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6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83408 | |
005 | 20100807121016 | |
007 | ta | |
008 | 060630s2006 ggk b 001c kor | |
020 | ▼a 8930081541 ▼g 94300 | |
020 | 1 | ▼a 8930080014(세트) |
035 | ▼a (KERIS)BIB000010460734 | |
040 | ▼a 211046 ▼d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24.73 ▼2 22 |
090 | ▼a 324.73 ▼b 2006c | |
245 | 0 0 | ▼a 현대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 ▼d 오택섭 , ▼e 권혁남 , ▼e 김성태 外[저]. |
260 | ▼a 파주 : ▼b 나남출판 , ▼c 2006. | |
300 | ▼a 554 p. ; ▼c 24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1154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오택섭 ▼g 吳澤燮 ▼0 AUTH(211009)100186 |
700 | 1 | ▼a 권혁남 ▼g 權赫南 |
700 | 1 | ▼a 김성태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1137283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17-04-08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113728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211383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211383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512187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512187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1137283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17-04-08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113728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211383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211383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512187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4.73 2006c | 등록번호 1512187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론학과 정치학을 전공한 여러 연구자들이 내놓은, 우리 실정에 맞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입문서. 현대 정치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미디어를 통한 정치참여 등 정치와 미디어와의 관계를 짚어나간다.
4부 구성으로, 1부에서는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효과론과 최근 주목받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살펴본다. 2부에서는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연구주제인 선거·미디어 캠페인·정치광고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3부에서는 정부와 언론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다루었다. 4부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정치참여의 다양한 형태를 논의한다.
제대로 된 정치커뮤니케이션 입문서. 우리나라에서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연구가 시작된 지 50여 년이 흘렀지만, 우리 실정에 맞는 제대로 입문서는 없다. 이 책은 언론학과 정치학을 전공한 여러 연구자들의 결과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학도들은 물론이고 현대 정치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 특히 선거에서의 미디어 캠페인에 관심이 많은 정치인과 언론인, 그리고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미디어를 통한 정치참여에 관심을 지닌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제1부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연구방법’에서는 먼저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효과론의 소개 및 최근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가장 자주 연구되는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부 ‘선거, 미디어 캠페인, 정치광고’에서는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주제인 선거, 미디어 캠페인 그리고 정치광고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다루었다. 제3부 ‘정부, 미디어보도, 여론’에서는 먼저 정부와 언론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모델을 소개하고, 국내 정부와 언론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제4부 ‘뉴미디어 시대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정치참여의 다양한 형태를 살펴보고, 최근 온라인상에서 형성된 공중의제사례를 통해 새로운 의제설정모델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입문서로서 한국에서 이 분야가 확고하게 자리를 잡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권혁남(지은이)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 선거방송심의위원장, 언론중재위원, KBS·MBC·EBS 경영평가위원, KBS시청자위원,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전국사회대학장협의회장,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와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언론학 저술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실제>(2017), <사회조사방법의 이해>(2015), <미디어 정치 캠페인>(2014), <미디어 선거의 이론과 실제(개정판)>(2006), <현대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2006, 공저), <미디어와 유권자>(2005, 공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2004, 공저), <대중매체와 사회>(1998, 공저), <한국 언론과 선거 보도>(1997) 등이 있다.
오택섭(지은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언론학 석사 및 박사, 중앙일보.동양방송 이사, 한국언론학회 회장, 세계언론학회(ICA)조직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교수이고, 지은 책으로는 <미디어와 정보사회>, <언론의 정도>, <설득이론과 광고>등이 있다.
