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적용과 변형 유아교육과정 : 함께 반성하고 지원하며 배우기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적용과 변형 유아교육과정 : 함께 반성하고 지원하며 배우기 (Loan 1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은희
Title Statement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적용과 변형 유아교육과정 : 함께 반성하고 지원하며 배우기 / 김은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창지사 ,   2006.  
Physical Medium
343 p. : 색채삽도 ; 28 cm.
ISBN
894260394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35-342
000 00676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78417
005 20100807112523
007 ta
008 060710s2006 ulka b 000a kor
020 ▼a 8942603947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6b
100 1 ▼a 김은희 ▼0 AUTH(211009)13408
245 1 0 ▼a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적용과 변형 유아교육과정 : ▼b 함께 반성하고 지원하며 배우기 / ▼d 김은희 지음.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2006.
300 ▼a 343 p. : ▼b 색채삽도 ; ▼c 28 cm.
504 ▼a 참고문헌: p. 335-342
536 ▼a 본서는 2004년 2학기 한양여자대학 교내 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b Accession No. 1113681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b Accession No. 1113681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앞서 출판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해와 현장 적용』의 2권에 해당하는 책으로서 그간 학습 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유아교육과정 변형 여정을 재방문, 고찰하고 이후 방향을 설정하고자 학회에 발표되거나 발표되지 않은 연구 자료들을 모아 구성하였다. 각 장은 변형을 위한 담론, 변형을 위한 전제와 시작, 기존 교육 과정과의 비교, 역사·문화, 철학, 행정, 교수 학습 이론, 교육 과정 운영, 환경, 다매체 활용, 기록의 순으로, 이탈리아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과 실천을 먼저 다루고 국내 현장의 변형은 어디까지 왔는지 분석하였다. 한 권의 책으로 구성하기에는 분량이 많아, 본서에 연결되어야 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변형 지향적인 교사 발달, 부모와의 관계,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 부분은 별도로 구성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본서에서 사례로 제시하였던 프로젝트 과정과 환경 구성 내용들은 따로 묶고자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은희(지은이)

<레지오 에밀리아접근법의 이해와 현장 적용>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1 변형을 향한 담론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11
 01 우리의 담론과 레지오 접근법 만나기 = 13
 0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개관 = 20
 03 유아교육과정의 변형 방향 = 23
chapter 2 교육 과정 변형을 위한 전제와 시작 그리고 비전 = 27
 01 교육 과정 변형의 전제 = 29
 02 협력적 교사교육을 통한 실천적 지식과 반성적 사고력 기르기 = 33
 03 학습 공동체 운영을 통한 지식의 사회적 구성 = 37
 04 다학문적 접근을 통한 시야 넓히기 = 41
 05 모형 교실 운영을 통한 협력적 모델링 시도하기 = 42
 06 인터넷 커뮤니티 활용을 통한 넓은 상호 교환 시도하기 = 44
 07 현장-대학 간 학습 공동체 운영 = 45
 08 거시 학습 공동체를 통한 비전 가지기 = 46
chapter 3 기존 유아교육과정과 프로젝트 그리고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49
 01 초기의 프로젝트 운영에 대한 이야기 = 51
 02 장애, 갈등, 변형으로 = 54
 03 익숙한 것에서 상황 중심 발현으로 = 57
 04 기존의 프로젝트 접근과 레지오 접근 = 60
chapter 4 레지오 학교의 역사ㆍ문화와 우리의 문화와 생태에 기초한 적용 = 61
 01 레지오 에밀리아 학교의 역사와 문화 = 63
 02 우리의 문화와 생태에 기초한 적용 = 71
chapter 5 레지오 교육의 철학적 가정과 우리의 전이 = 81
 01 레지오 교육의 철학적 가정 = 83
 02 적용을 통한 우리의 철학적 전이 = 89
chapter 6 레지오 학교의 행정 조직과 우리의 변화 = 103
 01 레지오 에밀리아시의 유아 교육 체제 구성 = 105
 02 레지오 학교 운영을 위한 인적 조직 = 106
 03 레지오 학교의 집단 및 시간 조직 = 110
 04 관계에 기초한 교육을 위한 국내 현장의 행정 및 운영의 변화 = 113
chapter 7 이론적 영향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진화 = 149
 01 Dewey의 철학 = 151
 02 Piaget의 구성주의 = 153
 03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인식론 = 155
 04 Gardner와 레지오의 연계 = 158
 05 Malaguzzi와 레지오 접근법의 진화 = 161
chapter 8 사회적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교육 과정 운영과 변형 = 165
 01 프로젝트를 위한 프로제타지오네와 발현적 교육 과정 = 167
 02 창의적 표현보다는 학습을 위한 그리기 = 179
 03 상징화 주기를 거치면서 심화되는 과학적 탐색 = 187
 04 반성의 도구로서 교수 매체 활용의 개선 = 199
 05 메타 표상을 통한 의미화 = 207
 06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한 협력 학습 = 212
 07 협상 학습의 수단이 되는 기록화 = 217
chapter 9 레지오 학교의 환경 원리와 적용 그리고 우리의 변형 = 225
 01 프로젝트를 위한 프로제타지오네와 발현적 교육 과정 = 227
 02 환경 변화 시도와 변형 = 234
 03 레지오 환경 원리를 적용한 물리적 환경 구성 = 243
chapter 10 다매체 활용과 유아의 수많은 언어 = 255
 01 매체에 대한 레지오 접근 = 257
 02 교재ㆍ교구 제시자에서 환경 창안자로의 교사 변화 = 262
 03 수많은 언어를 위한 다매체 활용 함께 보기 = 268
 04 다상징적 접근을 통한 부적응 유아의 행동 개선 사례 = 287
chapter 11 기록하고 반성하며 지원하기 = 293
 01 반성, 연구, 협력을 지원하는 기록화 = 295
 02 관찰, 해석, 분석하는 기록 작업 과정 = 300
 03 다양한 형태의 기록화와 저널 양식 = 319
 04 패널 작업 = 325
 05 기록 작업의 도전 = 330
참고문헌 = 33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