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32n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279757 | |
005 | 20100819164151 | |
007 | ta | |
008 | 060713s2006 ulk b 001a kor | |
020 | ▼a 8955441029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4 ▼2 22 |
085 | ▼a 374 ▼2 DDCK | |
090 | ▼a 374 ▼b 2006c | |
100 | 1 | ▼a Bergevin, Paul Emile |
245 | 1 0 | ▼a 성인교육철학 / ▼d [Paul Emile Bergevin 저] ; ▼e 강선보, ▼e 채성주, ▼e 김희선 공역 |
246 | 1 9 | ▼a (A) philosophy for adult education |
260 | ▼a 서울 : ▼b 원미사, ▼c 2006 | |
300 | ▼a xii, 285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78-28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dult education |
700 | 1 | ▼a 강선보, ▼e 역 ▼0 AUTH(211009)94016 |
700 | 1 | ▼a 채성주, ▼e 역 |
700 | 1 | ▼a 김희선, ▼e 역 ▼0 AUTH(211009)110024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6c | 등록번호 11136885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06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6c | 등록번호 11136885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6c | 등록번호 11158871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04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 사회에서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고 있는 철학을 분명하게 가다듬는 책이다. 성인교육은 우리가 현명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기에, 모든 이가 다양한 방식으로 또 다양한 시간대에 그리고 다양한 장소에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일터, 도서관, 학교, 교회, 동아리 등 모든 유형의 제도를 통해 아주 다양한 성인학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책,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학습자원들이 널리 활용되어야 한다. 모든 성인은 그가 터전으로 삼고 있는 사회 영역에 활발하게 참여함으로써 자기 시대의 문제와 그것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에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저자 서문
이 책의 목적은 우리 사회에서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고 있는 철학을 분명하게 가다듬는 데 있다.
성인교육은 풍요로운 사회에서 한시적 유행이나 심심풀이로 시행되는 차원의 일이 아니다. 성인교육은 자유로운 사회질서를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그 사회의 성인들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그리고 그 알고 있는 바를 어떻게 실천에 옮기는지는 자유로운 사회질서를 성공적으로 구성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모든 사회에서 성인들은 항상 결정의 순간에 마주치게 된다. 어느 사회에서나 구성원의 교육은 중요한 문제이며, 사회의 수준은 대체로 그 사회를 운영해 나가는 성인의 교육수준을 넘지 못한다. 아동교육이 중요한 문제이기는 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주로 아동교육에만 역점을 둠으로써, 많은 성인들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받은 교육과 살아가면서 얻은 약간의 인생경험이 삶의 역정을 헤쳐나가는 데 있어 충분한 역할을 하리라 믿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교육의 양이 많다 하더라도 아동기에 받은 교육만으로는 일생 동안 겪는 도전, 변화 그리고 적응의 과정들을 견뎌낼 수 없다.
자유시민의 특권과 권리는 수많은 희생을 치르고 얻어지는 것이며, 또 손상되기도 쉽다. 인간의 정신, 육체, 영혼의 성장과 발달의 기회란 그 구성원들이 정치적 혹은 종교적 광신도들에게 억압받는 사회에서는 주어지지 않는다. 그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에 정력적으로 참여하는 똑똑한 시민들이야말로 시민의 성숙과 문명화 과정(civilizing process)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질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적행위는 바로 지식에 기반을 둔다.
성인교육은 우리가 현명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기에, 모든 이가 다양한 방식으로 또 다양한 시간대에 그리고 다양한 장소에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어떤 특별한 유형의 성인교육이 만병통치약의 역할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일터, 도서관, 학교, 교회, 동아리 등 모든 유형의 제도를 통해 아주 다양한 성인학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책,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학습자원들이 널리 활용되어야 한다. 모든 성인은 그가 터전으로 삼고 있는 사회 영역에 활발하게 참여함으로써 자기 시대의 문제와 그것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에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일을 행하는 데에는 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모든 성인이 매일 저녁 학교에 갈 필요는 없다. 하지만 우리의 사고를 고양시키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촉진시켜 주는 무엇인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한 관계맺음이 있어야 우리의 거대한 잠재성의 일부분이라도 깨달을 수 있으며, 개개인과 사회의 완성을 이루어 낼 수 있다.