김성태(지은이)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드폴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이자 빅데이터 사회문제연구 센터장으로 있다. 미디어 데이터 사이언스, 빅데이터의 이해와 적용, 뉴미디어 과목 등을 가르치며 현대 기술문명의 원천인 데이터를 인문학과 공학, 과학의 관점에서 성찰해왔다. 빅데이터·AI 기반의 솔루션 모델 도출, 인공감정지능, 딥필링 분야에 관심을 두고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AEJMC, ICA, 한국언론학회, 갤럽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으며, 저서에 『빅데이터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대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연구』 『빅데이터로서 뉴스콘텐츠 활용방안 연구』가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연구방법 제1장 대표적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의 개요 / 양승찬 = 21 1. 들어가는 글 = 21 2.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 22 3. 한국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연구의 향후 과제 = 48 제2장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변수와 연구방법 / 이준웅 = 59 1.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구성에서 연구방법론의 역할 = 60 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요 변수와 주요 방법론 = 70 3. 한국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 선거연구를 중심으로 = 89 제3장 이미지, 이슈, 정치적 관리, 민주주의 / 최영재 = 105 1. '미디어 효과'에서 '정치적 관리' 연구로 = 105 2. 이미지작용 이론 = 109 3. 이슈관리 이론 = 116 4. 이미지와 이슈관리 실증연구 = 123 5. 이미지정치와 숙의민주주의 = 130 제4장 정치메시지 구성과 유권자반응 조사를 위한 방법 / 김태용 = 141 1. 정치캠페인 = 141 2. 정치캠페인 메시지와 설득 = 142 3. 정치캠페인 메시지의 종류와 전략적 의미 = 159 4. 정치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유권자반응의 측정 = 161 5. 맺음말 = 170 제2부 선거, 미디어 캠페인, 정치광고 제5장 현대 선거에서의 매스미디어 캠페인의 역할 / 이강형 = 179 1. 들어가는 글 = 179 2. 선거캠페인의 역사 = 181 3. 매스미디어 캠페인 효과에 대한 논쟁 = 186 4. 매스미디어 캠페인의 역할 = 190 5. 결론 = 199 제6장 공직후보 TV토론 / 송종길 = 207 1. 미디어선거 시대와 공직후보 TV토론 = 207 2. 공직후보 TV토론 개념과 현황 = 209 3. 공직후보 TV토론 연구경향과 이론들 = 223 4. 공직후보 TV토론 관련법과 제도적 쟁점 = 232 제7장 정치광고의 주요 쟁점 / 김광수 = 257 1. 정치광고란? = 257 2. 정치광고의 기능 = 259 3. 정치광고의 법제 = 262 4. 정치광고의 내용 = 264 5. 공격적 정치광고 = 265 6. 정치광고의 효과 = 269 7. 결론 = 272 제8장 한국의 미디어 선거캠페인과 법적 규제 / 김춘식 = 275 1. 미디어와 유권자 = 275 2. 미디어 중심의 선거법개정 = 278 3. 선거보도와 선거법 = 280 4. TV토론에 대한 법적 규제 = 302 5. 정치광고에 대한 법적 규제 = 306 제9장 정치인의 이미지형성과 회복전략 / 강미선 = 317 1. 이미지형성 이론과 전략 = 318 2. 이미지회복 전략 = 335 제3부 정부, 미디어보도, 여론 제10장 언론과 정부의 관계 / 양승목 = 363 1. 머리말 = 363 2. 분석수준에 따른 언론-정부 관계 = 365 3. 언론-정부 관계 : 진자운동모형 = 368 4. '개의 메타포'에 의한 언론-정부 관계 = 372 5. 한국언론과 정부의 관계 = 379 제11장 한국언론의 선거보도 특성 / 권혁남 = 389 1. 머리말 = 389 2. 우리 언론의 선거보도 문제점 = 390 3. TV토론 보도의 문제 = 399 4. 새로운 선거보도 방안 = 399 제12장 미디어와 여론 / 손영준 = 411 1. 미디어와 여론의 관계 = 411 2. 여론 = 416 3. 여론조사와 언론보도 = 426 제13장 폭로저널리즘과 민주화의제 형성, 그리고 서울시민의 반응 / 심재철 = 437 1. 박종철군 탐사보도와 민주화의제 형성, 그리고 서울시민의 반응 = 437 2. 탐사보도와 연합형성 모델 = 438 3. 박종철사건의 취재과정 = 442 4. 국내신문과 방송의 박종철사건 보도 = 444 5. 미국, 일본, 그리고 북한의 언론보도 = 445 6. 국내외 언론보도 내용분석 결과 = 446 7. 박종철사건에 대한 서울시민의 기억과 반응 = 451 8. 결론 및 제언 = 454 제4부 뉴미디어 시대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14장 인터넷과 정치참여 / 황용석 = 459 1.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정치참여 = 459 2. 인터넷매개 정치참여 = 462 3. 인터넷매개 정치참여를 바라보는 시각 = 473 제15장 인터넷을 통한 정치의제 형성과 파급 : 온라인의제 파급사례 및 정치웹진 분석 / 김성태 = 485 1. 서론 = 485 2. 상호작용성을 이용한 인터넷 정치참여 = 487 3. 미디어 의제설정기능과 인터넷 = 491 4. 인터넷을 통한 정치의제 파급 및 여론형성 = 495 5. 온라인상에서 웹진을 통한 정치참여 = 504 6. 결론 및 제언 = 509 제16장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온라인 시민참여 : E-Governance 구축의 전략적 모색 / 김용철 ; 윤성이 = 517 1. 서론 = 517 2. 전자민주주의 : 가능성과 쟁점 = 519 3. 민주적 정책결정과정과 온라인 시민참여 = 523 4. 온라인 시민참여의 조건과 쟁점 = 530 5. 요약 및 결론 = 535 찾아보기 = 541 필자소개 =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