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27n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45284321 | |
005 | 20230424140348 | |
007 | ta | |
008 | 051010s2005 ulkj 000c kor | |
020 | ▼a 8974745275 ▼g 43160 | |
020 | 1 | ▼a 8974745267(세트) |
035 | ▼a (KERIS)BIB000009782278 | |
040 | ▼a 211019 ▼d 211046 ▼d 225013 ▼d 246009 ▼d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grc |
082 | 0 4 | ▼a 321/.07 ▼2 22 |
090 | ▼a 321.07 ▼b 2005 | |
100 | 0 | ▼a Platon, ▼d B.C.427-B.C.347 ▼0 AUTH(211009)130242 |
245 | 1 0 | ▼a 국가 : ▼b 올바름을 향한 끝없는 대화 / ▼d 플라톤 지음 ; ▼e 송재범 풀어씀. |
246 | 1 9 | ▼a Politeia |
260 | ▼a 서울 : ▼b 풀빛, ▼c 2005. | |
300 | ▼a 223 p. : ▼b 연보 ; ▼c 22 cm. | |
440 | 0 0 | ▼a 청소년 철학창고 ; ▼v 01 |
500 | ▼a 권말에 "플라톤 연보"수록 | |
600 | 0 0 | ▼a Plato. ▼t Republic. |
650 | 0 | ▼a Political science ▼v Early works to 1800. |
650 | 0 | ▼a Utopias ▼v Early works to 1800. |
700 | 1 | ▼a 송재범, ▼e 역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07 2005 | Accession No. 1113712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07 2005 | Accession No. 1211552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07 2005 | Accession No. 1211552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07 2005 | Accession No. 1113712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07 2005 | Accession No. 1211552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1.07 2005 | Accession No. 1211552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소크라테스와 제자들의 올바름을 향한 끝없는 대화가 펼쳐지는 플라톤의 <국가>를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썼다. <국가>의 대화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따라잡을 수 있도록 희곡 형식을 빌려 대화의 흐름과 전체 내용을 잘 이해하도록 했다. '청소년 철학창고' 첫번째 권이다.
플라톤의 스승 소크라테스와 그의 제자들은 '올바름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긴 대화를 계속해 나간다. 개인의 올바름에 대한 탐색에서 시작한 대화는 사회와 국가의 올바름이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으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진정으로 올바른 삶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책 뒤에 <국가>를 쓴 플라톤의 일생과 그의 사상, 다른 저작들을 '플라톤의 사상과 <국가> 따라잡기'에 실었다. 해설을 통해 책 내용을 정리하고, 플라톤과 그의 사상에 대한 개략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다. 현재 고등학교에서 국민윤리를 가르치는 교사가 쓴 책답게 청소년을 위한 배려가 곳곳에서 느껴진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플라톤(지은이)
Platon 기원전 427~347 B.C 플라톤은 기원전 427년경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부터 정계의 유망주로 기대받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다. 플라톤은 유명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시작된 지 4년째 되는 해에 태어났으며, 전쟁은 기원전 404년에 아테네의 패배로 끝났으므로 전쟁 속에서 태어나 전쟁 속에서 성장하여 성인이 된다. 그는 맹목적인 삶보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이 중요하다는 것을 소크라테스를 통해 배웠다. 플라톤의 집안은 비교적 상류계급이었고 그러한 배경을 가진 젊은이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그 또한 한때 정치에 뜻을 두었지만, 그가 믿고 따르던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정치적인 배경이 있음을 확인한 후 정치에 회의를 느껴 철학에 매진하게 된다. 그는 정치적인 이유로 자주 외국 여행길에 올랐으며 교육에 대한 열의가 매우 높아 소크라테스 사후 많은 우여곡절 끝에 기원전 387년경 아테네 근교에 철학 중심의 종합대학인 아카데메이아라는 학원을 창설하였다. 그곳을 통해 뛰어난 수학자와 높은 교양을 갖춘 정치적 인재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많은 철학자를 양성하며 집필활동에 전념한다. 소크라테스는 아무런 글도 남기지 않았지만, 그가 죽은 후 제자인 플라톤의 작품을 통해 그의 철학적 삶이 알려지게 되었다. 플라톤의 저서 30여 편 가운데 한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대화 형식을 취하고 있어 ‘대화편’이라고 불린다. 《국가》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파이돈》 《크리톤》 《프로타고라스》 등에서 주인공으로 모두 소크라테스를 내세우고 있다. 이로써 많은 저서는 스승인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들로 스승의 영향이 플라톤의 사상적 근간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플라톤의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란 불가능하다. 고대의 사상가들이 그러하듯, 플라톤 역시 현대의 분과학문 체계로는 불가능할 법한 종합적 사상을 개진하였다. 그는 인식론적 측면에서 이데아를 제창함으로써 본질과 현상이라는 이분법적 사유를 발전시켰다. 《국가》는 플라톤의 정치관을 대변하는 저술로, 이 저서에서 플라톤은 민주적인 정치 체제보다는 지적 소양이 풍부한 귀족들에 의한 통치를 선호했다. 철인 군주론은 플라톤의 정치관을 잘 드러내는 개념이다. 그는 종종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교되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다분히 현상 지향적이었다면 플라톤의 사상은 이상적이고 관념 위주였다는 평을 받는다.
송재범(엮은이)
교직에 있음을 늘 감사한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학부, 대학원)를 졸업했다. 박사학위 논문 제목이 「비도덕적 행위의 유형에 관한 연구」다. 동문들이 도덕이나 윤리를 탐색할 때 비도덕을 파헤쳤다. 비도덕의 현실을 통해 역설적으로 도덕적인 이상사회를 꿈꾼다. 본 저서도 이러한 꿈의 표현이다. 중·고등학교 교사(4교), 서울시교육청 장학관(사), 서울시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장,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장을 역임했다. 두 곳(구현고, 신서고)의 학교장, 한국국공립고등학교장회 회장을 맡으면서 치열한 학교 현장을 온몸으로 경영했다. 본 저서도 그 치열한 현장의 목소리다. 집필한 저서는 세 권만 소개한다. 『(플라톤의) 국가-올바름을 향한 끝없는 대화』(풀어씀), 『질문하는 십대, 대답하는 인문학』(공저), 『IB를 말한다』(공저) 등이다. 심신이 힘들 때마다 꺼내 보는 보물이 하나 있다. 사범대학 4학년 때 교생 실습을 하면서 기록한 교생실습록이다. 수기(手記)로 한 땀 한 땀 기록된 문장 속에 우리 교육과 학생들에 대한 열정이 뿜뿜 넘쳐난다. 그때와 지금의 나는 어떻게 비교될까? 본 저서가 그 열정을 다시 불러내는 제2의 교생실습록이 되었으면 좋겠다.

Table of Contents
''청소년 철학창고''를 펴내며 들어가는 말 《국가》에 등장하는 대화자들 제1권 올바름이란 무엇인가? 제2권 올바름과 국가의 기원 제3권 수호자들의 교육과 생활 제4권 올바른 국가와 올바른 사람 제5권 철인이 통치하는 국가 제6권 통치자의 자질과 좋음의 이데아 제7권 철인 통치자의 완성 제8권 타락한 국가와 혼 제9권 마음속의 이상 국가 제10권 올바른 삶에 대한 보상 플라톤의 사상과《국가》따라잡기 플라톤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