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특수아동교육 :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 지침서 2판

특수아동교육 :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 지침서 2판 (15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소현 李素賢 , 1960-. 박은혜 朴恩惠 , 1965-.
서명 / 저자사항
특수아동교육 :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 지침서 / 이소현, 박은혜 공저.
판사항
2판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6.  
형태사항
585 p. : 삽도 ; 27 cm.
ISBN
895891260X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95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282453
005 20100807120338
007 ta
008 060329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5891260X ▼g 93370
035 ▼a (KERIS)BIB000010331958
040 ▼d 211048 ▼d 211009
082 0 4 ▼a 371.9 ▼2 22
090 ▼a 371.9 ▼b 2006a
100 1 ▼a 이소현 ▼g 李素賢 , ▼d 1960-. ▼0 AUTH(211009)139774
245 1 0 ▼a 특수아동교육 : ▼b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 지침서 / ▼d 이소현, ▼e 박은혜 공저.
250 ▼a 2판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6.
300 ▼a 585 p. : ▼b 삽도 ; ▼c 27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박은혜 ▼g 朴恩惠 , ▼d 1965-. ▼0 AUTH(211009)77227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9 2006a 등록번호 1113719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장애아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교육을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기획된 것이다.

특수교육이란 무엇이며, 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이 통합교육의 형태로 병합되어야 하는지, 특수아동은 어떠한 특성을 지니는지, 이들을 잘 교육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가능한 쉽고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소현(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졸업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 대학원 졸업(MA) 밴더빌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Ph.D.) 프린스톤 아동발달연구소 근무 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특수아동과 통합교육
 제1장 특수아동과 특수교육 = 15
  1. 특수아동의 이해 = 16
   1) 특수아동의 정의 = 16
   2) 특수아동의 분류 = 19
   3) 특수아동의 교육적 필요 = 23
  2. 특수교육의 이해 = 25
   1) 특수교육의 정의 = 25
   2) 특수교육 배치: 연계적 서비스 체계 = 26
 제2장 통합교육의 이해 = 33
  1.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 = 34
   1) 통합교육의 정의 = 34
   2)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 36
  2. 통합교육의 혜택 = 46
   1) 장애 아동에게 미치는 혜택 = 47
   2) 일반 아동에게 미치는 혜택 = 49
  3. 통합교육의 발전 방향 = 50
   1)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개념 정립 = 50
   2)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과제 = 53
제2부 특수아동의 이해
 제3장 정신지체 = 79
  1. 정신지체의 정의 = 80
   1) 정신지체의 최근 정의 = 80
   2) 정신지체의 분류 = 83
  2. 정신지체의 원인 = 86
   1) 다운증후군 = 86
   2) 페닐케톤뇨증 = 88
   3) 약체 X 증후군 = 88
   4) 프라더-윌리 증후군 = 88
   5) 두뇌 손상 = 90
  3. 정신지체의 특성 = 91
   1) 인지능력과 학업 성취 = 92
   2) 언어 및 사회성 발달 = 93
  4. 정신지체 아동 교육 = 94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94
   2) 교사의 역할 및 교수방법 = 95
   3) 지원의 요구가 적은 경도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교수방법 = 99
   4) 지원의 요구가 많은 중도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교수방법 = 102
 제4장 학습장애 = 115
  1. 학습장애의 정의 = 116
  2. 학습장애의 원인 = 120
   1) 생물학적 요인 = 120
   2) 유전적 요인 = 121
   3) 환경적 요인 = 122
  3. 학습장애의 특성 = 123
   1) 학업 성취 = 124
   2) 사회-정서적 특성 = 127
   3) 주의집중 및 과잉행동 = 127
   4) 지각장애 = 130
   5) 인지 및 기억력 = 130
   6) 동기 및 귀인 = 132
  4. 학습장애 아동 교육 = 132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135
   2) 일반적인 교수적 접근 = 136
   3) 기초 교과 영역의 교수 = 139
   4) 내용 중심 교과의 교수 = 151
 제5장 정서 및 행동장애 = 163
  1.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 = 164
   1) 정서 및 행동장애의 용어 = 164
   2) 정서 및 행동장애 정의의 어려움 = 165
   3) 정서 및 행동장애의 현행 정의 = 168
   4)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 = 170
  2. 정서 및 행동장애의 원인 = 172
   1) 생물학적 요인 = 173
   2) 환경적 요인: 가정과 지역사회 = 174
   3) 학교 요인 = 176
  3. 정서 및 행동장애의 특성 = 177
   1) 지능 및 학업 성취 = 177
   2) 사회-정서적 특성 = 179
   3) 행동적 특성 = 181
  4.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 교육 = 183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184
   2) 문제행동 지도 = 187
   3) 사회적 기술 교수 = 190
   4) 학습준비기술 지도 = 194
 제6장 의사소통장애 = 207
  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 208
   1) 말장애 = 211
   2) 언어장애 = 215
  2.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 222
   1) 기질적 요인 = 223
   2) 기능적 요인 = 223
  3. 의사소통장애의 특성 = 224
