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평가

평가 (Loan 5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Rea-Dickins, Pauline Germaine, Kevin P. , 1953- 김지홍 , 역
Title Statement
평가 = Evaluation / Pauline Rea-Dickins, Kevin Germaine 지음 ; 김지홍 뒤침.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범문사 ,   2003.  
Physical Medium
239 p. : 삽도 ; 26 cm.
Series Statement
옥스포드 언어교육 지침서 = Oxford language teaching ; [12]
Varied Title
Managing evaluation and innovation in language teaching : building bridges
ISBN
8973312065
General Note
색인수록  
부록 : 용어해설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223-226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Language and languages --Study and teaching --Evaluation. Educational innovations.
000 01088camccc200325 k 4500
001 000045280796
005 20100807114727
007 ta
008 050520s2003 ulka 001c kor
020 ▼a 8973312065 ▼g 03740
035 ▼a (KERIS)BIB000009226825
040 ▼d 225013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28/.007 s ▼a 407 ▼2 22
090 ▼a 428.007 ▼b 2003c ▼c 12
100 1 ▼a Rea-Dickins, Pauline ▼0 AUTH(211009)11306
245 1 0 ▼a 평가 = ▼x Evaluation / ▼d Pauline Rea-Dickins, ▼e Kevin Germaine 지음 ; ▼e 김지홍 뒤침.
246 1 9 ▼a Managing evaluation and innovation in language teaching : building bridges
260 ▼a 서울 : ▼b 범문사 , ▼c 2003.
300 ▼a 239 p. : ▼b 삽도 ; ▼c 26 cm.
440 0 0 ▼a 옥스포드 언어교육 지침서 = ▼x Oxford language teaching ; ▼v [12]
500 ▼a 색인수록
500 ▼a 부록 : 용어해설 외
504 ▼a 참고문헌 : p. 223-226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Study and teaching ▼x Evaluation.
650 0 ▼a Educational innovations.
700 1 ▼a Germaine, Kevin P. , ▼d 1953-
700 1 ▼a 김지홍 , ▼e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 2003c 12 Accession No. 1113710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 2003c 12 Accession No. 1113710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Pauline Rea-Dickins(지은이)

