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12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대훈 權大勳
서명 / 저자사항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 Educational psychology : theory and practice / 권대훈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6.  
형태사항
495 p. : 삽도 ; 27 cm.
ISBN
8958913037
서지주기
참고문헌(p. 479-486)과 색인수록
000 00633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81592
005 20100807115640
007 ta
008 060612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58913037 ▼g 93370
035 ▼a (KERIS)BIB000010461318
040 ▼a 211046 ▼d 211009
082 0 4 ▼a 370.15 ▼2 22
090 ▼a 370.15 ▼b 2006a
100 1 ▼a 권대훈 ▼g 權大勳 ▼0 AUTH(211009)98451
245 1 0 ▼a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 ▼x Educational psychology : theory and practice / ▼d 권대훈 지음.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6.
300 ▼a 495 p. : ▼b 삽도 ; ▼c 27 cm.
504 ▼a 참고문헌(p. 479-486)과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06a 등록번호 1113706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06a 등록번호 11137063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6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교육심리학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들을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포괄적이면서도 평이하게 서술한 교육심리학 개론서다. 저자는 교육심리학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들을 포괄하기 위해 국내 · 외에서 간행된 교육심리학 관련문헌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심리학의 내용을 가급적 많이 포함시켰고 최근의 연구성과도 두루 소개하였다. 독자들을 최대한 배려하여 주요 내용들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도록 체계화시켜 정리하였으며, 많은 예화와 사례 삽입으로 이해를 돕고 교육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주요 내용마다 교육적 시사점이나 적용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동안 교육심리학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었거나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라면 이 책 한 권으로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를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대훈(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전공(석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전공(박사) 현재 안동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공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01 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연구방법 = 13
 1. 교육심리학의 성격 = 15
  1) 교육심리학의 의미 = 15
  2) 교육심리학의 역할 = 17
 2.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19
  1) 양적 연구 = 21
  2) 질적 연구 = 27
  3) 실행 연구 = 31
 3. 교육심리학의 자료수집방법 = 32
  1) 지필검사 = 33
  2) 관찰 = 33
  3) 설문지 = 34
  4) 면접 = 34
  5) 검사 = 35
  6) 사회성측정법 = 35
  7) 투사법 = 36
02 발달의 성격과 인지발달이론 = 41
 1. 발달의 성격 = 44
  1) 발달의 개념 = 44
  2) 발달의 원리 = 44
  3) 발달연구의 접근방법 = 46
  4) 발달과업 = 48
  5) 발달의 결정요인: 유전-환경 논쟁 = 49
  6) 자연성숙론 대 환경경험론 = 53
 2.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57
  1) Piaget 이론의 기본견해 = 59
  2) 인지발달의 기제 = 60
  3) 인지발달단계 = 65
  4) Piaget 이론의 교육적 적용 = 76
  5) Piaget 이론에 대한 비판 = 79
 3. Vygotsky의 발달이론 = 81
  1) Vygotsky이론의 기본견해 = 82
  2) 근접발달영역 = 85
  3) 발판화(비계설정) = 87
  4) 역동적 평가 = 88
  5) Piaget와 Vygotsky의 공통점과 차이점 = 90
03 도덕발달과 성격발달 = 95
 1.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 = 97
  1) Piaget의 도덕발달이론 = 98
  2)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 = 99
  3) Gilligan의 도덕발달이론 = 106
  4) Turiel의 영역구분모형 = 107
 2.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108
  1) 정신의 구조 = 109
  2) 성격의 구조 = 110
  3) 심리성적 발달단계 = 111
  4)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평가 = 114
 3. Erikson의 심리사회 발달이론 = 115
  1) Erikson 이론의 기본견해 = 116
  2) 인성발달단계 = 118
  3) Erikson 이론의 교육적 적용 = 123
  4) Erikson 이론에 대한 비판 = 124
  5) Marcia의 정체성 지위이론 = 125
04 행동주의 학습이론 = 129
 1. 고전적 이론 = 132
  1) 연합주의 = 132
  2) 구조주의 = 132
  3) 기능주의 = 133
 2. 학습의 개념 = 134
 3. 행동주의의 출현 = 136
  1) 행동주의의 태동 = 136
  2) 행동주의의 기본가정 = 137