   1) 언어적 특성 = 224
   2) 인지 및 학업 특성 = 226
   3) 사회-정서적 특성 = 226
  4. 의사소통장애 아동 교육 = 228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228
   2) 말을 활용한 의사소통 기술 촉진 = 229
   3) 언어 기술 교수 = 233
   4) 언어치료사의 역할 및 협력 = 235
 제7장 청각장애 = 241
  1. 청각장애의 정의 = 242
  2. 청각장애의 원인 = 244
   1) 귀의 구조 = 244
   2) 청각장애의 원인 = 245
   3) 청력의 측정 = 248
  3. 청각장애의 특성 = 249
   1) 말과 언어의 발달 = 250
   2) 사회-정서적 발달 = 252
   3) 청각장애인의 사회와 문화 = 252
  4. 청각장애 아동 교육 = 253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253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 256
   3)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적 중재 = 259
 제8장 시각장애 = 271
  1. 시각장애의 정의 = 272
  2. 시각장애의 원인 = 275
   1) 눈의 구조 = 275
   2) 시각장애의 원인 = 276
  3. 시각장애의 특성 = 278
   1) 운동 발달 = 278
   2) 개념 발달 = 279
   3) 사회성 발달 = 279
  4. 시각장애 아동 교육 = 281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281
   2)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적 중재 = 285
   3) 교수 보조도구의 선택과 수정 = 290
 제9장 지체 및 건강장애 = 299
  1. 지체 및 건강장애의 정의 = 300
   1) 지체장애 = 300
   2) 건강장애 = 301
  2. 지체 및 건강장애의 원인 = 301
   1) 뇌성마비 = 302
   2) 진행성 근위측증 = 304
   3) 이분척추 = 305
   4) 골 형성 부전증 = 306
   5) 경련장애(간질) = 306
   6) 외상성 뇌손상 = 307
   7) 소아암 = 309
   8) 신장장애 = 309
  3. 지체 및 건강장애의 특성 = 310
   1) 인지능력과 학업 성취 = 310
   2) 사회-정서적 특성 = 311
   3) 신체 운동적 특성 = 312
  4. 지체 및 건강장애 아동의 교육 = 313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313
   2) 통합교육을 위한 정보수집과 교수환경 수정 = 314
   3) 학습 자세의 중요성 = 321
   4) 지체장애 아동을 위한 컴퓨터 공학의 활용 = 323
   5) 의사소통 = 328
   6) 이동성 = 331
 제10장 자폐 범주성 장애 = 339
  1. 자폐 범주성 장애의 개념 = 340
   1) 개념 정립의 역사 = 340
   2)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정의 = 342
   3) 자폐 범주성 장애의 발생률 = 346
  2. 자폐 범주성 장애의 원인 = 348
  3.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성 = 350
   1) 지능 및 학업 성취 = 350
   2) 사회-정서적 특성 = 352
   3) 의사소통 특성 = 357
   4) 행동적 특성 = 360
  4.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 363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 363
   2) 사회성 발달장애를 고려한 교육 = 366
   3) 기능성 중심의 의사소통 교육 = 370
 제11장 우수아 = 385
  1. 우수아의 정의 = 386
  2. 우수성의 기원 = 389
   1) 유전 및 기타 생물학적 요인 = 390
   2) 환경적 요인 = 390
  3. 우수아의 특성 = 391
   1) 일반적 특성 = 391
   2) 우수아의 판별 = 394
   3) 미성취 우수아 = 394
  4. 우수아 교육 = 398
   1) 일반학급에서의 우수아 교육을 위한 지침 = 398
   2) 교육적 배치 = 399
   3) 교수방법 = 402
제3부 특수아동교육의 실제
 제12장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접근 = 415
  1. 협력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 = 416
   1) 협력적 접근의 정의 = 417
   2) 협력적 접근의 중요성 = 417
  2.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접근의 실제 = 419
   1) 협력 팀의 구성원과 역할 = 419
   2) 협력적 접근의 계획 및 실행 = 424
   3) 협력적 교수방법 = 429
 제13장 특수아동 교수방법 = 445
  1.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446
   1) 개별화 교육의 법적 배경 = 446
   2)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기능 = 447
   3)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 447
  2. 교과지도 및 교수방법 = 456
   1) 국어 = 456
   2) 수학 = 459
   3) 체육 = 460
   4) 음악 = 463
   5) 미술 = 464
  3.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방법 = 465
   1) 일반적인 교수방법의 적용 = 465
   2)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전략 = 466
   3) 통합학급에서의 교수방법 = 473
 제14장 특수아동 행동 지도 = 485
  1. 장애 아동의 행동 문제 = 486
   1) 행동 지도의 중요성 = 486
   2) 행동 문제의 유형 및 특성 = 487
  2. 행동 발생의 기본 원리 = 489
   1) 행동의 법칙 = 489
   2) 행동의 기능 = 494
   3) 행동의 발생 상황 = 495
   4) 환경의 영향 = 498
  3. 행동 지도의 실제: 긍정적 행동 지원 = 503
   1) 긍정적 행동 지원의 이론적 배경 = 503
   2) 긍정적 행동 지원의 실행 방안 = 509
  4. 행동 지도를 위한 자료 수집 및 분석 = 520
   1) 목표행동의 식별 및 정의 = 521
   2) 측정 방법의 선정 = 522
   3) 관찰자 및 관찰 시간 결정 = 525
   4) 기초선 자료 수집 및 분석 = 525
   5) 교수 자료 수집 및 분석 = 526
 제15장 사회적 통합 = 533
  1. 사회적 통합의 중요성 = 534
  2. 일반학급에서 겪는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어려움 = 535
  3.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기본적 원리 = 539
   1) 통합을 위한 교사 준비 = 539
   2) 통합을 위한 일반 아동 준비 = 541
   3) 통합을 위한 장애 아동 준비 = 542
   4) 통합을 위한 부모 준비 = 542
  4. 사회적 통합을 위한 성공적인 교수전략 = 545
   1)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장애 이해 활동 = 545
   2)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술 교수 = 553
   3) 일반 아동과 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촉진 = 556
찾아보기 = 573


관련분야 신착자료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