<옥스포드 언어교육 지침서>

김지홍(옮긴이)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중임. 그간 40여 권의 저역서 중에서 10종의 책(★)이 대한민국학술원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됨. 한국연구재단의 서양편 명저번역 2종(☆)을 출간했고, 한문 번역서로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된 것 이외에 몇 권이 있음. ‘언어와 현대사상’에 관심을 갖고서 뤄쓸, 무어, 카아냅, 그롸이스, 타아스키, 콰인, 참스키, 췌이프 등의 업적을 중심으로 하여 번역하려고 하며, 북경대 표점본 ≪13경 주소≫를 통독하는 일도 현안임. [저서] ★김지홍(2010) ≪국어 통사&#65381;의미론의 몇 측면: 논항구조 접근≫(경진출판) ★김지홍(2010)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경진출판) ★김지홍(2014)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경진출판) ★김지홍(2015)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경진출판) ★김지홍(2020)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접속문과 내포문 1~2≫(경진출판) [언어와 현대사상] ★무어(1953; 김지홍 뒤침, 2019) ≪철학에서 중요한 몇 가지 문제≫(경진출판) 참스키(2000) ≪언어 및 정신 연구에서 탐구할 만한 몇 가지 새로운 지평≫(번역중) [심리학(언어의 산출 및 이해), 그리고 담화 분석] ☆르펠트(1989; 김지홍 뒤침, 2008) ≪말하기 그 의도에서 조음까지 1~2≫(나남) ☆킨취(1998; 김지홍&#65381;문선모 뒤침, 2011) ≪이해: 인지 패러다임 1~2≫(나남) ★클락(2003; 김지홍 뒤침, 2009) ≪언어 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경진출판) ★머카씨(1998; 김지홍 뒤침, 2010)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 교육≫(경진출판) ★페어클럽(2001; 김지홍 뒤침, 2011) ≪언어와 권력≫(경진출판) 페어클럽(2003; 김지홍 뒤침, 2012) ≪담화 분석 방법: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경진출판) 페어클럽(1980; 김지홍 뒤침, 2017) ≪담화와 사회 변화≫(경진출판) ★위도슨(2004; 김지홍 뒤침, 2018)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경진출판) [언어교육 평가 및 현장조사 연구] 월리스(1998; 김지홍 뒤침, 2000) ≪언어 교육현장 조사 연구 방법≫(나라말) 루오마(2001; 김지홍 뒤침, 2011) ≪말하기 평가≫(글로벌콘텐츠) 벅(2001; 김지홍 뒤침, 2013) ≪듣기 평가≫(글로벌콘텐츠) 앤더슨&#65381;브롸운&#65381;쉴콕&#65381;율(1984; 김지홍&#65381;서종훈 뒤침, 2014) ≪모국어 말하기 교육≫(글로벌콘텐츠) 브롸운&#65381;율(1984; 김지홍&#65381;서종훈 뒤침, 2014) ≪영어 말하기 교육≫(글로벌콘텐츠) 올더슨(2001; 김지홍 뒤침, 2015) ≪읽기 평가 1~2≫(글로벌콘텐츠) [한문 번역] 유희(1824; 김지홍 뒤침, 2008) ≪언문지≫(지만지, 지식을만드는지식) 최부(1489; 김지홍 뒤침, 2009) ≪최부 표해록≫(지만지) 장한철(1771; 김지홍 뒤침, 2009) ≪표해록≫(지만지) 노상추(1746~1829; 김지홍 외 4인 뒤침, 2017) ≪국역 노상추 일기 1, 2, 3≫(국사편찬위원회)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소개 = 4
편집자 소개 = 5
저자 서문 = 6
시리즈 편집자 서문 = 8
제1부 설명: 평가의 원리
 1. 평가란 무엇인가? = 19
  1.1 개관 = 17
  1.2 교육에서의 평가 = 21
  1.3 평가 및 개선 = 25
  1.4 평가 및 관리 = 32
  1.5 평가 및 맥락 = 39
  1.6 요약 = 43
 2. 평가의 목적 = 44
  2.1 개관 = 44
  2.2 일반적인 평가 목적들 = 44
  2.3 평가를 위하여 특수하게 주제에 관련된 목적들 = 49
  2.4 자료 = 51
  2.5 교사들 및 가르치는 일 = 59
  2.6 학습자 결과물을 평가하기 = 71
  2.7 요약 = 87
 3. 교사들이 자신의 교실수업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 88
  3.1 개관 = 88
  3.2 측정에 근거한 평가 = 88
  3.3 기술 자료에 근거한 평가 = 91
  3.4 평가 및 교실수업 교사 = 101
  3.5 요약 = 108
 4.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하나의 얼개 = 110
  4.1 개관 = 110
  4.2 평가 얼개 = 110
  4.3 요약 = 111
제2부 시범 보이기: 평가의 실천
 5. 연구과제 평가 = 115
  5.1 개관 = 115
  5.2 의사소통 중심으로 가르친 연구과제(인도 뱅갈로어 사례) = 115
  5.3 맥락 = 116
  5.4 목적 = 116
  5.5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17
  5.6 평가 결과들 = 117
  5.7 요약 = 119
 6. 방법론에 대한 평가 = 120
  6.1 개관 = 120
  6.2 맥락 = 120
  6.3 목적들 = 121
  6.4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21
  6.5 발견 결과들 = 123
  6.6 요약 = 125
 7.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육내용의 평가 = 126
  7.1 개관 = 126
  7.2 맥락 및 목적들 = 126
  7.3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27
  7.4 평가로부터 되짚어보기 = 132
  7.5 요약 = 133
 8. 입말 오류들에 대한 교사의 되짚어보기를 평가하기 = 135
  8.1 개관 = 135
  8.2 목적들 = 136
  8.3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36
  8.4 관찰 결과들 = 139
  8.5 요약 = 140
 9. 자료들에 대한 평가: 학습용 사전들 = 141
  9.1 맥락 = 141
  9.2 목적들 = 141
  9.3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42
  9.4 평가 결과들 = 143
  9.5 요약 = 144
 10. 학습 자료들의 평가 : 서평 = 145
  10.1 개관 = 145
  10.2 맥락 및 목적들 = 145
  10.3 요약 = 149
 11. 교사 평가 = 150
  11.1 개관 = 150
  11.2 교사들을 등급으로 나누기: 맥락과 목적 = 150
  11.3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51
  11.4 교사 평가 : 자기 발전 = 151
  11.5 맥락 = 152
  11.6 목적들 = 153
  11.7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53
  11.8 평가에 대한 평가(상위차원의 평가) = 157
  11.9 요약 = 158
 12. 학습자 성과 평가하기 : 결과 평가 = 159
  12.1 개관 = 159
  12.2 맥락 및 목적들 = 159
  12.3 절차 = 160
  12.4 시험 결과 점수 = 160
  12.5 되짚어보기 = 162
  12.6 요약 = 163
 13. 학습자 성과 평가하기: 과정 평가 = 164
  13.1 맥락 = 164
  13.2 목적들 = 164
  13.3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65
  13.4 요약 = 170
 14. 강의안 평가 = 171
  14.1 개관 = 171
  14.2 맥락 = 171
  14.3 목적들 = 172
  14.4 계획하기 및 절차들 = 172
  14.5 알아낸 결과들 = 177
  14.6 되짚어보기 = 179
  14.7 요약 = 180
제3부 평가 잠재태(가능성)에 대한 탐구
 15. 일반 원리들 = 185
  15.1 개관 = 185
  15.2 평가를 위한 얼개 = 186
 16. 평가하기 절차들 = 187
  16.1 평가하기 절차들을 계획하기 = 187
  16.2 조사 질문지 항목들을 작성하기 = 188
  16.3 자기평가 질문지 = 189
  16.4 관찰 기록지 = 190
  16.5 면담 조사를 위한 질문들을 준비하기 = 191
 17. 교실 수업 방법론에 대한 평가 = 192
  17.1 오류 고치기 = 192
  17.2 언어 구조 항목들을 제시하기 = 194
  17.3 서로 다른 학습 활동들의 이용을 평가하기 = 197
 18. 자료들에 대한 평가 = 198
  18.1 자료 평가 : 수업 계획 = 198
  18.2 자료 평가 : 교실수업 용도 = 206
 19. 교사 평가 = 208
  19.1 학습자들의 동기를 북돋워주기 = 208
  19.2 교사 통솔력 유형 = 209
  19.3 질문 유형들 = 211
  19.4 숙제 : 마련하여 내어주기, 점수 매기기, 되짚어보게 만들기 = 212
  19.5 교사의 자기평가 = 214
 20. 학습자의 성과들을 평가하기 = 215
부록
 용어 해설 = 221
 더 읽을거리 = 222
 참고 문헌 = 223
 번역자 주석 = 227
 찾아 보기 = 23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