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편 교육철학의 접근과 유형
제1장 교육철학의 성격과 기능 = 17
제1절 교육의 철학적 토대 = 17
1. 철학적 사고와 영역 = 17
2. 일반철학과 교육철학 = 21
제2절 교육철학과 교육이론 = 25
1. 교육이론의 성격 = 25
2. 교육이론과의 관계 = 29
제3절 교육철학의 접근형태와 기능 = 33
1. 교육철학의 접근형태 = 33
2. 교육철학의 기능 = 35
제2장 가치이론과 교육적 가치 = 41
제1절 가치이론 = 41
1. 주관적 입장 = 41
2. 객관적 입장 = 43
3. 조작적 입장 = 45
4. 회의적 입장 = 47
제2절 교육적 가치와 교육의 목적 = 48
1. 교육과 가치의 관계 = 48
2. 교육적 가치의 형성 = 50
3. 교육적 가치와 교육목적 = 55
제3절 교육목적의 성격과 구성 = 57
1. 교육목적의 성격 = 57
2. 교육목적과 교육과정 = 59
3. 교육목적 설정의 토대 = 61
제4절 교육목적의 구성준거 = 63
1. 심리적 상태와 내용의 성취 = 63
2. 내재적 준거와 외재적 준거 = 66
3. 사회적 준거 = 70
4. 심리적 준거 = 71
제3장 지식이론과 교육 = 73
제1절 진리이론과 교육적 함의 = 73
1. 정합설 = 73
2. 대응이론 = 75
3. 진리도구설 = 77
제2절 지식의 원천과 교육 = 80
1. 합리론적 입장 = 80
2. 경험론적 입장 = 83
3. 비판적 입장 = 86
제3절 지식의 유형과 교육 = 88
1. 명제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 = 88
2. 지식의 형식이론과 교육 = 92
제4장 사회철학의 교육 = 97
제1절 민주주의와 교육이념 = 97
1. 민주주의의 기본원리 = 97
2. 민주사회의 특징 = 100
3. 민주교육의 이념 = 103
4. 교육적 의사결정의 민주화 = 105
제2절 사회정의의 이념 = 107
1. 정의의 고전적 개념 = 107
2. 정의의 준거와 원리 = 111
3. 정치와 사회정의 = 116
제3절 민주주의 교육의 방향과 실제 = 119
1. 민주시민 교육과 인간존중 = 119
2. 인간중심과 생활중심 교육 = 123
3. 자유의 교육 = 126
4. 자유의 가치실행을 위한 교육 = 128
5. 평등교육의 실현 = 131
6. 교육에서 기회균등 = 135
제5장 현대교육철학의 유형 = 139
제1절 실존주의와 교육 = 139
1. 실존주의의 성격 = 139
2. 인간관 = 142
3. 인식론 = 143
4. 가치론 = 145
5. 교육의 기능에 대한 시사 = 146
6. 교육과정과 방법 = 148
제2절 분석철학과 교육 = 150
1. 분석철학의 성격 = 150
2. 분석철학의 의의 = 152
3. 의미이론 = 155
4. 분석교육철학의 기능 = 157
5. 분석교육철학의 한계 = 159
제3절 행동주의와 교육 = 161
제4절 기술주의와 교육 = 163
1. 기술의식의 특징과 구조 = 163
2. 기술의식과 교육 = 167
3. 신 정보기술의 특징 = 171
4. 신 정보기술과 교육 = 175
제2편 현대교육철학의 주요개념
제6장 합리성과 배려 = 183
제1절 합리성의 교육목적 = 183
1. 합리성과 일반적 의미 = 183
2. 합리성과 도덕성의 관계 = 188
3. 합리적 인간의 특성 = 191
4. 합리성의 교육 = 195
제2절 배려의 교육목적 = 199
1. 배려의 의의 = 199
2. 객관적 합리성의 한계 = 200
3. 배려윤리의 특징 = 202
4. 배려의 교육 = 206
제7장 자율성과 교육 = 211
제1절 자율성의 준거와 정당화 = 211
1. 자율성의 의미 = 211
2. 자율성의 개념화 = 216
3. 자율성의 정당화 = 217
4. 자율성의 한계 = 227
제2절 자율성의 개발 방안 = 230
1. 교육에서 자율성의 의의와 준거 = 230
2. 학교교육에서 자율성의 개발 = 240
3. 자율성 개발의 난점 = 248
제3절 온정주의적 간섭과 교육 = 256
1. 학교교육에서 아동학생의 자유 = 256
2. 온정주의적 간섭의 정당화 = 261
3. 온정주의적 간섭의 한계 = 269
제8장 정서교육과 창조성교육 = 279
제1절 정서의 의미와 전통적 정서교육 = 279
1. 정서와 정서교육의 의의 = 279
2. 전통적 정서교육 = 282
제2절 인지로서의 정서관과 정서교육 = 284
1. 이론적 근거 = 284
2. 인지로서의 정서관 = 287
3. 인지적 정서교육의 방향 = 293
제3절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 = 298
1. 정서의 비인지적 담론 = 298
2. 정서의 사회성과 정서경험 = 306
3. 비인지적 정서교육의 방향 = 312
제4절 창조성과 교육 = 314
1. 창조성 개념의 의의 = 314
2. 창조성 개념의 철학적 고찰 = 316
3. 창조성의 성립 = 323
4. 창조성의 개발 = 331
제9장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 339
제1절 합리성과 문제와 교육 = 339
1. 모던적 합리성의 근거 = 339
2. 실체적 합리성의 필요 = 345
3. 합리성의 입장비교 = 351
4. 교육담론의 비교 = 360
제2절 자아관의 구성과 교육 = 364
1. 자아관의 비교 = 364
2. 자아의 구성적 성격 = 369
3. 자아구성의 관계적 요소 = 376
제3절 지식관의 비교 = 380
1. 지식과 담론의 문제 = 380
2. 토대주의적 지식관 = 384
3. 포스트모던적 지식관의 전제 = 388
제4절 구성적 지식관 = 393
1. 실재의 언어적 구성과 지식 = 393
2. 사회적 공간의 구성과 지식 = 398
3. 구성적 지식관과 교육 = 404
4. 지식의 탐구과정과 교육 = 407
제5절 지식의 변화와 오류의 방법 = 413
1. 오류의 발견과 한계태도 = 413
2. 패러로지와 지식의 발전 = 420
참고문헌 = 427
찾아보기 =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