211009)107280 |
245 | 1 0 | ▼a 민주주의의 역설 / ▼d 샹탈 무페 지음 ; ▼e 이행 옮김. |
246 | 1 9 | ▼a (The)democratic paradox |
260 | ▼a 고양 : ▼b 인간사랑 , ▼c 2006. | |
300 | ▼a 212 p. ; ▼c 21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Democracy. |
700 | 1 | ▼a 이행 , ▼e 역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 2006a | Accession No. 11137321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4-01-08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 2006a | Accession No. 1113732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샹탈 무페(지은이)
1943년 6월 17일 벨기에의 샤를루아에서 태어났다. 루뱅가톨릭대학교(벨기에)와 소르본대학교(프랑스)에서 정치철학을 공부한 뒤, 에섹스대학교(영국)에서 만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와 함께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1985)을 출간하면서 주목받았다. 기존 맑스주의의 경제결정론과 계급정치학을 비판해 포스트맑스주의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된 무페는 점차 연구 범위를 확장해 이성과 보편성 중심의 서구 근대 정치철학을 급진적으로 비판하면서 자신만의 경합적 접근법(경합적 다원주의)에 의거해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이념을 재구성하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현재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와 근현대문화연구소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좌파 포퓰리즘을 위하여』(2018), 『포데모스: 인민의 이름으로』(2016),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2005), 『민주주의의 역설』(2000), 『정치적인 것의 귀환』(1993) 등이 있다.
이행(옮긴이)
<민주주의의 역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5 서언 = 11 서론 : 민주주의의 역설 = 13 제1장 민주주의, 권력, 그리고 "정치적인 것" = 35 다원주의와 근대 민주주의 다원주의, 권력, 그리고 적대감 정치적 자유주의 중첩적 합의 혹은 합헌적 합의 민주주의와 비결정성 제2장 칼 슈미트와 자유민주주의의 역설 = 61 민주주의, 그리고 시민의 동질성과 경계 배제와 포괄에 관한 민주주의적 논리 심의민주주의와 그것의 결함들 다원주의와 그 한계 슈미트의 잘못된 딜레마 제3장 비트겐슈타인, 정치이론, 그리고 민주주의 = 95 보편주의와 맥락주의 실체로서의 민주주의 혹은 절차로서의 민주주의 민주주의적 합의와 경쟁적 다원주의 비트겐슈타인과 책임 제4장 민주주의의 경쟁적 모델을 위하여 = 125 심의민주주의 : 목표 다원주의로부터의 이탈 민주주의에 대한 충성 민주주의의 "경쟁적 모델" 제5장 경쟁자 없는 정치? = 165 갈등과 근대 민주주의 정치와 정치적인 것 세계화의 문제 좌파의 평등 새로운 좌파의 프로젝트 결론 : 민주주의의 윤리 = 193 색인 =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