누구나 성인교육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자신들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질서에 책임감을 느끼는 모든 사려깊은 이들이 성인교육철학에 대해 숙고해야 한다. 물론 전문적인 성인교육가들이 이러한 활동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해내야 하겠지만, 사실 이 작업은 학자들의 손에만 맡기기에는 너무나 큰 과업이다. 실제로 성인교육의 많은 부분들은 사실상 거의 혹은 전혀 성인교육 전문훈련을 받은 바 없는 이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자원봉사자는 성인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물론 이들 중 상당수가 성인교육에 대해 거의 훈련받은 적이 없었지만 성인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책임을 맡은 후에, 그리고 그것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많은 것을 학습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이 실질적 기여를 하기도 했다.
성인교육에 누구나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은 결국 우리 모두가 성인교육에 대해 과연 무엇을 기여해야 하며, 또 왜 우리가 그것을 실천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누구나 현존하는 인간능력의 위대한 축적물들을 발견하고, 또 그것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글이 이러한 생각들을 명확히 하고, 공포와 증오, 의심으로부터 인간의 정신을 해방시키는 일에 자신의 온갖 재능과 시간을 바치는 사람들에게, 즉 우리가 성숙한 인간존재가 되도록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글은 많은 학생들과 동료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또한 병원, 교도소, 교회, 산업현장, 농업현장 등에서 일하시는 많은 분들에게도 감사를 표한다.
폴 버거빈
역자 서문
교육철학이란 쉽게 말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direction)을 제시해 주는 학문이다. 그렇다면 성인교육철학이란 성인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는 학문이다. 노울즈(Malcolm S. Knowles)지난 20세기 초중반의 성인교육 분야 연구를 분석하면서 그 분야의 많은 논문들이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평가하였는데, 그 이유는 미국의 성인교육운동이 일관된 목적이나 목표 그리고 신념체계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요컨대 성인교육철학의 부재를 신랄히 꼬집은 것이었다.--
이처럼 초창기의 성인교육 분야는 과거의 유아교육이나 특수교육이 그랬던 것처럼 그 철학적 기초 없이 방법론적 접근과 실천에 급급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가 방향 없이 표류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방향의 정립을 위해 철학적 탐색을 시작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한국에서의 성인교육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실제로 시중에 나와 있는 성인교육 및 평생교육 관련 서적들만 보아도 거의 모두가 방법론적·실천적 접근 일색의 연구물들이다. 또한 성인교육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많은 성인교육가들이 왜 성인교육을 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성찰없이, 단지 다른 사람들과 기관들이 하니까 나도 한다는 식으로 안이한 편승을 하는 경향도 성인교육의 무방향성을 입증하고 있다. 그래서 프레이리(Paulo Freire)는 성찰이 결여된 행동은 진정한 의미의 행동이 아니라고 비판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이 책의 저자인 버거빈(Paul Bergevin: 1903-1993)도 신념이나 이상, 태도, 실천에의 통합된 관점 및 공통적인 관심사를 형성하기 위해 기본적인 철학을 지녀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누누이 강조하였다.
성인교육철학은 성인교육에 대한 끊임없는 철학적 성찰과 반성을 촉구함으로써 성인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성인교육의 올바른 출항과 항해를 위해서 성인교육의 철학적 접근에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와 출판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버거빈의 성인교육철학서를 번역하여 출판함으로써 성인교육철학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버거빈(Paul Bergevin)의 A Philosophy for Adult Education(N.Y.: The Seabury Press, 1967)을 번역한 것이다. 출판 된 지가 다소 오래된 책이라 본문 내용 중 시대적 배경이 잘 맞지 않은 부분이 몇 군데 있기는 하지만, 진보적 관점에서 성인교육의 철학적 기초를 공부하는 데에는 여전히 유효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성인교육철학을 다룬 저서가 극히 빈약한 국내외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더더욱 요긴한 책이라 할 수 있다.
