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1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279549 | |
005 | 20101122203226 | |
007 | ta | |
008 | 041229s2004 ulka b 001c kor | |
020 | ▼a 897878687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09252508 | |
040 | ▼d 243012 ▼d 211040 ▼d 247017 ▼d 211032 ▼d 211009 | |
082 | 0 4 | ▼a 028.5 ▼2 22 |
085 | ▼a 028.5 ▼2 DDCK | |
090 | ▼a 028.5 ▼b 2006b | |
245 | 2 0 | ▼a (아이들과 함께 하는) 독서와 글쓰기 교육 / ▼d 이재승 편저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04 | |
300 | ▼a 405 p. : ▼b 삽화 ; ▼c 26 cm | |
440 | 0 0 | ▼a 한국초등국어교육연구소 연구총서 ; ▼v 4 |
504 | ▼a 참고문헌(p. 390-401)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재승, ▼e 편 ▼0 AUTH(211009)81394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6b | 등록번호 1113698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6b | 등록번호 1113698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학습자 중심의 독서교육을 다른 책이다.
저자인 이재승 교수는 그동안 나온 독서교육 관련 책들의 단점을 짚어내고 보완점을 모색한 끝에 이 책을 내놓았다. 이론만 기술한 책, 근거 없는 실제만 기술한 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저자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독서와 글쓰기 지도의 핵심 이론을 쉽게 설명하고 있는 이 책은 유치원이나 초.중등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사례를 다루고 있어 글쓰기 지도 선생님이나 학부모에게 필요한 책이다.
이 책의 특성
1. 부분보다는 통합적인 독서교육
저자는 독서를 부분적인 과정이라기보다는 전체적인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단어를 해독할 때, 형태, 소리, 의미, 문맥이 필요한데 이들 요소가 동시에 작용한다고 보는 것이다. 실제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 속에서 독서와 쓰기, 듣기, 말하기 등을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 결과보다는 과정을 강조하는 독서교육
과정 중심의 독서교육이란 언어행위가 일어나는 과정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 과정 자체를 중요한 교육의 대상에 포함시킨다. 글쓰기 지도에서 완성된 글 자체보다는 그 글을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강조하여 각 과정에서 필요한 기능이나 전략을 가르치는 것이 모두 해당된다. 이 과정에서 탐구력이나 문제 해결력이 신장된다는 입장이다.
3. 활동 중심의 독서교육
학생들이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 무엇을 갖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해보면서 어떤 것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은 직접 해보았기 때문에 배운 것을 실제 삶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진다. 또 자연스럽게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져 토론이 많아진다. 이것은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내기 쉽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CHAPTER : 01 독서와 글쓰기의 이해 01 독서와 글쓰기 발달의 특성 = 15 02 독서의 본질과 독자의 역할 = 19 03 독서 과정에 대한 관점 : 전체와 부분 = 21 04 독서 능력 발달 단계 = 26 CHAPTER : 02 독서와 글쓰기 지도의 원리 01 독서와 글쓰기 수업의 중요성 = 33 02 독서와 글쓰기 수업의 요인과 문제점 = 35 03 독서와 글쓰기 수업의 원리 = 38 CHAPTER : 03 독서와 글쓰기 지도의 과정 01 독서와 글쓰기 지도의 관점 = 59 02 독서와 글쓰기 지도의 과정 = 63 03 독서와 글쓰기 수업 운영의 원리 = 74 CHAPTER : 04 독서 지도를 위한 접근 방식 01 독서 지도를 위한 접근 방식의 변화 = 83 02 기초 독본 접근법(basal readers approach) = 84 03 문학 중심 접근법(literature-based approach) = 88 04 개별화 접근법 = 93 05 수준별 접근법 = 100 06 언어 경험적 접근 = 102 07 총체적 언어 접근법 = 105 08 부진아 지도 = 106 CHAPTER : 05 초기 문자 지도 01 발생적 문식력의 이해 = 111 02 초기 문자 지도의 원리 = 114 03 초기 문자 지도 방법 = 118 04 발생적 문식력 평가하기 = 120 05 부진아 지도 = 122 CHAPTER : 06 어휘 지도 01 어휘의 뜻 = 127 02 어휘 지도의 중요성 = 129 03 어휘 이해 단계 = 130 04 어휘력 개발의 7가지 원리 = 132 05 어휘 지도 방법 = 135 06 어휘 학습 방법 배우기 = 142 07 부진아 지도 = 148 CHAPTER : 07 독해의 원리와 전략 01 독해의 과정 = 153 02 독해 전략 = 157 03 독해의 사회 구성적 특성 = 176 04 전략의 통합 = 182 05 정서적 요인의 중요성 = 182 06 부진아 지도 = 183 07 평가 = 184 CHAPTER : 08 독해 지도 방법 01 텍스트 구조의 중요성 = 189 02 독해에서 질문의 역할 = 200 03 독해를 촉진하기 위한 방법 = 206 04 빈칸 메우기 방법(cloze procedure) = 215 CHAPTER : 09 문학 지도 01 문학 경험하기 = 221 02 문학 갈래별 지도 = 235 03 자발적인 읽기 = 246 04 열성적인 독자 키우기 = 249 05 부진아 지도 = 251 06 평가 = 252 CHAPTER : 10 글쓰기 지도 01 글쓰기 뿌리 = 257 02 교사의 도움을 통한 글쓰기 = 259 03 과정 중심 접근 = 260 04 쓰기 워크숍 = 276 05 설명적인 글 쓰기 지도 = 280 06 보고문 쓰기 지도 = 281 07 정보 기술과 글쓰기 = 283 08 읽기를 통한 쓰기 능력 증진 = 284 09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 = 284 10 부진아 지도 = 286 CHAPTER : 11 내용 교과 교재의 읽기와 쓰기 01 내용 영역에서 읽기와 쓰기 지도의 목표 = 291 02 지도 방법 = 292 03 학습을 위한 쓰기(writing to learn) = 312 04 기억을 위한 읽기 = 315 05 공부 습관 = 319 CHAPTER : 12 개별화 지도 01 개별화 지도 = 325 02 학습 부진아 지도 = 329 03 학습 장애아 = 337 04 산만한 학생 = 340 05 학교 생활 부적응아 = 343 06 영재아 지도 = 347 CHAPTER : 13 평가 01 평가의 본질 = 353 02 평가방법 = 358 03 상대 평가와 절대 평가 = 365 04 평가 도구 분석하기 = 366 05 평가 결과 보고하기 = 368 06 다른 평가 방법 = 372 07 독서 자료 평가하기 = 386 참고문헌 = 390 찾아보기 =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