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新보육학개론

新보육학개론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란혜
Title Statement
新보육학개론 / 강란혜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창지사 ,   2006.  
Physical Medium
348 p. : 삽도 ; 26 cm.
ISBN
894260403X
General Note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85-294), 색인수록
000 00643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278258
005 20100807112341
007 ta
008 060710s2006 ulka b 001a kor
020 ▼a 894260403X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6a
100 1 ▼a 강란혜 ▼0 AUTH(211009)66862
245 1 0 ▼a 新보육학개론 / ▼d 강란혜 지음.
246 0 1 ▼a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2006.
300 ▼a 348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p. 285-294), 색인수록
740 ▼a 보육학개론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a Accession No. 1113682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 2006a Accession No. 1113682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현대, 그리고 미래 사회로 갈수록 보육에 대한 욕구와 관심은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사상 초유의 저출산, 기혼 여성의 취업 급증, 가족 형태의 변화와 같은 사회 현상은 그 어느 때보다도 대외적인 관심을 받고 있으며 보육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2004년 영유아보육법 개정, 2005년 영유아보육법 시행령의 제정은 보육 발전에 또 다른 전환기를 맞고 있다. 특히 여성가족부는 영유아보육법을 개정하면서 질 높은 보육시설을 위해 평가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단일화된 표준보육과정이 영유아보육법 제정 15년 만에 개발되었다. 그리고 전문화된 보육교사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이수도 더욱 강화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란혜(지은이)

<0세에서 7세까지의 슈타이너 교육>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보육의 이론적 기초
 ① 보육의 본질 = 13
  1. 보육의 개념 및 목적 = 14
  2. 보육의 필요성 = 16
   1) 출산율의 저하 = 16
   2) 취업모의 증가 및 여성 의식의 변화 = 16
   3) 가족 구조 및 기능의 변화 = 18
   4) 가족 형태의 다양화 = 19
   5) 아동 권리의 보장 = 20
   6) 복지사회 실현 및 공보육에 대한 요구 증가 = 20
  3. 보육의 장(場)으로서의 의미 = 21
   1) 아동의 사회화 역할 = 21
   2) 가정의 육아 기능 지원 역할 = 22
 ② 보육의 역사 및 제도 = 25
  1. 보육 사상의 흐름 = 25
   1) 아동의 독자성 인정 = 25
   2) 의학ㆍ심리학적 아동 접근 = 27
   3) 아동의 권리 존중 = 27
  2. 세계 보육 제도의 발달 = 28
   1) 영국 = 29
   2) 미국 = 33
   3) 프랑스 = 38
   4) 스웨덴 = 41
   5) 일본 = 44
  3. 우리나라 보육 제도의 발달 = 52
   1) 보육 제도의 발전 과정 = 52
   2) 보육 제도의 체계 = 57
 ③ 보육의 유형과 현황 = 63
  1. 보육의 유형 = 63
   1) 운영 주체에 따른 유형 = 63
   2) 보육 장소에 따른 유형 = 65
   3) 보육 대상에 따른 유형 = 68
   4) 보육 시간에 따른 유헝 = 69
  2. 보육 현황 = 71
   1) 보육 행정 체계 = 71
   2) 보육시설 현황 = 80
   3) 보육 아동 현황 = 82
 ④ 특수 보육 = 85
  1. 특수 보육의 필요성 = 85
  2. 특수 보육의 유형 = 86
   1) 영아 전담 보육 = 86
   2) 방과후 보육 = 88
   3) 야간 및 24시간 보육 = 92
   4) 직장 보육 = 94
   5) 장애아 통합 보육 = 98
  3. 일본의 특수 보육 = 101
   1) 일시 보육 = 101
   2) 연장 보육 = 102
   3) 야간 보육 = 103
   4) 병아(病兒)보육 = 104
   5) 영아 보육 = 105
   6) 가정 보육(보육 마마) = 106
 ⑤ 보육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 109
