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편 전자정부의 개념적 이해
제1장 전자정부란 무엇인가? = 17
제1절 전자정부의 논의 배경 = 17
1. 전자정부의 필요성 = 17
2. 정부 혁신을 통한 전자정부의 실현 = 18
제2절 전자정부의 개념과 이해 = 22
1. 전자정부의 개념적 출발과 발전 = 22
2. 전자정부 개념의 이해: 초점과 대상 = 24
제2장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 = 30
제1절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을 둘러싼 쟁점 = 30
제2절 전자정부의 이념적 쟁점의 이해를 위한 정의적 고민: 관점과 정의의 변화 = 31
1. 전자정부를 보는 관점에서의 변화 = 32
2. 전자정부에 관한 개념적 정의의 유형 = 35
제3절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에 관한 기존 논의들 = 37
1. 행정 이념에 관한 몇 가지 논의의 개관 = 37
2.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에 관한 기존의 논의 = 38
3. 전자정부를 둘러싼 쟁점들 = 39
제4절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으로서 지능성과 다양성 = 41
1. 전자정부의 행정 이념으로서 지능성의 이해 = 41
2. 지능성의 구성 요소 = 42
제3장 전자정부의 이론과 모형 = 47
제1절 전자정부를 바라보는 시각 = 47
1. 기술적 영역 = 47
2. 정치ㆍ행정적 영역 = 48
제2절 전자정부 이론의 '단계' = 48
1. 소규모 이론으로서의 '개념' = 48
2. 이론의 기초로서의 '진술' = 49
3. 초기 이론으로서의 '경험적 일반화' = 49
제3절 전자정부 측면 = 50
1. 합리주의와 비용 문제 = 50
2. 비관론적 관점 = 51
3. 사회형성론(문화론)적 관점 = 51
제4절 전자정부 모형에 대한 논의 = 52
1. 발전 단계 모형 = 52
2. 전체론적 접근 = 59
3. 가치 사슬모형(공공 영역에서의 비즈니스 모형) = 62
제2편 정보통신기술의 응용으로서 전자정부
제4장 전자정부와 행정조직 혁신 = 67
제1절 행정에서의 리엔지니어링의 의의 = 68
1. 리엔지니어링의 개요 = 69
2. 행정조직 리엔지니어링의 목적 = 73
제2절 정보통신기술과 리엔지니어링 = 75
1. 정보통신기술과 리엔지니어링의 관계 = 75
2.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 모습 = 76
제3절 리엔지니어링의 절차와 전제 조건 = 78
1. 리엔지니어링의 수행 단계 = 78
2. 성공적인 리엔지니어링을 위한 전제 조건 = 95
제5장 전자정부와 인사행정 = 103
제1절 인사행정의 환경 변화 및 정보통신기술의 필요성 = 103
제2절 인사정보시스템의 개념 = 105
제3절 인사정보시스템의 활용 = 109
1. 직원정보의 관리 = 110
2. 채용 및 승진관리 = 110
3. 교육훈련관리 = 111
4. 평가관리 = 14
5. 보수 및 복리후생관리 = 115
6. 통계자료 분석 및 인력계획 = 116
제4절 인사정보시스템 도입의 효과 = 119
1.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 충족 = 119
2. 다양한 행정 이념의 실현 = 121
제5절 성공적 구현을 위한 요건 = 124
1. 시스템 구축시 고려 사항 = 124
2.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 127
3. 시스템 보안 = 129
4. 저항 및 극복 방안 = 132
제6장 전자정부 관점에서의 정책 결정 = 140
제1절 정책 결정 과정과 정보통신기술의 개념적 관계 = 141
1.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의 영향 = 141
2. 정보통신기술의 정책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환경 요인 = 143
제2절 합리적 정책 결정의 의미와 현실적 제약 요인 = 145
1. 합리적 정책 결정의 의미 = 145
2. 합리적 정책 결정의 제약 요인 = 146
제3절 이론과 현실의 괴리: 시스템적 사고의 한계 = 149
제4절 전자정부 관점에서의 정책 결정 모형 = 153
1. 상황 맥락적 정책 결정의 필요성 = 153
2. 상황 맥락적 정책 결정을 위한 행정 혁신의 필요성: 전제 조건 = 155
3. 상황 맥락적 정책결정 모형의 도출 = 158
제7장 지방자치와 지역정보화 = 162
제1절 사회 변화 기제로서 정보화ㆍ지방화 = 162
제2절 전자지방정부 = 166
1. 전자지방정부의 개요 = 166
2. 전자지방정부와 정부 혁신 = 177
제3절 지역정보화 = 194
1. 지역정보화의 개요 = 194
2. 주요 선진국의 지역정보화 = 198
3. 우리 나라의 지역정보화 = 200
제4절 지방자치와 지역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204
1. 전자지방정부 기반으로서 프로세스 혁신 기법의 통합 = 205
2. 시민에 의한 지방정부 = 206
3. 정보 격차의 해소와 지역균형 발전 = 206
4. 지역 문제의 혁신적 해결 수단 = 207
5. 지방의 가치를 존중하는 자율적 정보화 = 208
제8장 전자정부와 행정 서비스의 제공 = 211
제1절 전자정부에서 행정 서비스 제공의 의미와 중요성 = 211
제2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 사이버 공간과 새로운 행정 서비스의 제공 방식 = 215
1.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개념적 이해 = 215
2. 사이버 공간과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구현 = 218
3. 전자적 행정 서비스 제공의 편익 = 221
제3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유형 분류와 서비스 내용 = 223