버거빈은 린드만(Eduard Lindeman), 호울(Cyril O. Houle), 노울즈, 프레이리 등과 더불어 진보주의 성향을 지니고 있는 성인교육철학자들 중의 한 사람이다. 즉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은 그는 성인교육에서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 문제중심 혹은 상황중심 교육, 실습중심 교육, 직업 교육, 민주주의 교육, 경험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버거빈은 성인교육의 보편적 목적을, 성인들로 하여금 성숙한 개개인으로 성장하게 하는 것이며, 나아가 ‘문명화 과정’(civilizing process: 사회의 발전적·진화적 작용)에서 맡은 바 역할을 다하게 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삶의 의미 및 성인의 진보를 위한 조건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유롭고 창조적이며 책임있는 존재로 성장시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교육을 사회변화의 도구로 보는 진보주의 관점에 입각해 버거빈은 성인교육을 통해 사회변화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성인교육을 ‘문명화 과정’에 기여하는 근본적인 힘으로 보았다. 요컨대 성인교육은 ‘문명화 과정’을 돕고 촉진시키도록 의도적으로 성립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성인교육가의 목표는 성인들에게 문명화 과정과 더불어 건설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버거빈에 의하면 성인교육은 민주적 생활방식을 유지하고 고양시키며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그는 “우리가 건설하거나 파괴하는 것 혹은 문명화 과정으로 갈 것이냐 원시주의로 갈 것이냐 하는 데 결정요소가 되는 것이 바로 성인교육으로, 성인들은 이 둘 중의 하나를 택하거나 혹은 양자를 모두 택할 수도 있다”라며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 우리의 성인교육이 정상적인 궤도를 달리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버거빈의 경고를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앞으로 21세기 사회로 진입할수록 학교교육의 역할 중 상당 부분은 성인교육으로 대체될 것이다. 이에 대비하는 차원에서라도 성인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다지는 일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바로 이 책이 우리나라의 성인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다지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
이번 개정 번역본에서는 이 책의 주제에 부합하는 색인을 새로 달고 주요용어에 대한 각주를 삽입하였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맡아 애써 준 원미사의 박준식 사장님과 직원들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7년 2월 28일
고려대학교 연구실에서
역자대표 강선보 씀
정보제공 :

저자소개
P. 버거빈(지은이)
<성인교육철학>
강선보(옮긴이)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한국교육학회 회장, (현)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역서> 『마르틴 부버: ?만남?의 교육철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성인교육철학(공역), 죽음에 관한 교육적 논의(논문) 외 다수.
최승현(옮긴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박사)/(현)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연구교수 [논문] 「들뢰즈의 파이데이아」 외 다수
김희선(옮긴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박사)/(현)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과 행정사무관 [논문] 「성인교육이론에 있어 경험과 학습의 의미」 외 다수

목차
목차 저자 서문 = i 역자 서문 = v 서론 = 15 1장 성인, 성인사회, 성인교육: 개관 = 23 1. 문명화 과정 = 24 2. 성인교육의 방향설정 = 37 2장 성인교육의 목적과 구성 = 57 1. 성인교육의 주요 목적 = 58 2. 성인교육의 구성 = 73 3장 "성인교육"의 의미 = 91 1. 체계적으로 조직된 성인학습 프로그램으로서의 성인교육 = 95 2. 비형식적 경험학습으로서의 성인교육 = 104 3. 연구 분야로서의 성인교육 = 105 4장 성인교육의 주요 문제들(Ⅰ) = 113 1. 물질주의의 추구 = 120 2. 이상적인 목표에 대한 우려-실제적인 것에 대한 열망 = 123 3.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되었다 = 126 4. 사회적 성장과 자만심 = 128 5. 주변인 = 134 5장 성인교육의 주요 문제들(Ⅱ) = 149 6. 사람을 중시하기보다는 교과강의에 치중 = 149 7. 변화에 대한 저항 = 154 8. 형식화된 교육의 문제 = 159 9. 독창성과 순응성 = 170 10. 성인들을 학습 프로그램으로 끌어들이기 = 173 11. 불확실한 상황에서 살아가기 위한 학습 = 177 6장 성인교육 실천을 위한 개념(Ⅰ) = 187 1. 성인은 학습할 수 있다 = 193 2. 성인과 아동에게는 서로 다른 교육과제가 있다 = 197 3. 현존하는 기관들이 성인교육에 효과적인 장소이다 = 205 4. 성인교육 프로그램은 토착적이어야 한다 = 205 5. 다양한 기대는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 211 6. 자유는 학습의 관건이다 = 215 7장 성인교육 실천을 위한 개념(Ⅱ) = 223 7. 교육목적은 필수적이다 = 223 8. 학습방법의 학습이 유용하다 = 230 9.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 = 232 10. 문제중심 학습이 기본적이다 = 243 11. 학습자원이 적절해야 한다 = 245 12. 프로그램 설계과정은 협동적 경험이어야 한다 = 248 8장 요악과 결론 = 261 1. 우리 사회의 본질 = 262 2. 성인교육의 필요성 = 264 3. 성인교육의 정의와 특성 = 266 4. 성인교육의 목적 = 268 5. 성인교육의 구성 = 270 6. 성인교육 프로그램 설계 = 271 참고문헌 = 278 찾아보기 = 281 저자소개 = 284 역자소개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