  1. 종사자의 자질과 역할 = 109
   1) 시설장의 자질과 역할 = 110
   2)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 = 112
   3) 교직원의 역할 = 116
  2. 보육교사의 전문성 = 117
   1) 전문성의 요소 = 117
   2)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 120
  3. 보육종사자의 자격과 배치 = 122
  4. 보육시설 종사자의 교육과정 = 124
   1) 자격교육과정 = 124
   2) 보수교육과정 = 124
제2부 보육의 실제
 ⑥ 보육의 내용 = 133
  1. 표준보육과정의 기본 원리 = 134
  2. 영역별 보육의 목표와 내용 = 135
   1) 사회관계 = 135
   2) 의사소통 = 136
   3) 자연탐구 = 138
   4) 예술 경험 = 139
   5) 신체 운동 = 141
   6) 기본 생활 = 143
  3. 영양, 건강, 안전 = 145
   1) 영양 관리 = 145
   2) 건강 관리 = 152
   3) 안전 관리 = 156
   4) 기본적인 응급처치 = 159
 ⑦ 영유아 발달과 보육 프로그램 = 167
  1. 생애 발달 관점에서 본 영유아의 이해 = 167
   1) 발달의 개념 = 168
   2) 발달의 원리 = 168
  2. 영유아 발달과 보육 = 174
   1) 만 1세 영아의 발달 및 교사의 역할 = 174
   2) 만 2세 영아의 발달 및 교사의 역할 = 184
   3) 만 3~5세 유아의 발달 및 교사의 역할 = 188
  3. 보육 지도 계획 및 운영 = 197
   1) 보육 계획의 의의 = 197
   2) 일과 운영의 기본 원리 = 198
  4. 영아의 보육 프로그램 = 199
   1) 0~1세 보육 프로그램 = 199
   2) 2세 보육 프로그램 = 203
  5. 유아의 보육 프로그램 = 207
   1) 3~5세 보육 프로그램 = 207
 ⑧ 보육시설 환경 = 215
  1. 실내 보육 환경 = 215
   1) 실내 환경의 구성 조건 = 215
   2) 흥미 영역 환경 구성 = 216
   3) 홈베이스 공간 = 232
   4) 행정 관리 공간 = 234
   5) 서비스 공간 = 235
  2. 실외 보육 환경 = 236
   1) 실외 환경의 구성 = 237
   2) 영유아를 위한 실외 환경 = 239
 ⑨ 보육시설 운영 관리 = 243
  1. 보육시설 운영 관리의 개념과 원리 = 243
   1) 운영 관리의 개념 = 243
   2) 운영 관리의 원리 = 244
  2. 원아 관리 = 245
   1) 홍보 방법 = 245
   2) 입소 순위 = 246
   3) 반편성 = 246
  3. 사무 관리 = 247
   1) 사무 관리 영역 = 247
   2) 보육시설 비치 장부 및 서류 = 248
   3) 효율적인 사무 관리 방법 = 249
   4) 서류 관리 = 249
  4. 재무 관리 = 252
   1) 예산 편성 = 252
   2) 예산 집행 = 255
   3) 예산 결산 = 255
  5. 시설 및 설비 관리 = 256
   1) 시설ㆍ설비의 개념과 중요성 = 256
   2) 시설ㆍ설비의 기준 = 257
 ⑩ 보육시설의 평가 = 261
  1. 보육 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 261
  2. 보육 평가의 대상 = 262
  3. 보육 평가 방법 = 263
  4.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 263
   1) 평가인증제의 필요성 = 263
   2) 평가인증 절차 = 265
   3) 평가 영역 및 지표 = 266
   4) 평가 결과의 활용 = 266
제3부 보육의 전망
 ⑪ 보육 과제와 전망 = 275
  1. 보육의 문제점 = 275
   1) 공립 보육시설의 부족 = 276
   2) 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 환경 = 276
   3) 다양한 보육 서비스의 시설 부족 = 277
   4) 지방자치단체의 보육 공무원 수 부족 = 277
  2. 보육의 개선 방향 = 278
   1) 시설중심에서 아동중심 정색으로 전환 = 278
   2) 국가 차원의 시설 확충 계획 수립 = 278
   3) 공보육 체계 강화 = 279
   4)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 = 279
   5) 특수 보육의 지원 확대 = 280
   6) 민간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통한 보육의 공공성 제고 = 280
   7) 보육 정책 전달 체계의 활성화 = 281
   8) 보편주의적 보육 정책의 확립 = 281
   9) 육아 휴직 제도의 강화 = 282
참고문헌 = 285
부록 = 295
 영유아보육법 = 297
 영유아보육법시행령 = 307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 = 314
 영유아보육법시행령별표 = 326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별표 = 329
찾아보기 = 34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