1. 수혜 대상별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유형 분류 및 서비스 내용 = 224
2. 고객과의 관계에 따른 유형 분류 = 231
3.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발전 단계별 유형 분류 = 232
제4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제공과 보편성 = 236
1.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과 의미 = 237
2. 보편적 서비스의 확보와 새로운 노력 = 240
제5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 제공의 기본 방향 = 243
1. 고객 중심의 서비스 행정 = 243
2.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행정의 수행 = 244
3. 투명성과 신뢰성의 확보 = 245
4. 전문성의 제고 = 245
5. 대응성과 신속성의 제고 = 246
6. 통합적 행정 서비스의 제공 = 246
7. 다양한 계층의 참여 = 246
제6절 전자적 행정 서비스의 전달 모형 = 247
1. 포털을 통한 행정 서비스 전달의 의의 = 247
2. 포털을 통한 행정 서비스 전자적 전달을 위한 고려 사항 = 248
제9장 전자정부에서의 시민 참여 = 251
제1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개념적 논의 = 251
1.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개념 = 251
2. 전자정부 이념과 시민 참여의 의의 = 253
3.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필요성 = 256
제2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이론적 논의 = 263
1. OECD모형: 참여 수준을 중심으로 = 263
2. Maclntosh의 모형: 참여 목적을 중심으로 = 265
3. Te Komohana O Nga Tari Kawantatanga 모형: 신뢰 수준을 중심으로 = 267
4. 전자정부학회(IEG) 모형: 전자민주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 268
제3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주요 정보통신기술 = 271
1. 전자적 시민 참여의 주요 정보통신기술: 초고속 정보통신 인터넷에 기반한 다중통신 매체 = 271
2. 전자정부 시민 참여 영역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 272
3. 전자적 시민 참여의 기술 어플리케이션 = 273
4. 전자적 시민 참여의 기술적 측면의 고려 사항 = 275
제4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특징 및 유형 = 278
1.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특징 = 278
2.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유형 = 280
제5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구현 사례 = 282
1. 국내 사례 = 282
2. 해외 사례 = 289
제6절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한계와 향후 방향 = 296
1.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한계 = 296
2. 전자정부에서 시민 참여의 향후 방향 = 298
제10장 전자정부에서의 행정윤리: 전자부패를 중심으로 = 303
제1절 정보통신기술과 윤리 = 303
1. 정보통신 윤리 개관 = 304
2. 과학기술의 윤리적 통제: 문화지체이론 = 306
제2절 전자정부에서의 윤리 문제: 전자부패 = 308
1. 전자부패의 의의 = 308
2. 전자부패 취약성에 대한 선진국들의 인식과 사례 = 309
제3절 전자정부의 부패 취약 요인 = 314
제4절 전자정부 구현사업 추진 실태 감사 결과 = 320
1. 정보화 계획과 집행 간 괴리 및 사업 추진 전담 기구의 조정 기능 미흡 = 321
2. 전자정부 업무환경에 대한 현실 인식 = 326
3. 전자부패의 유형 = 328
4. 정보통신기술과 부패의 관계 = 337
제5절 전자부패 확산의 시나리오 = 342
1. 전통적 부패 = 343
2. 전통적 부패의 전자부패화 = 344
3. 새로운 유형의 전자부패 = 350
제6절 전자부패에 대한 대응 방안 = 354
제3편 전자정부의 성찰과 미래
제11장 전자정부 구현 노력의 성찰 = 365
제1절 전자정부에 대한 성찰적 접근 = 365
제2절 전자정부의 본질과 논의의 한계 = 367
1. 전자정부의 경험적 교훈 = 367
2. 전자정부론의 한계 = 368
제3절 전자정부의 실태: 진단과 성찰 = 370
1. 전자정부의 제도적 실상 = 371
2. 전자정부 구현 성과와 전망 = 373
3. 전자정부의 비판적 성찰 = 377
제4절 전자정부의 진화와 적응 = 396
1. 지능적 전자정부의 방향과 구조 = 396
2. 세련된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방안 = 398
제5절 결론 = 402
제12장 전자정부의 향후 연구 쟁점 = 406
1. 행정과 정보통신기술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한 전자정부의 재정의 = 406
2. 정부 부문에서 기술 도입사 분석 = 408
3. 전자정부 시대의 새로운 헌법? = 409
4. 인간 본성과 전자정부의 구현 = 411
5. 전자정부 맥락에서의 공무원-국민 관계 = 412
6. 전자정부의 대표관료 = 413
7. 전자정부 구현과 추진 체계의 중복 및 정책 갈등 = 415
참고 문헌 = 418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