 4. 고전적 조건형성 = 138
  1) 고전적 조건형성의 절차 = 139
  2) 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개념 = 140
  3) 고전적 조건형성의 영향요인 = 142
  4) 고전적 조건형성의 교육에 대한 시사점 = 143
  5) 고전적 조건형성의 응용 = 144
 5. 근접이론 = 147
  1) 근접의 원리 = 148
  2) 일회시행학습 = 148
  3) 습관의 형성 및 변화 = 149
 6. 결합설(도구적 조건형성) = 151
  1) 시행착오학습 = 151
  2) 결합설의 교육적 시사점 = 154
 7. 조작적 조건형성 = 155
  1) 대응적 행동과 조작적 행동 = 156
  2)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원리: 강화 = 157
  3) 강화의 유형 = 160
  4) 강화물의 종류 = 161
  5) 강화계획 = 164
  6) 처벌 = 167
  7) 행동수정 = 170
  8)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에 대한 비판 = 178
 8. 사회인지이론 = 179
  1) 모델링(관찰학습)의 기본견해 = 180
  2) 관찰학습의 효과 = 181
  3) 모델링의 과정 = 183
  4) 인지적 행동수정 = 185
  5) 자기조절 = 187
  6) 사회인지이론의 시사점 = 187
05 인지심리학의 출현과 정보처리이론 = 191
 1. 목적적 행동주의 = 195
  1) 신호-형태 학습 = 196
  2) 잠재적 학습 = 196
  3) 인지적 학습 = 198
 2. 형태이론 = 198
  1) 기본견해 = 198
  2) 파이현상 = 199
  3) 간결과 의미의 법칙 = 201
  4) 통찰이론 = 204
  5) 생산적 사고 = 206
 3. 행동주의와 인지심리학의 차이 = 207
 4. 정보처리이론 = 208
  1) 정보처리이론의 기본가정 = 210
  2) 정보처리단계(기억단계) = 210
  3) 기억에 대한 대안적 모형 = 220
  4) 인지과정/인지전략 = 225
 5. 메타인지 = 238
 6. 학습전략 = 241
  1) 노트 필기 = 242
  2) 요약 = 243
  3) 학습전략 훈련프로그램 = 243
 7. 망각 = 244
  1) 소멸이론 = 246
  2) 소멸포섭 = 247
  3) 억압 = 247
  4) 간섭이론 = 248
  5) 인출실패이론 = 250
06 인지학습이론ㆍ구성주의ㆍ전이 = 255
 1. 인지학습이론 = 257
  1) 유의미수용학습 = 257
  2) 발견학습 = 262
 2. 구성주의 = 266
  1) 구성주의의 유형 = 268
  2) 구성주의의 특징 = 270
  3) 구성주의의 교육적 적용 = 272
 3. 전이 = 281
  1) 전이의 의미 = 281
  2) 전이의 검증방법 = 283
  3) 전이의 종류 = 283
  4) 전이의 이론 = 286
  5) 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92
07 인본주의 학습이론 = 297
 1. 인본주의 심리학의 출현 = 299
 2. 인본주의의 기본관점 = 301
 3. Maslow의 요구위계이론 = 303
  1) 요구위계 = 303
  2) 결손요구와 성장요구 = 306
  3) Maslow 이론의 시사점과 문제점 = 306
 4. Rogers의 자기이론 = 307
  1) 자기이론의 기본가정 = 307
  2) 실현경향성 = 309
  3) 긍정적 존중의 요구 = 310
  4) Rogers의 이론에 대한 평가 = 311
 5. Combs: 촉진자로서 교사 = 312
 6. 인본주의 교육의 목적: 자기실현 = 312
 7. 인본주의의 교육적 적용 = 314
  1) 성장집단 = 315
  2) 합류교육(통합교육) = 315
  3) 가치명료화 = 316
  4) 열린교육 = 316
  5) 학습양식 = 317
  6) 협동학습 = 317
 8. 인본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 317
08 학습동기 = 321
 1. 동기이론 = 324
  1) 전통적 동기이론 = 324
  2) 기대-가치이론 = 331
  3) 귀인이론 = 335
  4) 자기지각이론 = 338
  5) 성취목표이론 = 344
 2. 동기에 영향을 주는 학급특성과 교사특성 = 351
  1) 학급의 특성 = 351
  2) 교사특성 = 354
09 지능 = 361
 1. 지능에 대한 접근 = 364
  1) 심리측정론적 접근 = 365
  2) 정보처리론적 접근 = 369
 2. 지능에 대한 최근 이론 = 371
  1) 다중지능이론 = 371
  2) 성공지능에 대한 삼원이론 = 374
  3) 정서지능 = 379
 3. 지능검사 = 381
  1) 지능검사의 종류 = 382
  2) 지능지수 = 383
  3) 지능지수에 대한 오해 = 384
  4) 지능지수해석 시 유의사항 = 386
  5) 지능과 성취의 관계 = 388
10 창의력ㆍ인지양식ㆍ선행지식ㆍ정의(情意) = 391
 1. 창의력 = 393
  1) 창의력의 개념 = 394
  2) 창의력의 요인 = 395
  3) 창의력의 측정 = 401
  4) 창의력과 지능의 관계 = 402
  5) 창의력의 훈련 = 405
  6) 창의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 = 408
 2. 인지양식 = 409
  1) 인지양식의 개념 = 409
  2) 장독립성-장의존성 = 410
  3) 숙고형과 충동형 = 413
  4) 인지양식의 활용 = 415
 3. 선행지식 = 416
  1) 선행지식의 개념 = 416
  2) 선행지식의 효과 = 417
 4. 정의(情意) = 419
  1) 정의적 특성의 개념 = 420
  2) 정의적 특성의 종류 = 421
  3) 정의적 특성의 교육적 의의 = 424
11 생활지도와 상담 = 429
 1. 적응 = 432
  1) 적응의 개념 = 432
  2) 적응의 방법 = 433
 2. 생활지도 = 441
  1) 생활지도의 의의 = 441
  2) 생활지도의 원리 = 442
  3) 생활지도ㆍ상담ㆍ심리치료 = 443
  4) 생활지도의 영역 = 444
 3. 상담 = 445
  1) 상담의 의미와 목표 = 445
  2) 상담이론 = 446
12 교육평가 = 457
 1. 교육평가의 의미 = 459
  1) 교육평가의 의미 = 459
  2) 교육평가의 역할 = 461
 2. 교육평가의 유형 = 462
  1)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 = 462
  2) 정치평가ㆍ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괄평가 = 466
 3. 평가도구의 구비조건 = 468
  1) 타당도 = 469
  2) 신뢰도 = 470
  3) 객관도 = 471
  4) 실용도 = 471
 4.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71
  1) 프로그램 평가 = 472
  2) 정의적 평가 = 473
  3) 형성평가 = 474
  4) 메타평가 = 475
  5) 수행평가 = 476
참고문헌 = 479
찾아보기 = 487


관련분야 신착자료

일여 (2023)
김은형 (2022)
신명희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